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제목: 不同快压射速度对镁合金真空压铸件成形质量的影响 (Influence of Different Rapid Injection Velocity on Forming Quality of Magnesium Alloy Vacuum Die Casting)
- 저자: 陈思涛¹, 宋东福², 戚文军², 周峰¹ (Chen Sitao¹, Song Dongfu², Qi Wenjun², Zhou Feng¹)
- 발행 연도: 2024
- 발행 학술지/학회: 特种铸造及有色合金 (Special Casting & Nonferrous Alloys)
- Keywords: 镁合金, 工艺参数, 真空压铸 (Magnesium Alloy, Processing Parameter, Vacuum Die Casting)

2. 연구 배경:
본 연구는 AZ91D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여 진공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빠른 사출 속도가 제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합니다. 마그네슘 합금은 높은 비강도, 비강성, 내충격성, 전자기 차폐성, 열전도성 및 재활용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우주, 3C 산업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기존 진공 다이캐스팅 공정은 캐비티 진공 펌핑 효율이 낮고, 진공 밸브 폐쇄가 불안정하며, 진공 밸브 반응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 과정 및 반 과정 배기 채널을 포함하는 진공 펌핑 시스템을 설계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빠른 사출 속도가 진공 다이캐스팅 부품의 미세구조, 기계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연구는 다양한 빠른 사출 속도를 적용하여 그 영향을 분석합니다.
3.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연구 목적: 자체 설계한 진공 펌핑 시스템을 사용하여 AZ91D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3가지 진공 다이캐스팅 실험을 수행하여 다양한 빠른 사출 속도가 진공 다이캐스팅 부품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 핵심 연구 질문: 다른 빠른 사출 속도가 마그네슘 합금 진공 다이캐스팅 부품의 성형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 가설: 빠른 사출 속도는 마그네슘 합금 진공 다이캐스팅 부품의 성형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최적의 빠른 사출 속도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연구 방법론:
- 연구 설계: 3가지 다른 빠른 사출 속도(3 m/s, 4 m/s, 5 m/s)를 사용하여 AZ91D 마그네슘 합금의 진공 다이캐스팅 실험을 수행하는 실험 설계를 사용했습니다. 각 조건에서 제작된 부품의 기계적 특성과 미세구조를 분석했습니다.
- 데이터 수집 방법: 자체 설계한 진공 펌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AZ91D 마그네슘 합금 LED 방열판을 진공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하였습니다. 3가지 다른 빠른 사출 속도(3 m/s, 4 m/s, 5 m/s) 조건에서 각각 샘플을 제작했습니다.
- 분석 방법: 제작된 부품의 인장 강도와 신율을 측정하였고, 금속 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 구조를 관찰하고 분석했습니다.
- 연구 대상 및 범위: AZ91D 마그네슘 합금 LED 방열판, 빠른 사출 속도(3 m/s, 4 m/s, 5 m/s), 진공 다이캐스팅 공정.
5. 주요 연구 결과:
- 핵심 발견사항: 자체 설계한 진공 펌핑 시스템으로 제작된 다이캐스팅 부품은 일반 다이캐스팅 부품보다 기계적 특성이 우수했습니다. 빠른 사출 속도가 3 m/s일 때는 부품 표면에 냉각 및 흐름 자국이 쉽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축 공극과 기공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빠른 사출 속도가 5 m/s일 때는 부품에 섬유가 발생하기 쉽고, 내부에는 수축 공극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빠른 사출 속도가 4 m/s일 때는 부품의 형상이 완전하고 내부에는 약간의 수축 공극만 존재하며, 방열판의 인장 강도는 226 MPa, 신율은 5.4%에 달했습니다.
- 통계적/정성적 분석 결과: 표 3에서 보듯이, 빠른 사출 속도가 4 m/s일 때 인장 강도(226 MPa)와 신율(5.4%)이 가장 높았습니다. 그림 4는 3 m/s에서 제작된 부품의 표면 결함(냉각 및 흐름 자국)을 보여줍니다. 그림 5와 그림 6은 각각 다른 빠른 사출 속도에서 제작된 부품의 미세 구조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입니다. 3 m/s와 5 m/s 조건에서는 많은 수축 공극과 기공이 관찰되었지만, 4 m/s 조건에서는 수축 공극이 적게 관찰되었습니다.
- 데이터 해석: 빠른 사출 속도가 4 m/s일 때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는 4 m/s가 금속의 흐름과 응고에 적합한 속도임을 시사합니다. 3 m/s는 너무 느려서 냉각 및 흐름 자국이 발생하였고, 5 m/s는 너무 빨라서 섬유가 발생하였습니다.
- Figure List and Description:
- 그림 1: AZ91D 마그네슘 합금 LED 방열판의 3D 모델과 주입 시스템
- 그림 2: 진공 펌핑 시스템의 개략도
- 그림 3: 제작된 방열판 사진
- 그림 4: 3 m/s에서 제작된 방열판의 표면 결함(냉각 및 흐름 자국) 사진
- 그림 5: 각 조건에서 제작된 방열판의 미세 구조 현미경 사진
- 그림 6: 각 조건에서 제작된 방열판 베이스 플레이트의 미세 구조 현미경 사진
- 표 1: AZ91D 마그네슘 합금의 열물리적 특성
- 표 2: 다이캐스팅 공정 매개변수
- 표 3: 방열판의 기계적 특성
6.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결과는 자체 설계한 진공 펌핑 시스템을 사용한 AZ91D 마그네슘 합금 진공 다이캐스팅에서 빠른 사출 속도가 4 m/s일 때 최적의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 226 MPa, 신율 5.4%)을 보이는 것을 보여줍니다. 3 m/s와 5 m/s에서는 각각 표면 결함과 섬유 발생이라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본 연구는 진공 다이캐스팅 공정의 최적화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샘플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7. 향후 후속 연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는 더욱 다양한 빠른 사출 속도와 다른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한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최적의 공정 매개변수 범위를 넓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부품에 대한 연구와 수치 해석을 통한 공정 최적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8. 참고문헌 요약:
논문에 명시된 참고문헌 목록은 원문을 참조 바랍니다. (페이지 127, 129의 참고문헌 목록)
저작권 및 참고 자료
본 자료는 陈思涛 등 저자의 논문 "不同快压射速度对镁合金真空压铸件成形质量的影响"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논문 출처: DOI: 10.15980/j.tzzz.2024.01.025
본 자료는 위 논문을 바탕으로 요약 작성되었으며,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사용이 금지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