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열전도성 금형강: 다이캐스팅 사이클 타임 단축과 품질 혁신의 열쇠
이 기술 요약은 K. Namiki, Masamichi. Kawano, Thomas Schade가 작성하여 NADCA DIE CASTING CONGRESS & EXPOSITION (2012)에 발표한 논문 "High Thermal Conductivity Steel and its Application to Die Casting Tools"을 기반으로 합니다. CASTMAN의 기술 전문가들이 다이캐스팅 전문가를 위해 분석하고 요약했습니다.


Figure 2 Hardness vs. tempering temperature.
키워드
- Primary Keyword: 고열전도성 금형강
- Secondary Keywords: 다이캐스팅 사이클 타임 단축, DHA-THERMO, H13강 비교, 주조품 품질 개선, 금형 수명 연장
Executive Summary
- The Challenge: 기존의 다이캐스팅 금형강(H13)은 열전도성이 낮아 사이클 타임 단축과 주조품 품질 향상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 The Method: H13보다 열전도성이 월등히 높고 48HRC의 고경도를 구현한 신소재 고열전도성 금형강(DHA-THERMO)을 개발하고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에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 평가했습니다.
- The Key Breakthrough: DHA-THERMO는 H13 대비 1.6배 높은 열전도성을 바탕으로 금형 표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주조품의 미세조직을 개선하며, 히트체킹(열균열)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The Bottom Line: 고열전도성 금형강을 적용하면 사이클 타임 단축, 수축 결함 감소로 인한 수율 향상, 고가의 W 합금을 대체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The Challenge: 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경량화 요구가 증가하면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이클 타임 단축'은 다이캐스터들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사이클 타임을 줄이기 위해 금형의 냉각 효율을 높여야 하지만, 기존의 방식들은 명확한 한계를 보였습니다.
금형 내부에 냉각수 라인을 늘리는 방식은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고, 특히 수로 교차점에서 조기 균열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았습니다. 구리(Cu)나 텅스텐(W) 합금과 같은 고열전도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만, 공구강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고 가격이 매우 비싸 적용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H13 금형강은 열전도성이 충분히 높지 않아 열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높은 경도와 우수한 열전도성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금형 소재의 필요성이 절실했습니다.
The Approach: 연구 방법론 분석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고열전도성 열간 금형강 'DHA-THERMO'를 개발했습니다. 연구진은 Si, Mn, Cr, Mo, V 등 합금 원소가 열전도성, 경화성,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성분계를 설계했습니다. 특히 Mn 함량을 최적화하고 Cr 함량을 제어하여 높은 열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경화성을 향상시켰습니다.
개발된 소재의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35톤 다이캐스팅 머신을 이용한 실제 주조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테스트에서는 최종 응고가 이루어지는 핵심 부품인 스프루 코어(sprue core)에 DHA-THERMO와 기존 H13강을 각각 적용했습니다. 이후 방사 온도계를 사용하여 금형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생산된 비스킷(biscuit)의 미세조직을 비교 분석하여 냉각 성능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또한 10,000회 주조 후 금형 표면의 히트체킹 발생 정도를 비교하여 내구성능도 검증했습니다.
The Breakthrough: 주요 연구 결과 및 데이터
Finding 1: H13을 능가하는 열전도성과 고경도 확보
DHA-THERMO는 기존 H13강 대비 월등한 열적 특성을 보였습니다. Figure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온에서 DHA-THERMO의 열전도율은 약 45 W/m·K로, H13의 약 28 W/m·K보다 1.6배 높았습니다. 다이캐스팅 공정 중 금형 표면 예상 온도인 500°C에서도 H13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기존 저합금강이 40 HRC 이하의 경도에 머물렀던 것과 달리, DHA-THERMO는 담금질-뜨임 열처리를 통해 최대 48 HRC의 높은 경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Finding 2: 금형 표면 온도 저감 및 주조품 품질의 극적인 향상
뛰어난 열전도성은 실제 공정에서 금형 표면 온도를 크게 낮추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Figure 6은 이형 직후의 스프루 코어 표면 온도를 보여줍니다. H13 코어의 표면 온도가 340°C에 달한 반면, DHA-THERMO 코어는 220°C로 120°C나 낮았습니다. 이처럼 빠른 열 제거는 용융 알루미늄의 응고 속도를 높여 주조품의 품질을 향상시켰습니다. Figure 7에서 DHA-THERMO 코어와 접촉한 비스킷 표면의 미세조직이 H13의 경우보다 훨씬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nding 3: 히트체킹 저항성 향상으로 금형 수명 연장
금형 표면의 최고 온도가 낮아지면 열응력이 감소하여 히트체킹(열 피로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Figure 8은 10,000회 주조 후 이동측 금형 표면을 보여줍니다. H13 금형은 게이트 부근과 중앙부에서 현저한 히트체킹이 관찰된 반면, DHA-THERMO 금형은 게이트 부근에 미미한 균열만 발생했을 뿐 중앙부는 거의 손상이 없었습니다. 이는 DHA-THERMO가 금형 수명을 연장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Practical Implications for R&D and Operations
- For Process Engineers: 이 연구는 DHA-THERMO를 스프루 코어에 적용 시 사이클 타임을 18% 단축하고,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에 적용 시 표면 온도를 45~80°C 낮출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생산성 향상과 공정 안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 For Quality Control Teams: Table 3의 데이터는 센터 핀, 코어 핀 등에 DHA-THERMO를 적용했을 때 수축 결함 감소로 수율이 극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비스킷의 칠층(chill layer)이 H13 대비 80% 더 깊게 형성되어, 내부 품질이 중요한 부품의 검사 기준을 새롭게 설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 For Design Engineers: DHA-THERMO의 빠른 열 추출 능력은 복잡한 냉각 라인 설계 없이도 수축이 발생하기 쉬운 후육부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금형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Paper Details
High Thermal Conductivity Steel and its Application to Die Casting Tools
1. Overview:
- Title: High Thermal Conductivity Steel and its Application to Die Casting Tools
- Author: K. Namiki, Masamichi. Kawano (Daido Steel Co., Ltd.), Thomas Schade (International Mold Steel Inc. Hebron, Kentucky)
- Year of publication: 2012
- Journal/academic society of publication: NADCA DIE CASTING CONGRESS & EXPOSITION, Transaction No. T12-071
- Keywords: High thermal conductivity, die casting, tool steel, cycle time, H13, DHA-THRMO
2. Abstract:
다이캐스팅 공정에서는 고품질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사이클 타임 단축이 요구된다. 경량 부품의 다이캐스팅 생산이 증가하면서 사이클 타임 단축은 다이캐스터들에게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사이클 타임 단축을 위해서는 금형의 내부 냉각 강화뿐만 아니라 고열전도성 소재를 다이캐스팅 금형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W 합금은 고열전도성 금속이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적용이 확대되기 어렵다. 반면, 저합금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5%Cr-1%Mo 타입의 다이캐스팅 금형강 H13보다 열전도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예경화강으로 공급되며 최고 경도는 보통 40 HRC이다. DHA™-THRMO는 고열전도성 강재로, 담금질-뜨임 처리를 통해 48HRC의 고경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강재의 기본 특성과 함께 다이캐스팅 금형에 적용된 사례를 소개한다.
3. Introduction:
다이캐스팅 금형의 역할은 두 가지다. 하나는 용융 합금을 금형 캐비티에 주입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열교환기로서 열을 제거하여 용융 합금을 응고시키는 것이다. 짧은 사이클 타임 내에 내부 결함이 없는 미세한 결정립 구조의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연비 향상을 위해 엔진 블록, 트랜스미션 케이스 등 다양한 부품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이클 타임 단축은 비용 절감을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이다. 또한, 짧은 시간 내 응고를 통해 결함이 적고 미세한 주조 조직을 얻는 것은 비용 절감과 다이캐스트 제품의 적용 범위 확대에 기여한다.
4. Summary of the study:
Background of the research topic:
다이캐스팅 산업에서 생산성 향상(사이클 타임 단축)과 제품 품질 향상은 핵심적인 요구사항이다. 기존의 H13 금형강은 널리 사용되지만 열전도성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Status of previous research:
사이클 타임 단축을 위해 금형 내부 냉각을 강화하거나, Cu 합금 및 W 합금과 같은 고열전도성 비철 재료를 사용하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전자는 조기 균열 문제를, 후자는 높은 가격과 낮은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적용이 제한적이었다. 열전도성이 높은 저합금강도 있었으나, 경도가 40 HRC 이하로 낮아 적용 범위가 좁았다.
Purpose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H13강보다 열전도성이 높으면서도, 담금질-뜨임 처리를 통해 40 HRC 이상의 고경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열간 금형강(DHA-THERMO)을 개발하고,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에 적용하여 그 우수성(사이클 타임 단축, 품질 개선, 금형 수명 연장)을 입증하는 것이다.
Core study:
새로운 고열전도성 금형강 DHA-THERMO의 기본 물성(열전도도, 뜨임 경도, 경화성)을 H13과 비교 평가했다. 또한, 실제 다이캐스팅 테스트를 통해 DHA-THERMO를 적용한 금형의 표면 온도, 주조품 미세조직, 히트체킹 저항성을 H13 금형과 비교하여 실용적 성능을 검증했다.
5.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Design:
새로운 고열전도성 금형강(DHA-THERMO)과 표준 열간 금형강(H13)의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적 연구 설계를 채택했다. 실험실 수준의 물성 평가와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 적용 평가를 병행했다.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 열전도도: 온도 변화에 따른 각 소재의 열전도도를 측정했다.
- 경도: 뜨임 온도에 따른 경도 변화 및 대형 단면의 위치별 경도 분포를 측정했다.
- 다이캐스팅 테스트: 135톤 다이캐스팅 머신을 사용했으며, 스프루 코어에 두 소재를 적용했다. 방사 온도계로 금형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비스킷의 미세조직을 관찰했다. 10,000회 주조 후 금형 표면의 히트체킹을 육안으로 비교했다.
Research Topics and Scope:
연구는 DHA-THERMO 강재의 개발과 그 특성 평가에 초점을 맞춘다. 주요 연구 범위는 (1) 열전도도, 경도, 경화성과 같은 기본 물성 평가, (2)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에서의 냉각 성능 및 주조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 (3) 장기 사용 시 내구성(히트체킹 저항성) 평가, (4) 다양한 다이캐스팅 금형 부품에 대한 적용 사례 분석을 포함한다.
6. Key Results:
Key Results:
- DHA-THERMO는 상온에서 H13 대비 1.6배 높은 열전도성을 나타냈다.
- DHA-THERMO는 담금질-뜨임 열처리를 통해 최대 48 HRC의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 실제 다이캐스팅 테스트에서 DHA-THERMO 스프루 코어의 표면 온도는 H13 대비 120°C 낮았다.
- DHA-THERMO 금형으로 생산된 비스킷은 H13 금형으로 생산된 것보다 훨씬 미세한 응고 조직을 보였다.
- 10,000회 주조 후, DHA-THERMO 금형은 H13 금형에 비해 히트체킹 발생이 현저히 적었다.
- DHA-THERMO는 센터 핀, 코어 핀, 스프루 코어 등 다양한 부품에 적용되어 수율 향상, 사이클 타임 18% 단축, 고가의 W 합금 대체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Figure Name List:
- Figure 1 Thermal conductivity vs. test temperature.
- Figure 2 Hardness vs. tempering temperature.
- Figure 3 CCT diagram.
- Figure 4 Examples of hardness in round bars 4Bar gas Quenched and tempered.
- Figure 5 Application of DHA-THERMO in die casting test.
- Figure 6 Surface temperature of sprue core.
- Figure 7 Optical micrographs taken from biscuit surface.
- Figure 8 Heat checking observed on the surface of movable molds as of 10,000 shots.
- Figure 9 A part of Al die cast product where internal soundness was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DHA-THERMO core pins.
- Figure 10 An example of core pin and failed area.




7. Conclusion:
(본 논문에는 명시적인 결론 섹션이 없으나, 전체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새롭게 개발된 고열전도성 금형강 DHA-THERMO는 기존 H13강 대비 월등한 열전도성과 높은 경도를 동시에 갖추고 있다. 실제 다이캐스팅 적용 결과, 금형 표면 온도를 낮춰 용탕의 급속 응고를 촉진함으로써 주조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히트체킹을 억제하여 금형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다이캐스팅 공정의 핵심 과제인 사이클 타임 단축, 품질 개선, 비용 절감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8. References:
- 1) K. Bungardt, W. Spyra: Archiv fur das Eisenhuttenswesen, vol. 36, p 257 (1965)
- 2) M. Ayabe, K. Shibata, H. Koyama, K. Ozaki, M. Kawano and T. Yanagisawa: SAE Technical Paper Series, 07M-113 (2007)
- 3) M. Kawano and K. Inoue: Materia Japan, vol.48, p32, (2009)
Expert Q&A: Your Top Questions Answered
Q1: 다른 고열전도성 저합금강들이 40 HRC의 경도 한계를 갖는 반면, DHA-THERMO는 어떻게 48 HRC의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까?
A1: 논문의 "FUNDAMENTAL PROPERTIES OF DHA-THERMO" 섹션에 따르면, 이는 합금 성분의 최적화를 통해 가능했습니다. 연구진은 Mn(망가니즈) 함량을 최적화하여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높은 열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해 Cr(크롬) 함량을 정밀하게 제어했습니다. 이 두 원소의 균형을 통해 높은 경도와 높은 열전도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Q2: Figure 3의 CCT 선도를 보면 DHA-THERMO의 경화성이 H13보다 약간 낮아 보입니다. 대형 금형에 적용할 때 문제가 되지 않나요?
A2: 좋은 지적입니다. Figure 4는 직경 200mm 소재의 단면 경도 분포를 보여주는데, 중심부 경도가 표면보다 약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화성이 H13보다 다소 낮은 특성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심부에서도 충분히 높은 경도를 유지하고 있어 대부분의 금형 적용에 문제가 없습니다. 이는 높은 열전도성을 얻기 위한 일종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로 볼 수 있으며, 적용할 금형의 크기와 요구 경도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Q3: 논문에서는 DHA-THERMO가 W 합금을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W 합금의 열전도율이 훨씬 높은데, 실제 성능이 어떻게 비슷한 수준을 보일 수 있나요?
A3: "COST REDUCTION" 섹션의 사례가 이에 대한 답을 제공합니다. 기존에 W 합금(Anvilloy)을 사용하던 코어 핀의 평균 수명은 15,000~20,000회였습니다. DHA-THERMO로 제작된 코어 핀은 테스트에서 20,000회의 목표 수명을 문제없이 달성했습니다. 이는 W 합금이 열전도율은 높지만 공구강에 비해 인성이 낮아 균열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DHA-THERMO는 적절한 수준의 높은 열전도성과 우수한 인성을 겸비하여,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W 합금과 동등한 수명을 구현한 것입니다.
Q4: DHA-THERMO가 히트체킹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은 무엇입니까?
A4: 핵심 메커니즘은 '최고 표면 온도 저감'입니다. 다이캐스팅 공정 중 금형 표면은 용탕과 접촉하며 급격한 가열과 냉각을 반복합니다. 이때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열응력이 커져 열 피로 균열, 즉 히트체킹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DHA-THERMO는 높은 열전도성으로 열을 내부로 신속하게 분산시켜 표면의 최고 온도가 H13보다 훨씬 낮게 유지됩니다(Figure 6). 결과적으로 열응력이 감소하여 히트체킹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것입니다(Figure 8).
Q5: DHA-THERMO를 사용하는 데 제한 사항은 없습니까?
A5: 논문의 "OTHER" 섹션에서 한 가지 중요한 제한 사항을 언급합니다. 핀의 직경이 너무 작아서 중앙에 냉각수 라인을 가공할 수 없는 경우, DHA-THERMO는 냉각수 라인이 있는 핀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DHA-THERMO의 높은 열전도성이 내부 냉각 시스템과 결합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재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금형 설계 단계부터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Conclusion: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다이캐스팅 산업의 끊임없는 요구사항인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은 금형 소재의 혁신에서 시작됩니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고열전도성 금형강 DHA-THERMO는 기존 H13강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이클 타임 단축, 수축 결함 감소, 금형 수명 연장이라는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강력한 솔루션임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소재의 교체를 넘어, 다이캐스팅 공정 전체의 효율성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CASTMAN의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Copyright Information
- 이 콘텐츠는 "[K. Namiki, Masamichi. Kawano, Thomas Schade]"가 저술한 논문 "[High Thermal Conductivity Steel and its Application to Die Casting Tools]"을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 Source: NADCA DIE CASTING CONGRESS & EXPOSITION, (2012), Transaction No. T12-071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