Review of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elled Metal Alloy Composites (Al-17Si-Gr-Cf)
이 기술 요약은 MANAS MAYANK와 DR. MANISH GANGIL이 작성하여 2020년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Medical Sciences에 게재한 학술 논문 "Review of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elled Metal Alloy Composites (Al-17Si-Gr-Cf)"를 기반으로 합니다.
키워드
- 주요 키워드: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
- 보조 키워드: 자막(Zamak) 합금, ZA 합금, 미세구조, 기계적 특성, 마모 특성, 시효 현상
Executive Summary
- 도전 과제: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의 기계적 특성과 치수 안정성은 합금 성분과 공정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미세구조에 크게 좌우됩니다.
- 연구 방법: 본 논문은 다양한 아연-알루미늄(Zn-Al) 합금(예: Zamak, ZA)의 가공 공정, 미세구조, 기계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합니다.
- 핵심 돌파구: 합금의 성능(특히 마모 저항성 및 치수 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합금 성분(특히 Al, Cu)과 냉각 속도를 제어하여 1차 아연 고용체 수지상정과 공정/공석정 조직을 관리하는 것이 결정적임을 강조합니다.
- 핵심 결론: 고압 다이캐스팅(HPDC) 전문가에게 Zn-Al 상태도와 시효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는 고성능 부품을 위한 최적의 합금 및 공정 선정에 필수적입니다.
도전 과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 이유
아연 합금은 전 세계 소비량의 약 15%가 자동차 부품, 전자/전기 시스템, 생활용품 등의 다이캐스팅 부품 생산에 사용될 만큼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낮은 용융점과 뛰어난 유동성 덕분에 0.13mm의 얇은 두께까지 정밀 주조가 가능하여 파운드리 공정에 매우 적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연 합금은 80-90°C 이상의 온도나 장시간 상온 노출 시 발생하는 시효(aging) 현상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집니다. 따라서 부품의 기능적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가공 공정, 미세구조, 그리고 최종 기계적 특성 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도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연구 접근법: 방법론 분석
본 논문은 특정 실험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에 대한 광범위한 기존 연구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한 리뷰 논문입니다. 연구의 범위와 접근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법 1: 합금 시스템 분류 및 분석: 본 연구는 Zn-Al 상태도를 기준으로 합금을 아공정(hypoeutectic, 예: Zamak), 과공정(hypereutectic, 예: ZA12), 과공석(hypereutectoid, 예: ZA27) 합금으로 분류합니다. 각 카테고리별 합금의 미세구조적 특징과 주요 응용 분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이해를 돕습니다.
방법 2: 주조 공정별 특성 검토: 합금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다양한 주조 공정(핫챔버 다이캐스팅, 콜드챔버 다이캐스팅, 중력 및 사형 주조 등)을 검토합니다. 특히 전체 아연 합금 부품의 90-95%가 핫챔버 다이캐스팅으로 생산되는 이유와, 고함량 알루미늄 ZA 합금에 콜드챔버 방식이 요구되는 이유를 기술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방법 3: 성능-미세구조 연관성 분석: 마모, 인장강도, 경도, 크리프 저항성 등 핵심 기계적 특성과 미세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구리(Cu)와 같은 합금 원소가 미세구조와 최종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다룹니다.
핵심 돌파구: 주요 발견 및 데이터
본 리뷰 논문은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발견 1: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알루미늄(Al)의 핵심적 역할
아연 합금의 미세구조는 주 합금 원소인 알루미늄 함량에 따라 근본적으로 달라집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Zamak과 같은 아공정 합금은 냉각 시 초정으로 아연이 풍부한 수지상정(dendrite)이 형성되고, 그 주위를 공정 조직이 둘러싸는 특징적인 미세구조를 가집니다. 이러한 미세구조는 합금의 유동성과 기계적 특성의 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면, ZA12나 ZA27과 같은 과공정/과공석 합금은 Al 함량이 높아 다른 상(phase)이 형성되며, 이는 더 높은 강도와 경도를 요구하는 응용 분야에 적합합니다.
발견 2: 기계적 특성 강화를 위한 구리(Cu)의 영향
논문에 따르면, 구리(Cu)는 인장 강도, 경도, 마모 저항성 및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핵심 원소입니다. 예를 들어, Zamak 3에 비해 Cu 함량이 높은 Zamak 2는 더 높은 경도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특정 조건에서는 더 단단한 Zamak 2가 Al 함량이 더 높은 합금(예: ZA27)보다 마모 저항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보고되었습니다. 연구는 이것이 마모 시험 초기 단계에서 표면에 보호성 산화막이 제한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이는 단순히 경도만으로 마모 성능을 예측할 수 없으며, 미세구조와 표면 반응까지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 공정 엔지니어: 본 연구는 냉각 속도가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이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금형 온도, 사출 속도, 압력과 같은 변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최종 부품의 기계적 특성을 균일하게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품질 관리팀: 논문에서 언급된 '시효 현상'은 아연 합금 부품의 치수와 기계적 특성이 상온에서도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밀한 치수 공차가 요구되는 부품의 경우, 생산 후 자연 시효 또는 인공 시효 처리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품질 검사 기준을 수립해야 합니다.
- 설계 엔지니어: 합금 선택은 부품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는 Zamak 합금이 일반적인 용도에 적합한 반면, 더 높은 강도나 베어링 특성이 필요할 경우 ZA 계열 합금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설계 초기 단계에서 요구되는 성능(강도, 마모 저항성, 사용 온도)을 명확히 하고 그에 맞는 합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aper Details
Review of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elled Metal Alloy Composites (Al-17Si-Gr-Cf)
1. 개요:
- 제목: Review of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elled Metal Alloy Composites (Al-17Si-Gr-Cf)
- 저자: MANAS MAYANK, DR. MANISH GANGIL
- 발행 연도: 2020
- 저널/학회: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Medical Sciences (ISSN: 2582-6212), Special Issue 2 (2020)
- 키워드: Metal alloys, zamak alloy, ZA, aging
2. 초록: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금속 합금 복합재 소비의 약 15%는 자동차 부품, 전자/전기 시스템, 수도꼭지 및 위생용품, 가정용품, 패션 상품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 합금 복합재 생산에 할애된다. 이 합금들은 낮은 용융점과 높은 유동성을 특징으로 하여 주조 응용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0.13mm의 얇은 두께까지 주조할 수 있는 핫챔버 고압 다이캐스팅으로 가공된다. 다이캐스트 금속 합금 복합재는 매력적인 기계적 특성의 조합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능적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합금 원소 및 목적에 따라 일부 금속 합금 복합재는 콜드챔버 다이캐스팅, 중력 또는 사형 주조뿐만 아니라 스핀 캐스팅 및 슬러시 캐스팅으로도 가공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 합금 복합재의 가공,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현재 지식을 상세히 개괄한다. 구체적으로 미세구조의 진화, 치수 안정성 및 시효 현상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경도, 인장, 크리프 및 마모 특성과 같은 금속 합금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철저한 논의를 제시한다.
3. 서론:
금속 합금 복합재는 철, 알루미늄, 구리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다. 2018년 기준, 전 세계 금속 합금 복합재 공급은 13.4 Mt까지 증가했으며, 전 세계 수요는 13.77 Mt에 달했다. 상당량의 금속 합금 복합재가 재활용되며, 2차 금속 합금 복합재 생산은 전 세계 소비의 20-40% 수준으로 추정된다. 소비되는 금속 합금 복합재의 약 절반은 강철의 아연 도금에 사용되어 부식을 방지한다. 다른 중요한 응용 분야로는 다른 코팅, 또는 황동, 청동,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합금의 합금 원소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생분해성 금속으로서 철과 마그네슘의 유망한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 금속 합금 복합재의 약 15%는 금속 합금 복합재 기반 합금 생산의 기본 금속으로 사용된다. 이들 합금은 낮은 용융 온도를 특징으로 하여 에너지 소비가 적고 다이 수명이 길며, 복잡한 금형 공동과 0.13mm까지의 매우 얇은 단면을 채우는 데 도움이 되는 높은 유동성과 결합되어 다이캐스팅 제조에 특히 매력적이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아연 기반 합금은 자동차, 전자,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이캐스팅 부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합금의 성공적인 적용은 낮은 용융 온도, 우수한 유동성, 그리고 좋은 기계적 특성의 조합에 기인한다.
이전 연구 현황:
지난 수십 년 동안 아연 합금 부품의 기계적, 기술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들은 가공 조건이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결과적으로 미세구조가 최종 부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연 기반 다이캐스팅 합금의 가공, 미세구조, 기계적 특성(경도, 인장, 크리프, 마모)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현재까지의 지식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요약하는 것이다. 특히 미세구조의 변화, 치수 안정성, 시효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핵심 연구:
본 논문은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아연 합금(Zamak, ZA 계열)과 관련 제조 공정(핫/콜드챔버 다이캐스팅 등)을 요약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Zn-Al 상태도를 기반으로 아공정 및 과공정 합금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마모 저항성과 같은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논의하고, 특히 아연 합금에서 민감하게 나타나는 자연 시효 현상이 재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특정 실험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에 발표된 학술 문헌, 기술 보고서 및 산업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하는 문헌 연구(Literature Review) 방식을 채택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과 관련된 학술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합금의 종류, 주조 공정, 미세구조 분석 결과, 기계적 특성 평가 데이터를 종합하여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석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연구 범위는 주로 Zamak 및 ZA 계열로 대표되는 Zn-Al-Cu계 다이캐스팅 합금에 초점을 맞춘다. 연구 주제는 (1) 주조 공정(특히 핫챔버 및 콜드챔버 다이캐스팅)의 선택 기준, (2) 합금 성분(특히 Al, Cu)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 (3) 미세구조와 기계적 성능(마모 저항성, 시효 현상 등) 간의 상관관계를 포함한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은 Zn-Al 상태도에 따라 아공정(예: Zamak), 과공정(예: ZA12), 과공석(예: ZA27)으로 분류되며, 각각 다른 미세구조와 특성을 나타낸다.
- Zamak과 같은 아공정 합금은 주로 1차 아연 고용체 수지상정과 공정 조직으로 구성되며, 미세구조는 알루미늄 함량과 주조 시 냉각 속도에 크게 의존한다.
- 합금 원소는 특정 역할을 수행한다: 구리(Cu)는 강도, 경도,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마그네슘(Mg)은 입계 부식을 억제한다.
- 합금의 90-95%는 낮은 용융점을 가진 Zamak 합금에 적합한 핫챔버 다이캐스팅으로 생산되며,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ZA 합금은 용융 금속의 공격성 때문에 콜드챔버 공정이 필요하다.
- 마모 저항성은 미세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도가 낮은 Zamak 3는 마찰 계수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경도가 높은 Zamak 2의 마모 성능은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의 안정성에 영향을 받는다.
- 아연 합금은 상온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세구조와 치수가 변하는 시효 현상을 겪으며, 이는 부품의 장기적인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igure Name List:
- [논문 본문에서 참조된 특정 그림 목록이 없어 기재하지 않음.]
7. 결론:
본 논문은 아연 합금의 특성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며, 특히 미세구조와 성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상업용 합금 및 관련 제조 공정에 대한 요약을 시작으로 미세구조적 특성을 기술하였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Zn-Al 및 Zn-Cu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인장 특성, 마모 저항성, 크리프 거동, 부식 저항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설명했다. 또한 아연 합금이 특히 민감한 자연 시효가 재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에도 한 단락을 할애했다. 아연 기반 합금의 특성에 대한 본 논의의 전반적인 목표는 독자가 이 합금 계열에 적합한 특정 응용 분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8. References:
- [1]. Liu, Z.; Li, R.; Jiang, R.; Li, X.; Zhang, M. E_ects of Al addition on the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Zn alloys. J. Alloys Compd. 2016, 687, 885–892.
- [2]. Hekimoglu, A.P.; Sava skan, T.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Zn-(5–25) Al alloys. Int. J. Mater. Res. 2014, 105, 1084–1089.
- [3]. Pola, A.; Montesano, L.; Roberti, R. Nuove Leghe di Metal alloys compositeo per L'industria del Design. In Proceedings of the 30th Convegno Nazionale AIM, Brescia, Italy, 10–12 November 2010.
- [4]. Sava skan, T.; Hekimoglu, A.P.; Pürçek, G. E_ect of copper content on the mechanical and sliding wear properties of monotectoid-based metal alloys composite-aluminium-copper alloys. Tribol. Int. 2004, 37, 45–50.
- [5]. Luo, X.-P.; Xia, L.-T.; Zhang, M.-G. E_ect of di_erent_Al content on the microstructure, mechanical and friction properties of high aluminum metal alloys composite-based alloys. J. Adv. Microsc. Res. 2011, 6, 301–305.
- [6]. Türk, A.; Durman, M.; Kayali, E.S. The e_ect of manganese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 alloys composite-aluminium based ZA-8 alloy. J. Mater. Sci. 2007, 42, 8298-8305.
- [7]. Li, M.; Lu, S.; Long, F.; Sheng, M.; Geng, H.; Liu, W. E_ect of Y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Zn-Al Alloys. JOM 2015, 67, 922–928.
- [8]. Gancarz, T.; Cempura, G. Characterization of ZnAl cast alloys with Li addition. Mater. Des. 2016, 104, 51–59.
- [9]. Krupi'nska, B. Structure and Properties of Zn-Al–Cu Alloys with Alloying Additives. Adv. Struct. Mater. 2015, 70, 341-349.
- [10]. Choudhury, P.; Das, K.; Das, S. Evolution of as-cast and heat-treated microstructure of a commercial bearing alloy. Mater. Sci. Eng. A 2005, 398, 332-343.
- [11] Sava skan, T.; Bican, O. E_ects of silicon content on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and mechanical and sliding wear properties of Zn–40Al–2Cu–(0–5)Si alloys. Mater. Sci. Eng. A 2005, 404, 259–269. 12. Pola, A.; Gelfi, M.; La Vecchia, G.M.; Montesano, L. On the ageing of a hyper-eutectic Zn-Al alloy. Metall. Ital. 2015, 107, 37–41.
- [12]. Goodwin, F.E.; Kallien, L.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Metal alloys composite Die Casting: Developments in Creep and Ageing Correlations. SAE Int. J. Mater. Manuf. 2011, 4, 1188–1197.
- [13]. Dorantes-Rosales, H.J.; López-Hirata, V.M.; Hernández-Santiago, F.; Saucedo-Muñoz, M.L.; Paniagua-Mercado, A.M. E_ect of Ag addition to Zn22 mass%Al2 mass%Cu alloy on the four-phase reaction. Mater. Trans. 2018, 59, 717–723.
- [14]. Chen, Y.; Tu, M. Dimensional shrinkage of supersaturated ZA27Cul and ZA27Cu2 alloys. Mater. Sci. Techol. 1998, 14,473–475.
- [15]. Chen, H.; Xin, X.; Dong, D.Y.; Ren, Y.P.; Hao, S.M. Study on the stability of T0 phase in the Al-Zn-Cu ternary system. Acta Metall. Sinca 2004, 17, 269–273.
- [16]. Lee, P.P.; Savaskan, T.; Laufer, E. Wear resistance and microstructure of Zn-Al-Si ans Zn-Al-Cu alloys. Wear 1987, 117, 79–89.
- [17]. Türk, A.; Kurnaz, C.; Sevik, H. Comparison of the wear properties of modified ZA-8 alloys and conventional bearing bronze. Mater. Des. 2007, 28, 1889–1897.
- Sava skan, T.; Maleki, R.A.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Zn-25Al-based bearing alloys. Tribol. Trans. 2014,57, 435–444.
- [19]. Babic, M.; Mitrovic, S.; Jeremic, B.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sliding wear behavior of a ZA-27 alloy. Tribol. Int. 2010, 43, 16–21.
- [20[. Pürçek, G.; Savaskan, T.; Küçükömeroglu, T.; Murphy, S. Dry sliding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metal alloys composite-based alloys. Wear 2002, 252, 894–901. 51. Hanna, M.D.; Carter, J.T.; Rashid,
Expert Q&A: Your Top Questions Answered
Q1: 왜 아연 합금 부품의 90-95%가 핫챔버 다이캐스팅으로 생산되나요?
A1: 논문에 따르면, 이는 Zamak 계열 합금의 낮은 용융 온도 때문입니다. 핫챔버 공정은 사출 시스템(구즈넥 포함)이 용융 금속이 담긴 도가니에 잠겨 있어 생산 사이클이 빠릅니다. Zamak 합금의 낮은 용융점은 이러한 공정에 매우 적합하며, 높은 생산성과 긴 금형 수명을 가능하게 합니다.
Q2: Zamak 합금에서 마그네슘(Mg)의 주된 역할은 무엇인가요?
A2: 논문에서는 소량의 마그네슘(Mg)이 입계 부식(inter-granular corrosion)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합금의 내구성과 장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만, 현대의 고순도 아연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필요성은 과거보다 줄어들었다고 언급합니다.
Q3: 논문에서 언급된 '시효(aging) 현상'은 아연 합금에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A3: 시효 현상이란 아연 합금 부품이 주조된 후 상온에 노출되었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세구조가 변하고, 이로 인해 치수와 기계적 특성이 미세하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정밀한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부품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부품의 장기적인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Q4: Zamak과 같은 아공정 합금과 ZA 계열 과공정 합금의 미세구조는 어떻게 다른가요?
A4: 아공정 합금인 Zamak은 냉각 시 아연이 풍부한 1차 수지상정이 먼저 형성되고, 나머지 용액이 공정 반응을 통해 굳어지는 미세구조를 가집니다. 반면, 알루미늄 함량이 더 높은 ZA 계열 과공정 합금은 Zn-Al 상태도에 따라 다른 1차상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더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갖는 다른 미세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Q5: 구리(Cu) 함량이 높아 더 단단한 Zamak 2가 특정 조건에서 일부 ZA 합금보다 마모 저항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논문은 이 현상이 마모 과정 초기에 표면에 형성되는 보호성 산화막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Zamak 2는 마모 트랙에 안정적인 산화막을 형성하는 능력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높은 Al 함량을 가진 ZA27과 같은 합금보다 마모가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재료의 마모 성능이 경도뿐만 아니라 마찰 환경에서의 표면 화학 반응에도 크게 의존함을 보여줍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본 연구는 아연 다이캐스팅 합금의 성공적인 적용이 합금 성분, 주조 공정,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미세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에 달려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알루미늄과 구리 같은 핵심 합금 원소의 역할을 이해하고 시효 현상과 같은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고품질 부품 생산의 핵심입니다. R&D 및 운영팀은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공정을 최적화하고, 어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저희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Copyright Information
이 콘텐츠는 "[MANAS MAYANK, DR. MANISH GANGIL]"의 논문 "[Review of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Felled Metal Alloy Composites (Al-17Si-Gr-Cf)]"를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Source: https://www.rjetm.in/ (저널 홈페이지 링크, 특정 DOI는 제공되지 않음)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