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의 핵심 화두는 '경량화'와 '친환경'입니다. 더 가벼운 차는 더 높은 연비를 의미하고, 이는 곧 탄소 배출량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이죠. 이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가장 주목받는 소재가 바로 알루미늄 합금입니다. 특히,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재활용(Secondary) 알루미늄의 사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활용 알루미늄은 여러 원소가 섞여 있어 미세조직이 복잡하고, 원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E. Tillová 연구팀의 논문, "열처리된 자동차용 주조 합금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heat treated automotive cast alloy)"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자동차 엔진 부품 등에 널리 쓰이는 재활용 AlSi9Cu3 주조 합금의 성능을 T4 열처리를 통해 최적화하는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의 핵심: 무엇을, 어떻게 분석했나?
연구팀은 재활용 AlSi9Cu3 합금의 성능을 극대화할 최적의 열처리 조건을 찾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T4 열처리라는 공정을 사용했습니다.
- T4 열처리란?: 용체화 처리(Solution Treatment) → 급랭(Quenching) → 자연 시효(Natural Aging)의 3단계로 구성된 열처리 공법입니다. 합금의 강도를 높이는 원소들을 알루미늄 기지 조직에 골고루 녹여 넣었다가, 급랭 후 서서히 석출시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원리입니다.
연구팀은 이 중 가장 중요한 용체화 처리의 조건을 아래와 같이 변화시키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 온도: 505°C, 515°C, 525°C
- 유지 시간: 2, 4, 8, 16, 32 시간
그리고 각 조건에서 열처리된 시편의 미세조직 변화와 기계적 특성(인장강도, 브리넬 경도)을 정밀하게 분석했습니다.
결과 1: 강도와 경도의 변화 - '최적의 지점'을 찾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기계적 특성의 변화입니다.
(논문의 Fig. 2와 Fig. 3의 경향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그래프)
- 인장강도와 경도: 열처리 전(As-cast) 상태에 비해 모든 열처리 조건에서 강도와 경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최적의 조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인 지점은 515°C에서 4시간 동안 용체화 처리를 했을 때였습니다. 이때 인장강도는 약 273 MPa, 브리넬 경도는 124 HBS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하지만 4시간을 초과하여 열처리를 계속하거나, 온도를 525°C로 높이자 강도와 경도는 오히려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타났을까요? 그 해답은 합금 내부의 미세조직 변화에 숨어있습니다.
결과 2: 미세조직의 드라마틱한 변신
알루미늄 합금의 성능은 내부의 여러 상(phase)들의 모양과 분포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구팀은 SEM(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세 가지 주요 상의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1. 공정 실리콘(Eutectic Si)의 변신: 바늘에서 공으로
(논문의 Fig. 5, 6을 바탕으로 한 시각 자료)
- 열처리 전: 날카로운 바늘 모양(Needle-like) 또는 판상(Platelet)의 실리콘 입자들이 분포합니다. 이 뾰족한 모양은 응력을 집중시켜 균열의 시작점이 되기 때문에 합금의 연성을 떨어뜨리는 주범입니다.
- 열처리 후: 용체화 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이 바늘 모양 입자들이 조각나고, 점차 둥글게 변하는 구상화(Spheroidization) 현상이 일어납니다. 둥근 입자는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재료의 인성과 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515°C에서 가장 이상적인 구상화가 관찰되었습니다.
2. 구리(Cu) 강화상의 용해와 위험한 '초기 용융'
구리(Cu)는 Al-Al₂Cu-Si 형태의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하여 합금의 강도를 높이는 핵심 원소입니다.
- 용해(Dissolution): 열처리 과정에서 이 구리 화합물들은 알루미늄 기지 속으로 녹아들어 갑니다(고용). 이후 시효 과정을 거치며 미세하게 석출되어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초기 용융(Incipient Melting): 하지만 온도가 너무 높은 525°C에서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구리 화합물의 일부가 녹는점(525°C 근방)에 도달해 녹아버리는 '초기 용융'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미세한 기공이나 결함으로 작용하여 기계적 특성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것이 525°C에서 강도와 경도가 크게 떨어진 이유입니다.
3. 철(Fe) 유해상의 무력화
재활용 합금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철(Fe)은 길고 뾰족한 Al₅FeSi 상을 형성하여 재료를 취약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이 합금에는 망간(Mn)이 소량 첨가되어 있어, 해로운 Al₅FeSi 대신 덜 해로운 '차이니스 스크립트(Chinese Script)' 형태의 Al₁₅(FeMn)₃Si₂ 상이 형성됩니다.
열처리는 이 상을 더 잘게 부수고 둥글게 만들어,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결론: 최적의 성능을 위한 레시피
이 연구는 재활용 AlSi9Cu3 합금의 성능 향상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 최적의 열처리 조건: 515°C / 4시간의 용체화 처리가 강도와 경도를 극대화하는 최적의 조건임이 입증되었습니다.
- 성능 향상의 핵심 메커니즘: 최적 조건에서 ① 공정 실리콘의 구상화가 효과적으로 일어나고, ② 강도를 높이는 구리(Cu)상은 충분히 용해되면서도, ③ 초기 용융이라는 부작용은 피할 수 있었습니다.
- 열처리는 정밀한 공정: 무조건 온도를 높이고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은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과도한 열처리는 입자 조대화(coarsening)나 초기 용융을 유발해 오히려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미세조직 제어의 중요성: 결국 재료의 최종 성능은 내부 미세조직을 얼마나 정밀하게 제어하느냐에 달려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이 연구 결과는 더 가볍고, 더 튼튼하며, 더 친환경적인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입니다. 재활용 소재에 새로운 가치를 불어넣는 '열처리' 기술의 힘, 정말 놀랍지 않나요?
참고 문헌:
[1] C.T. Rios, et al., Intermetallic compounds in the Al-Si-Cu system, Acta Microscopia 12 (2003) 77-82.
[2] S.K. Das, J.A.S. Green, Aluminium industry and climate change - Assessment and responses, JOM 62/2 (2010) 27-31.
[3] G. Mrówka-Nowotnik, J. Sieniawski,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355.0 cast aluminium alloy, Journal of Achie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47/2 (2011) 85-94.
[4] E. Tillová, M. Chalupová, Štruktúrna analýza zliatin Al-Si, EDIS Žilina, Žilina, 2009 (in Slovak).
[5] L.A. DobrzaĔski, R. Maniara, J.H Sokoáowski, The effect of cast Al-Si-Cu alloy solidification rate on alloy therm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chie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17/1-2 (2006) 217-220.
[6] J.A. Taylor, The effect of iron in Al-Si casting alloy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35th Australian Foundry Institute National Conference, Adelaide, 2004,148-157.
[7] S. Seifedine, S. Johansson, I. Svensson, The influence of cooling rate and manganese content on the ȕ-Al5FeSi phase 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Si- based alloy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490 (2008) 385-390.
[8] A.M. Samuel, F.H. Samuel, H.W. Doty, Observation on the formation ß-Al5FeSi phase in 319 type Al-Si alloys,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1 (1996) 5529-5539.
[9] M.A. Moustafa, Effect of iron content on the formation of ß-Al5FeSi and porosity in Al-Si eutectic alloys,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209 (2009) 605-610.
[10] M. KrupiĔski, K. Labisz, Z. Rdzawski, M. Pawlyta, Cooling rate and chemical composition influence on structure of Al-Si-Cu alloys, Journal of Achie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45/1 (2011) 13-22.
[11] E. Tillová, M. Panušková, Effect of solution treatment on intermetallic phase’s morphology in AlSi9Cu3 cast alloy, Materials Engineering 14 (2007) 73-76.
[12] M. Panušková, E. Tillová, M. Chalupová, Relation betwee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cast aluminum alloy AlSi9Cu3, Strength of Materials 1 (2008) 109-112.
[13] E. Tillová, M. Chalupová, M. Panušková, Structural analyses of the Al-Si-Cu alloys, Material Engineering 13 (2006) 25-30.
[14] F.H. Samuel, Incipient melting of Al5Mg8Si6Cu2 and Al2Cu intermetallics in unmodified and strontium-modified Al-SiCu-Mg (319) alloys during solution heat treatment,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3 (1998) 2283-2297.
[15] E. Tillová, M. Panušková, M. Chalupová, Metallographische analyse von Al-Si-Cu Gusslegierungen, Druckguss-praxis 4 (2007) 108-112.
[16] A.M. Samuel, F.H. Samuel, Effect of alloying elements and dendrite arm spac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hardness of an Al-Si-Cu-Mg-Fe-Mn (380) aluminium die-casting alloy,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0 (1995) 1698-1708.
[17] M. WierzbiĔska, G. Mrówka-Nowotnik, Identification of phase composition of AlSi5Cu2Mg aluminium alloy in T6 condition, Archive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30/2 (2008) 85-88.
[18] M. KrupiĔski, K. Labisz, L.A. DobrzaĔski, Structure investigation of the Al-Si-Cu alloy using derivative thermo analysis, Journal of Achie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34/1 (2009) 47-54.
[19] R. Maniara, L.A. DobrzaĔski, M. KrupiĔski, J.H. Sokoáowski, The effect of copper concentration on the
microstructure of Al-Si-Cu alloys, Archives of Foundry Engineering 7/2 (2007) 119-124.
[20] K. Labisz, M. KrupiĔski, L.A. DobrzaĔski, Phases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l-Si-Cu alloy, Journal of Achie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37/2 (2009) 309-316.
[21] E. Tillová, M. Chalupová, Effect of solution treatment on Intermetallic phase’s morphology in AlSi9Cu3 cast alloy, mettalurgija/METABK 47/3 (2008) 133-137.
[22] R. Li, Solution heat treatment of 354 and 355 cast alloys, AFS Transaction 26 (1996) 777-783.
[23] F. Paray, J.E. Gruzleski, Microstructure - mechanical property relationships in a 356 alloy, Part I, Microstructure, Cast Metals 7 (1994) 29-40.
[24] L. Lasa, J.M. Rodriguez-Ibabe, Evolution of the main intermetallic phases in Al-Si-Cu-Mg casting alloys during solution treatment,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9 (2004) 1343-1355.
[25] M.A. Moustafa, F.H. Samuel, H.W. Doty, Effect of solution heat treatment and additives on the microstructure of Al-Si (A413.1) automotive alloys,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8 (2003) 4507-4522.
[26] E. Sjölander, S. Seifeddine, Optimisation of solution treatment of cast Al-Si-Cu alloys, Materials and Design 31 (2010) S44–S49.
[27] P. Skoþovský, E. Tillová, J. Belan, Influence of technological factors on eutectic silicon morphology in Al-Si alloys, Archiwes of Foundry Engineering 9/2 (2009) 169-172.
[28] Guiqing Wang, Xiufang Bian, Weimin Wang, Junyan Zhang, Influence of Cu and minor elements on solution treatment of Al-Si-Cu-Mg cast alloys, Materials Letters 57 (2003) 4083-4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