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 of Cast Zn-Al-Cu Alloy Microstructure after Modification

Zn-Al-Cu 합금의 성능 잠재력 극대화: Ti-B 및 Sr 개질을 통한 미세구조 제어

이 기술 요약은 [B. Krupińska, M. Krupiński, Z. Rdzawski, K. Labisz, M. Król]이 저술하여 ARCHIVES of FOUNDRY ENGINEERING에 게재된 학술 논문 "[Characteristic of Cast Zn-Al-Cu Alloy Microstructure after Modification]"을 기반으로 합니다.

Fig. 1. a) Graphite crucible, b) Working chamber of the UMSA device: 1 –thermocouple, 2 – tested sample, 3 – induction coli, 4 – ceramic isolation
Fig. 1. a) Graphite crucible, b) Working chamber of the UMSA device: 1 –thermocouple, 2 – tested sample, 3 – induction coli, 4 – ceramic isolation

키워드

  • 주요 키워드: Zn-Al-Cu 합금 미세구조
  • 보조 키워드: 주조 아연 합금, 합금 개질, 티타늄-붕소(Ti-B), 스트론튬(Sr), 기계적 특성, 결정립 미세화

Executive Summary

  • 도전 과제: Zn-Al-Cu 합금 주조 시 발생하는 조대한 수지상 조직은 기계적 특성의 불균일성을 야기하여 제품 품질을 저하시킵니다.
  • 연구 방법: 연구진은 Zn-Al-Cu 모합금에 Ti-B 및 Sr을 개질제로 첨가하여 금속 몰드에 주조한 후, 미세구조, 상(phase) 구성 및 경도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 핵심 발견: Ti-B 및 Sr 첨가는 결정립과 아결정립을 미세화하고, (AlTi)2B 및 Al2Sr과 같은 새로운 상을 형성하여 합금의 전반적인 경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핵심 결론: 화학적 개질은 주조 Zn-Al-Cu 합금의 구조적 균일성을 높이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도전 과제: 이 연구가 고압 다이캐스팅(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 이유

Zn-Al-Cu 합금은 정밀 부품, 하우징, 커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얇은 벽을 가진 고정밀 주조품 생산에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생산 기술에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가스 발생 및 산화 경향과 더불어, 느리게 응고되는 주물에서 나타나는 조대한 수지상(dendritic) 조직입니다.

이러한 수지상 미세편석 현상과 구조의 불안정성은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을 불균일하게 만듭니다. 주물 내에 금속 석출물이나 기포가 없고, 원하는 주조 구조를 형성하여 높고 안정적인 기계적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액체 금속의 품질을 개선하는 특별한 개질 처리가 필수적입니다. 이 연구는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적 개질이 미세구조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습니다.

연구 접근법: 방법론 분석

연구진은 Zn-Al-Cu 합금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마스터 합금 형태의 개질제를 첨가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 소재: 기본 합금은 알루미늄(8.04-11.27%)과 구리(0.68-1.09%)를 포함하는 아연 합금이었습니다. 개질제로는 Ti-B 마스터 합금(0.022-0.58%)과 Sr이 사용되었습니다.
  • 주조: 합금은 저항로 내 흑연 도가니에서 용해된 후 금속 몰드에 주조되었습니다.
  • 분석 장비:
    • 열-미분 분석(Thermo-derivative analysis): UMSA(Universal Metallurgical Simulator and Analyzer) 장비를 사용하여 합금의 결정화 동역학을 분석했습니다.
    • 미세구조 관찰: 광학 현미경(Leica MEF4A)과 주사전자현미경(Zeiss Supra 25)을 사용하여 개질 전후의 구조 변화를 관찰하고 EDS로 성분을 분석했습니다.
    • 상(Phase) 식별: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FEI Titan 80-300)을 사용하여 박막 시편의 미세구조 및 상을 정밀하게 식별했습니다.
    • 경도 측정: Rockwell 경도 시험기(Zwick ZHR 4150)를 사용하여 개질된 합금의 경도 변화를 측정했습니다.

핵심 발견: 주요 결과 및 데이터

연구 결과, Ti-B와 Sr 첨가는 Zn-Al-Cu 합금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명확히 확인되었습니다.

결과 1: 개질에 따른 미세구조의 극적인 변화

개질 처리는 합금의 미세구조를 균일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개질되지 않은 합금(a)은 조대한 수지상 조직을 보입니다. 반면, Ti-B로 개질된 합금(b)과 Sr로 개질된 합금(c)은 훨씬 미세하고 균일한 조직을 나타냅니다. 특히 그림 3은 개질 후 α상 수지상이 미세화되고, (Al,Ti)₂B 및 Al₂Sr과 같은 새로운 상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기계적 특성 향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결과 2: 경도의 현저한 증가

화학적 개질은 합금의 경도를 눈에 띄게 증가시켰습니다. 그림 12의 경도 측정 결과에 따르면, 개질되지 않은 Zn-Al-Cu 합금의 HRA 경도는 약 33인 반면, Ti-B로 개질된 합금은 약 33.5로 소폭 상승했고, Sr로 개질된 합금은 약 37.5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Sr 개질이 경도 향상에 특히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내마모성 개선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 또한, 개질된 합금의 경도 값 표준편차가 더 낮게 나타나,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이 연구 결과는 주조 공정의 다양한 역할에 있는 전문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용탕에 Ti-B 또는 Sr과 같은 개질제를 첨가하는 것이 최종 주조품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조직 균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특정 결함을 줄이거나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품질 관리팀: 논문의 그림 12 데이터는 특정 개질제(특히 Sr)가 경도라는 핵심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새로운 품질 검사 기준을 수립하거나 기존 기준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 설계 엔지니어: 연구 결과는 특정 합금 원소(개질제)가 응고 과정에서 결함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부품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재료 선택 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 정보


[Characteristic of Cast Zn-Al-Cu Alloy Microstructure after Modification]

1. 개요:

  • 제목: Characteristic of Cast Zn-Al-Cu Alloy Microstructure after Modification
  • 저자: B. Krupińska, M. Krupiński, Z. Rdzawski, K. Labisz, M. Król
  • 발행 연도: 2014
  • 저널/학회: ARCHIVES of FOUNDRY ENGINEERING
  • 키워드: Innovative cast materials and technologies, metallography, modification, cast zinc alloys, microstructure

2. 초록:

주조 아연 합금은 알루미늄 합금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나, 녹는점이 낮고 밀도가 높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연은 밀도 7.14 g/cm³, 녹는점 419.5 °C, 끓는점 906 °C를 가집니다. 150~200 °C 온도 범위에서 아연은 소성 변형에 대한 감수성이 좋으며, 대기 요인에 대한 저항성이 있지만 산에는 약합니다. 아연 합금의 주된 용도는 고정밀을 요구하는 박벽 주조품 생산입니다. 또한 다이캐스팅 몰드, 하우징, 커버 및 정밀 산업, 전기 공학, 자동차 및 건설 산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에도 사용됩니다. 적절하게 수행된 화학적 개질은 생산된 주물의 특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액체 금속에 금속 개질제를 첨가하여 화학 조성을 변경함에 따라 주조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 아연 합금의 화학적 개질이 개질 전후 합금의 특성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습니다. 개질된 합금은 Ti-Sr 및 B를 알루미늄 마스터 합금 형태로 0.1%에서 1% 범위로 첨가하여 준비한 후 금속 몰드에 주조했습니다. 다음으로 개질된 Zn-Al-Cu 합금의 열-미분 분석을 수행했으며, 광학 현미경 및 EDS X-선 미세 분석 기능이 있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조사하고, 개질된 Zn-Al-C 합금의 경도를 측정했습니다.

3. 서론:

아연 합금 생산 기술과 관련된 주요 문제는 가스 발생 및 산화 경향, 그리고 느리게 응고되는 주물에서 조대한 수지상 조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수지상 미세편석 현상과 구조의 안정성으로 인해 얻어진 특성의 이질성이 관찰됩니다. 주물 내 금속 석출물 및 기포가 없고 원하는 주조 구조를 형성하여 높고 안정적인 기계적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액체 금속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특별한 개질이 적용됩니다 [1-5]. 아연 합금의 주된 용도는 고정밀을 요구하는 박벽 주조품 생산입니다. 또한 정밀 부품, 전기 공학(컴퓨터 패널, 인클로저 타자기), 자동차 및 건설 산업(건축 자재, 태양 전지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의 다이캐스팅 요소, 하우징 및 커버에도 적용됩니다. 생산 및 가공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응용 분야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장점은 재활용 과정에서 스크랩으로부터 재료를 얻는 것인데, 이는 천연 자원의 사용 증가로 인해 현재 매우 중요합니다. 이 합금들은 더 높은 주조 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금형의 수명을 10배까지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아연 합금은 소량 생산 주물에 적합한 재료로 인식됩니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구리는 아연 합금의 주요 합금 첨가제로 인식되며, 강도, 경도 및 내식성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구리 첨가는 Zn-Al-Cu 시스템에서 공정점을 더 높은 Al 함량 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또한 구리는 Zn-Al 합금의 시효에 대한 감수성과 이와 관련된 치수 변화를 증가시킵니다.

이전 연구 현황:

현재 스트론튬과 안티몬으로 개질된 합금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장기적으로 작용하는 개질제이기 때문입니다. 스트론튬의 효과는 합금의 여러 재용해 과정 후에도 유지되어, 주조 공장에서 현장 개질된 합금을 생산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희토류 금속도 본 논문에서 조사된 주조 합금을 개질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연구 목적:

적절하게 수행된 화학적 개질과 주물의 적절한 냉각은 생산된 주물의 기능적 특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냉각 속도나 액체 금속에 개질제를 첨가하여 화학 조성을 변경함에 따라 주조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핵심 연구:

본 연구는 Ti-B 및 Sr 개질제가 Zn-Al-Cu 합금의 결정화 동역학, 화학 조성 및 미세구조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열-미분 분석, 미세구조 및 화학 조성 조사(EDS 포함), 경도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Zn-Al-Cu 합금에 Ti-B 마스터 합금과 Sr을 첨가하여 개질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실험적 연구 설계를 채택했습니다. 개질되지 않은 합금을 대조군으로 설정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화학 분석: ICP OES(ULTIMA 2 Jobin-YVON)를 사용하여 합금의 화학 조성을 분석했습니다.
  • 열-미분 분석: UMSA 장비를 사용하여 흑연 도가니 내에서 합금의 냉각 곡선을 측정하고 결정화 과정을 분석했습니다.
  • 미세구조 분석: 광학 현미경(Leica MEF4A), 주사전자현미경(Zeiss Supra 25, EDS 포함),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FEI Titan 80-300, STEM 모드)을 사용하여 미세구조 및 상을 관찰하고 식별했습니다.
  • 경도 측정: Rockwell 경도 시험기(Zwick ZHR 4150)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했습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연구는 Zn-Al-Cu 합금에 Ti-B 및 Sr 개질제를 첨가했을 때 발생하는 미세구조, 상 변화 및 경도 변화에 초점을 맞춥니다. 개질제 첨가량은 0.1%에서 1% 범위였습니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Ti-B 및 Sr 첨가는 Zn-Al-Cu 합금의 구조를 개질(결정립 및 아결정립 미세화)하며, 이는 기존 문헌 데이터와 일치합니다.
  • 개질 전 확장된 2차 수지상 팔을 가졌던 Al 수지상의 형태에 가시적인 변화가 있으며, 그 주변에 석출물이 나타납니다.
  •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결과, 미세구조는 약 100nm 크기의 결정립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더 작은 결정립들과 밀접하게 위치합니다.
  • TEM 분석은 (AlTi)2B 상과 Al2Sr 상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이는 회절 기법을 통해 각각의 존 축(zone axis)이 [111]과 [1-2-1]로 결정됨으로써 입증되었습니다.
  • Zn-Al-Cu 합금의 개질은 경도 증가를 유발합니다. 그림 12는 개질되지 않은 합금과 Ti-B 및 Sr로 개질된 합금의 경도 변화를 보여줍니다.

그림 이름 목록:

  • Fig. 1. a) Graphite crucible, b) Working chamber of the UMSA device: 1 -thermocouple, 2- tested sample, 3 – induction coli, 4 – ceramic isolation
  • Fig. 2.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c) modified alloy with Sr
  • Fig. 3.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 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 c) modified alloy with Sr
  • Fig. 4. Structure of the cast alloy Zn-Al-Cu-Ti-B, bright field image, TEM
  • Fig. 5. Structure of the cast alloy Zn-Al-Cu-Ti-B, dark field image, TEM
  • Fig. 6. Diffraction pattern from Fig. 4
  • Fig. 7. Solution of the diffraction pattern from Fig. 6
  • Fig. 8. ZnAlCuSr alloy, bright field, TEM
  • Fig. 9. ZnAlCuSr alloy, dark field, TEM
  • Fig. 10. Diffraction pattern of Fig 8
  • Fig. 11. Solution of the diffraction pattern of Fig.10
  • Fig. 12. Results of the hardness measurement of the base alloy Zn-Al-Cu, modified with Zn-Al-Cu-Ti-B and Zn-Al-Cu-Sr
Fig. 2.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c) modified alloy with Sr
Fig. 2.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c) modified alloy with Sr
Fig. 3.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 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 c) modified alloy with Sr
Fig. 3. Microstructure of the Zn-Al-Cu alloy; a) alloy without modification, b) modified alloy with Ti-B, c) modified alloy with Sr

7. 결론:

Zn-Al-Cu 합금에 Ti-B와 Sr을 첨가하면 구조가 개질됩니다(결정립 및 아결정립 미세화). 또한 개질 전 2차 수지상 팔을 확장했던 Al 수지상의 형태에 가시적인 변화가 있으며, 그 주변에 석출물이 나타납니다. TEM 조사를 통해 미세구조가 약 100nm 크기의 결정립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TEM 조사는 또한 (AlTi)2B 상과 Al2Sr 상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회절 기법을 통해 존 축이 각각 [111]과 [1-2-1]로 결정되었습니다. 조사된 Zn-Al-Cu 합금의 개질은 경도 증가를 유발합니다. Ti-B와 Sr로 개질된 Zn-Al-Cu 합금의 계산된 평균 경도 값은 더 낮은 표준편차 값을 특징으로 하여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냅니다.

8. 참고 문헌:

  • [1] Skrzypek, S.J., Przybyłowich, K. (2012). Engineering metals and their alloys, Publisher AGH, Cracow
  • [2] Górny, Z., Sobczak J. (2005). Non-ferrous metals based novel materials in foundry practice, ZA-PIS, Cracow
  • [3] Krupińska, B., Labisz, K., Rdzawski, Z. (2012).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investigations of cast Zn-Al alloys. Arch. Mater. Sci. Eng. vol. 55, nr 1, s. 29-36
  • [4] Krupińska, B., Labisz, K., Rdzawski, Z. (2011). Crystallisation kinetics of the Zn-Al alloys modified with lanthanum and cerium. -J. Achiev. Mater. Manuf. Eng. vol. 46 iss. 2, s. 154-160
  • [5] Krajewski, W. (2001). Shaping the structure of Zn-Al alloys by doping with Zn-Ti master alloy, St. Staszic University of Mining and Metallurgy, Faculty of Foundry Engineering, Cracow

전문가 Q&A: 주요 질문과 답변

Q1: 연구에서 Ti-B와 Sr이 개질제로 선택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1: 논문에서 스트론튬(Sr)은 여러 번의 재용해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 '장기 작용(long-term acting)' 개질제로 언급됩니다. 이는 주조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i-B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널리 사용되는 효과적인 결정립 미세화제이며, 이 연구는 이러한 개질제들이 아연 합금에서도 유사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Q2: Sr 개질이 Ti-B 개질보다 경도 향상에 더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그림 12는 Sr로 개질된 합금의 경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보여줍니다. 논문은 Al2Sr 상의 형성을 그림 8-11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이 새로운 상의 형성과 분포, 그리고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Ti-B 개질보다 더 큰 기지 강화 효과를 가져와 경도를 더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Q3: (AlTi)2B 상의 존재를 어떻게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나요?

A3: 연구진은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사용했습니다. 그림 4에서 관찰된 결정립에 대해 전자 회절 패턴을 얻었고(그림 6), 이 패턴을 분석하여 존 축이 [111]인 (AlTi)2B 상의 구조와 일치함을 그림 7에서 입증했습니다. 이 기법은 미세 영역에 존재하는 특정 상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Q4: 이 연구에서 사용된 UMSA 장비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A4: UMSA(Universal Metallurgical Simulator and Analyzer)는 합금의 열-미분 분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장비는 합금이 냉각되고 응고되는 동안의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결정화 동역학(crystallization kinetics)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개질제 첨가가 합금의 응고 시작 온도, 상변태 온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Q5: 개질 후 합금의 특성이 더 균일해졌다고 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A5: 두 가지 근거가 있습니다. 첫째, 그림 2와 그림 3에서 보듯이 미세구조 자체가 조대한 수지상 조직에서 미세하고 균일한 조직으로 변화했습니다. 둘째, 결론 부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개질된 합금의 경도 측정값에 대한 '표준편차'가 더 낮았습니다. 이는 측정된 값들이 평균값 주위에 더 밀집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료 전체에 걸쳐 특성이 더 균일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뒷받침합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Zn-Al-Cu 합금의 조대한 수지상 조직과 그로 인한 물성 불균일성은 주조 산업의 오랜 과제였습니다. 이 연구는 Ti-B 및 Sr과 같은 개질제를 첨가함으로써 Zn-Al-Cu 합금 미세구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결정립 미세화와 새로운 상 형성을 통해 경도를 포함한 기계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고품질, 고신뢰성 주조 부품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술적 단서를 제공합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저희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저작권 정보

  • 이 콘텐츠는 "[B. Krupińska] 외"가 저술한 논문 "[Characteristic of Cast Zn-Al-Cu Alloy Microstructure after Modification]"을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 출처: ARCHIVES of FOUNDRY ENGINEERING, Volume 14, Special Issue 4/2014, 77-82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