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MPa 결합 강도 달성: 고압 다이캐스팅(HPDC)을 통한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의 혁신
이 기술 요약은 Florian Mielke, Damian Sulik, Xiangfan Fang이 작성하여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2025)에 게재한 학술 논문 "Influence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arameters on bonding characteristics of aluminium-steel hybrid-castings for automotive lightweight structures"를 기반으로 합니다.
![Fig. 1. a) Cross-section scheme of the PVD AlSi columnar grain structure [29] and b) SEM image of the coating surface](https://castman.co.kr/wp-content/uploads/image-3677.webp)

키워드
- 주요 키워드: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
- 보조 키워드: 고압 다이캐스팅, 공정 변수, 주조 시뮬레이션, 재료 결합, 다중 재료 설계, 전단 강도, 파단면 분석
Executive Summary
- 도전 과제: 서로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고압 다이캐스팅(HPDC) 공정에서 알루미늄과 강철 간의 강력하고 연성이 있는 결합을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 연구 방법: AlSi(Fe) 코팅된 DP800 강재 인서트를 AlSi10MnMg 합금으로 주조하면서 금형 온도, 인서트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 등 HPDC 핵심 공정 변수를 체계적으로 변화시켜 결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 핵심 돌파구: 280°C의 금형 온도, 500°C의 인서트 예열 온도, 40m/s 이상의 게이트 속도라는 최적의 공정 조건을 통해 순수 전단 강도를 15MPa까지 향상시켰으며, 형상 구속(force-locking) 효과를 더해 총 25MPa의 결합 강도를 달성했습니다.
- 핵심 결론: 금형 온도와 인서트 예열 온도의 정밀한 제어가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품의 결합 강도와 연성을 극대화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임이 입증되었습니다.
도전 과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 이유
자동차 산업에서 경량화는 연비 향상과 효율성 증대를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강철과 알루미늄을 결합한 다중 재료 설계가 주목받고 있지만, 두 소재의 이질적인 특성 때문에 견고한 접합부를 만드는 것은 오랜 난제였습니다. 기존의 리벳팅, 접착, 마찰 교반 용접 등은 추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 비용과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주조는 성형 공정과 접합 공정을 통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입니다. 특히 최근 주목받는 '기가캐스팅'은 대형 부품을 한 번에 주조하여 공정을 단순화하지만, 긴 유동 경로로 인한 두꺼운 부품 두께, 거대한 설비 투자, 높은 금형 마모 등의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하이브리드 주조 기술은 더 작은 설비로 더 높은 경량화 잠재력을 달성하고, 스크랩률을 줄이며, 공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주조의 성공은 공정 변수에 따라 결합부의 품질이 크게 좌우되므로,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연구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하여, 신규 개발된 AlSi(Fe) 코팅을 사용하여 알루미늄-강 결합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HPDC 공정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연구 접근법: 방법론 분석
본 연구는 체계적인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HPDC 공정 변수가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품의 결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습니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 핵심 방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재료 및 코팅: - 주조 합금: 자동차 섀시 및 차체 부품에 널리 사용되는 AlSi10MnMg (EN-AC 43500) 1차 합금을 사용했습니다. - 강재 인서트: 차체 구조에 주로 사용되는 1.5mm 두께의 냉연 이중상(Dual-Phase) 강판인 Docol DP800을 사용했습니다. - 코팅: 기존 아연(Zn) 코팅의 취성 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ang이 개발한 새로운 PVD(물리 기상 증착) AlSi(Fe) 코팅을 적용했습니다. 이 코팅은 강재 위에 2-3µm 두께의 FeAlSi 금속간화합물(IMP) 층과 그 위에 약 20µm 두께의 AlSi 층으로 구성되어, 주조 시 알루미늄 용탕과 잘 융합되어 연성이 우수한 결합을 형성합니다.
2. HPDC 장비 및 공정 변수 제어: - 장비: Bühler SC/N 66 콜드 챔버 다이캐스팅 머신을 사용하여 인장 전단, 인발(pullout), 교차 인장(cross-tension) 시험을 위한 세 가지 유형의 시편을 제작했습니다. - 핵심 변수: - 금형 온도(TM): 180°C ~ 280°C - 강재 인서트 예열 온도(Tp): 250°C ~ 500°C - 게이트 속도(VG): 20 m/s ~ 60 m/s - 분석: 제작된 시편에 대해 기계적 시험(인장 전단, 인발, 교차 인장), SEM/EDX를 이용한 미세구조 및 파단면 분석, 열전대를 이용한 인서트 온도 프로파일 측정, 그리고 FE 주조 시뮬레이션(WinCast expert)을 수행하여 공정 전반을 심층적으로 이해했습니다.
핵심 돌파구: 주요 발견 및 데이터
본 연구는 HPDC 공정 변수가 알루미늄-강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했으며,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발견 1: 금형 및 예열 온도가 결합 강도를 지배하는 핵심 인자임이 입증되다
실험 결과, 금형 온도와 강재 인서트의 예열 온도가 결합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그림 9a에서 볼 수 있듯이, 금형 온도가 180°C일 때는 예열 온도와 관계없이 평균 전단 강도가 약 8.1-8.5 MPa에 머물렀습니다. - 그러나 금형 온도를 280°C로 높이고 인서트 예열 온도를 500°C로 설정했을 때, 평균 전단 강도는 15.01 MPa로 약 60% 급증했습니다. 이는 높은 온도가 주입 시 강재 인서트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줄이고, 응고 시간을 지연시켜 코팅과 용탕 간의 야금학적 결합이 형성될 충분한 확산 시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림 10의 이미지 시퀀스는 이 조건에서 파단이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고 연성적으로 안정되게 진행됨을 보여줍니다.
발견 2: 재료 결합과 형상 구속의 시너지로 총 25MPa의 강력한 결합력 달성
인발(pullout) 시험을 통해 순수한 재료 결합력과 알루미늄의 수축으로 인한 형상 구속력(force-fit)을 분리하여 측정했습니다. - 그림 21의 데이터에 따르면, 코팅되지 않은 시편의 경우 평균 8.1 MPa의 형상 구속력만이 작용했습니다. - 반면, 최적 조건에서 주조된 코팅 시편의 경우, 총 인발 강도는 평균 24.2 MPa에 달했습니다. 여기서 형상 구속력 8.1 MPa를 제외하면, 순수한 재료 결합 강도는 16.1 MPa로 계산됩니다. 이는 인장 전단 시험에서 얻은 15.01 MPa와 거의 일치하는 값으로,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뒷받침합니다. 이처럼 재료 결합과 형상 구속의 시너지를 통해 총 25MPa에 달하는 매우 강력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금형 온도를 280°C로, 강재 인서트 예열 온도를 500°C로 설정하는 것이 결합 강도를 극대화하는 핵심임을 시사합니다. 게이트 속도는 40m/s가 최적이며, 이보다 낮으면 기공이 발생하고 높으면 추가적인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 품질 관리팀: 논문의 그림 11에서 확인된 타원형 마킹은 높은 결합 강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파단면의 육안 검사 시 중요한 품질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림 16에 제시된 세 가지 파단 유형은 결합 불량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 설계 엔지니어: 본 연구 결과는 복잡한 하중을 받는 부품에도 하이브리드 주조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가캐스팅의 대안으로서 더 높은 설계 유연성과 경량화 잠재력을 제공하며, 초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고려할 가치가 있습니다.
Paper Details
Influence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arameters on bonding characteristics of aluminium-steel hybrid-castings for automotive lightweight structures
1. 개요:
- 제목: Influence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arameters on bonding characteristics of aluminium-steel hybrid-castings for automotive lightweight structures
- 저자: Florian Mielke, Damian Sulik, Xiangfan Fang
- 발행 연도: 2025
- 저널/학회: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 키워드: Steel-aluminium hybrid-casting, High-pressure die casting, Process parameters, Casting simulation, Material bond, Multi-material design
2. 초록:
자동차 경량 설계를 위해 알루미늄과 강철 이종 금속 구조가 점점 더 많이 적용되고 있다.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는 유망한 기술 중 하나이다. 두 재료 간의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약 10 MPa의 전단 강도와 높은 연성을 보이는 새로운 AlSi(Fe) 코팅이 개발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 다이캐스팅(HPDC) 시험, 열 분석,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하이브리드 주조 시편에 대한 기계적 시험과 함께, 시험된 시편에 대한 유한 요소(FE) 주조 시뮬레이션 및 주사 전자 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전체 공정 체인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AlSi10MnMg 합금 내 DP800 강재의 하이브리드 주조에 대해 수행되었다. 금형 온도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두 번째는 강재 인서트의 예열 온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280°C의 금형 온도와 500°C의 예열 온도, 그리고 40m/s 이상의 사출 게이트 속도에서 전단 강도는 결합층의 상당한 소성 변형과 작은 산포와 함께 15MPa까지 증가할 수 있다. SEM을 통해 세 가지 파단면 유형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이캐스팅 시험으로 보정된 FE 주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주조 공정 중 강재 인서트의 온도 프로파일을 고려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된다. 전단 시편에 대한 이러한 발견은 야금학적 결합과 형상 구속 결합이 중첩된 인발 시험 및 교차 인장 시험을 통해 추가로 검증되었다. 형상 구속과 함께 총 결합 강도는 25MPa에 도달한다.
3. 서론:
엔지니어링 응용 분야에서의 재료 선택은 부품의 기능, 비용 및 작동 조건 하에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측면이다. 경량화와 지속 가능성을 위한 재료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히 자동차와 같은 산업에서는 차량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볍고 공간 효율적이며 하중에 최적화된 설계가 필수적인 다중 재료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고전적인 금속인 강철과 알루미늄은 차체 및 섀시 부품 등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이 두 재료는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의 상당한 차이로 인해 접합이 어렵다. 기계적 접합(리벳팅, 클린칭, 셀프 태핑 스크류), 접착 본딩 및 마찰 교반 용접과 같은 기술 외에도, 하이브리드 주조 공정은 주조 알루미늄과 강재 인서트를 결합하는 유망한 방법이다. 하이브리드 주조를 통해 접합 단계를 1차 성형 공정에 통합함으로써 후속 접합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스트럿 타워, 사이드 멤버 또는 연결 노드와 같은 일부 구조 부품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은 이미 확립되었지만, 자동차 산업은 현재 소위 기가캐스팅이라 불리는 대형 주조 부품으로의 거대한 추세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주조는 더 나은 경량화 잠재력, 더 작은 기계 크기, 더 긴 공구 수명, 감소된 스크랩률 및 낮은 물류 노력 등 기가캐스팅에 비해 수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요구에 따라 알루미늄과 강철을 결합한 다중 재료 구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주조는 이 두 재료를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기술로,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형 부품을 단일체로 주조하는 기가캐스팅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전 연구 현황:
이전 연구들은 주로 아연(Zn) 코팅을 사용한 결합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이는 높은 강도를 보여주더라도 취성 파괴의 한계를 가졌다. 기계적 맞물림을 이용하는 방식도 연구되었으나, 결합 품질이 미세 채널의 충진에 크게 의존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ang은 연성과 인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AlSi(Fe) PVD 코팅을 개발하였고, 약 11 MPa의 전단 강도를 달성하며 그 가능성을 보였다. 하지만 이 코팅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HPDC 공정 변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개발된 AlSi(Fe) 코팅을 적용한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 공정에서, 금형 온도, 강재 인서트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와 같은 핵심 HPDC 공정 변수들이 기계적 결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규명하고, 다양한 형상과 하중 조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핵심 연구:
본 연구는 DP800 강재 인서트에 AlSi(Fe) 코팅을 적용하고 AlSi10MnMg 합금을 사용하여 HPDC 시험을 수행했다. 세 가지 핵심 공정 변수(금형 온도,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를 변화시키며 인장 전단, 인발, 교차 인장 시편을 제작했다. 제작된 시편에 대해 기계적 시험, SEM/EDX를 이용한 미세구조 및 파단면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 측정과 FE 주조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 중의 열적 거동을 분석하고, 이를 실험 결과와 연관 지어 공정-구조-물성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세 가지 핵심 HPDC 공정 변수(금형 온도, 인서트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이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품의 기계적 특성(전단 강도, 인발 강도, 교차 인장 강도) 및 결합부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실험적 연구 설계를 채택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기계적 시험: Zwick Roell Z100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전단, 인발, 교차 인장 시험을 수행하고,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DIC)을 통해 변형을 측정했다.
- 미세구조 분석: Carl Zeiss Ultra 55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ESEM)과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X)을 사용하여 파단면과 단면의 미세구조 및 화학 조성을 분석했다.
- 열적 측정: K-타입 열전대를 강재 인서트에 용접하여 주조 공정 전후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했다.
- 수치 시뮬레이션: RWP사의 WinCast exper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HPDC 공정의 충진 및 응고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강재 인서트의 온도 분포를 예측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본 연구는 자동차 경량 구조용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를 주제로 한다. 연구 범위는 PVD AlSi(Fe) 코팅이 적용된 DP800 강재와 AlSi10MnMg 주조 합금의 조합에 한정된다. HPDC 공정 변수 중 금형 온도(180°C, 280°C), 인서트 예열 온도(250°C, 500°C), 게이트 속도(20, 40, 60 m/s)의 영향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인장 전단, 인발, 교차 인장의 세 가지 시편 형상과 하중 조건을 통해 결합 특성을 평가한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금형 온도는 결합 강도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280°C의 높은 금형 온도가 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 강재 인서트를 500°C로 예열하는 것은 낮은 금형 온도와 높은 금형 온도 모두에서 결합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켰다.
- 최적의 공정 조합(금형 온도 280°C, 예열 온도 500°C, 게이트 속도 40m/s 이상)에서 전단 강도는 15MPa에 도달했으며, 상당한 연성 파괴 거동을 보였다.
- SEM 분석을 통해 공정 조건에 따라 세 가지 뚜렷한 파단 유형(주조재 내 혼합 파괴, 코팅층 내 혼합 파괴, 변형을 동반한 접착 파괴)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결합 품질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인발 시험을 통해 형상 구속(force-fit)에 의한 기여분(8.1MPa)이 정량화되었고, 이를 재료 결합 강도(16.1MPa)와 합산하여 총 결합 강도가 약 25MPa에 달함을 확인했다.
- 교차 인장 시험 결과는 인장 전단 시험에서 관찰된 공정 변수의 영향이 다른 하중 조건 및 형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검증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적인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 고려된 모든 주조 조건에서 코팅의 금속간화합물(IMP) 층 두께는 하이브리드 주조 공정 중 변하지 않았다.
Figure Name List:





- Fig. 1. a) Cross-section scheme of the PVD AlSi columnar grain structure [29] and b) SEM image of the coating surface.
- Fig. 2. a) First casting die for creating shear and pullout specimen (b) from flat steel sheets and c) second casting die for creating cross-tension specimen (d) from U-shaped steel sheets.
- Fig. 3.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steel sheet with temperature measurement positions on bottom and top of the bonding area and in the clamped steel zone (positions 0, 1, 2), b) bonding side of the steel sheet with welded thermocouples, c) backside of the sheet positioned in the movable mould half.
- Fig. 4. Components of the numerical casting model: a) aluminium cast components and steel sheet inserts in the movable mould half, b) fixed mould half with casting chamber, c) detailed image of the FE-mesh.
- Fig. 5. a) Thermophysical properties and b) heat transfer coefficients (HTCs) used in the casting simulation.
- Fig. 6. Temperature profiles of steel sheets from furnace transfer to HPDC shot at different mould temperatures: a) 180 °C, b) 280 °C. The locations of temperature measurements (points 0, 1, 2) are indicated in Fig. 3.
- Fig. 7. a) Steel sheet and Al-cast temperature profiles during form-filling and solidification for different mould and preheating temperature settings, b) temperature affected zones of the steel sheets at the points of maximum temperature.
- Fig. 8. Temperature affected zones of the steel sheets during solidification and cooling, shown here for temperature settings TM = 280 °C and Tp = 500 °C.
- Fig. 9. a) Bar chart of the tensile shear strength for different mould and preheating temperatures and b) strength-elongation diagram of selected results representing the behaviour in each test series.
- Fig. 10. Ductile fracture behaviour of the Al-steel connection in an image sequence of the tensile shear test of a specimen casted with TM = 280 °C and Tp = 500 °C, showing the ductile fracture behaviour.
- Fig. 11. Formation of an elliptical marking on the steel sheets with higher mould and preheating temperatures.
- Fig. 12. Investigated areas on the fracture surfaces.
- Fig. 13. SEM analyses of the low-temperature samples (TM = 180 °C/TP = 250 °C): a) Zone A, b) cross section of the failure in the first sublayer, c) cross section of the failure in between the sublayers, d) Zone B and C.
- Fig. 14. SEM analyses of the medium-temperature samples (TM = 180 °C/Tp = 500 °C & TM = 280 °C/TP = 250 °C): a) Zone A, b) cross section of the failure in between the second sublayer and cast material, c) Zone B, d) Zone C.
- Fig. 15. SEM analyses of the high-temperature samples (TM = 280 °C/TP = 500 °C): a) Zone A, b) Zone B, c) Zone C.
- Fig. 16. Failure mechanisms of the bonding: a) Type I - mixed adhesive-cohesive in the cast material, b) Type II - mixed adhesive-cohesive in the coating, c) Type III - adhesive.
- Fig. 17. Comparison of mould filling using interrupted shots at 3 exemplary intermediate stages of the cast component, top: real cast components, bottom: simulation results.
- Fig. 18. Flow velocities for various stages of filling the Al-cast part of the shear specimen, represented here for initial gate velocity 40 m/s.
- Fig. 19. Comparison of flow velocities for the different parameter settings, the selected timestep is the time of maximum flow velocity at the interface to the steel sheet.
- Fig. 20. a) Bar chart of the tensile shear strength for different gate velocities and b) strength-elongation diagram of selected results representing the behaviour in each test series.
- Fig. 21. Pullout forces and resulting shear strengths of uncoated and coated pullout specimens, separation into force-fit and material bond proportions.
- Fig. 22. Different types of fracture for uncoated and coated pullout-specimens.
- Fig. 23. Bar chart diagram of the cross-tension strength for different mould (TM), casting (Tc) and preheating temperatures (Tp) as well as different gate velocities (VG) and their combinations.
- Fig. 24. Fracture surfaces of cross-tension specimens casted at a) low mould and preheating temperature and b) high mould and preheating temperature. Gate velocity was 40 m/s and casting temperature was 685 °C for both variants.
7. 결론:
본 연구는 강재 인서트에 신규 PVD AlSi(Fe) 코팅을 사용하여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 부품의 결합 강도에 대한 다양한 HPDC 공정 변수의 중요한 영향을 입증했다. 금형 온도, 강재 인서트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와 같은 변수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주조 연결의 결합 강도와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설정을 확인했다. 유리한 공정 변수를 선택하면 높은 전단 강도(> 15 MPa)와 연성 파괴 거동을 갖는 연결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시편과 하중 사례를 사용하여 인장 전단 시험의 결과를 성공적으로 검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장래의 산업 응용 분야에서 일관된 부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1. 금형 온도는 알루미늄-강 HPDC 하이브리드 주조에서 가장 지배적인 공정 변수이며, 더 높은 온도(280°C)는 결합 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2. 강재 인서트를 500°C로 예열하면 낮은(180°C) 및 높은(280°C) 금형 온도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결합 강도를 향상시킨다. 3. SEM 분석 결과, 더 높은 예열 및 금형 온도는 주조 재료의 코팅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 이미지는 강한 야금학적 맞물림을 나타내는 심하게 변형된 연성 파괴 표면을 보여준다. 파단면 특성과 기계적 결과 및 FEM 주조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상관관계가 가능하다. 4. 주조 속도 및 게이트 속도에 대해 특정 매개변수 창이 확인되었다: 낮은 속도(20 m/s)는 증가된 다공성으로 인해 결합 강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더 높은 속도(60 m/s)는 강도를 더 이상 향상시키지 않는다. 40 m/s의 최적값이 결정되었다. 5. 최상의 공정 변수 조합을 위해 전단 강도는 연성 파괴 거동을 유지하면서 15MPa로 향상되었다. 6. 주입된 시편의 인발 시험에서, 단면 인장 전단 시험의 관찰 결과가 재현될 수 있었고 연성 파괴 거동이 다시 입증되었다. 형상 구속과 재료 결합 강도 구성 요소 간의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다. 7. 형상 구속 메커니즘과 함께 총 결합 강도는 25MPa에 도달한다. 8. 교차 인장 시편에 대한 광범위한 매개변수 설정 조합은 인장 전단 시편과 동일한 공정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다른 시편 형상 및 하중 유형 또는 실제 부품으로의 이전 가능성을 확인한다. 9. 여기서 고려된 모든 시편 및 주조 조건에 대해 IMP 층 두께는 하이브리드 주조 공정 중에 변하지 않았다.
8. References:
- [1] Friedrich HE. Leichtbau in der Fahrzeugtechnik. 2nd ed. Wiesbaden: Springer Vieweg; 2017.
- [2] Fang XF. Karosserieentwicklung und -Leichtbau. 1st ed. Berlin, Heidelberg: Springer Vieweg; 2023.
- [3] Czerwinski F. Current trends in automotive lightweighting strategies and materials. Materials 2021;14(21):6631. https://doi.org/10.3390/ma14216631.
- [4] Yang Y, Luo Z, Zhang Y, Su J. Dissimilar welding of aluminium to steel: a review. J Manuf Process 2024;110:376-97. https://doi.org/10.1016/j.jmapro.2023.12.060.
- [5] Groche P, Wohletz S, Brenneis M, Pabst C, Resch F. Joining by forming-a review on joint mechanisms, applications and future trends. J Mater Process Technol 2014;214(10):1972-94. https://doi.org/10.1016/j.jmatprotec.2013.12.022.
- [6] Stolz L, Xu H, Fang XF. Lightweight, package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of a shock tower by using steel-aluminium hybrid-casting technique. Automot Engine Technol 2022;7(3–4):265-81. https://doi.org/10.1007/s41104-022-00112-w.
- [7] Fraunhofer IFAM. Short processing times thanks to hybrid castings - ideal for lightweight construction. https://www.ifam.fraunhofer.de/en/technologies/hybrid-casting.html;. [Accessed 23 October 2024].
- [8] Light Metal Age Magazine. The impact of giga-castings on Car manufacturing and aluminum content, Light Metal Age Magazine; 2023. https://www.lightmetalage.com/news/industry-news/automotive/the-impact-of-giga-castings-on-car-manufacturing-and-aluminum-content/;. [Accessed 17 October 2024].
- [9] Burggräf P, Bergweiler G, Kehrer S, Krawczyk T, Fiedler F. Mega-casting in the automotive production system: expert interview-based impact analysis of large-format aluminium high-pressure die-casting (HPDC) on the vehicle production. J Manuf Process 2024;124:918-35. https://doi.org/10.1016/j.jmapro.2024.06.028.
- [10] Lehmhus D. Advances in metal casting technology: a review of state of the art, challenges and trends-part II: technologies new and revived. Metals 2024;14(3):334. https://doi.org/10.3390/met14030334.
- [11] Oberschelp C. Hybride Leichtbaustrukturen für den Karosseriebau - gusswerkstofforientierte Anwendungsuntersuchungen für das Druckgießen. Aachen: Gießerei-Institut der RWTH Aachen; 2012 [PhD thesis].
- [12] Lao B. Druckgegossene Metallhybridstrukturen für den Leichtbau-Prozess, Werkstoffe und Gefüge der Metallhybriden. Aachen: Gießerei-Institut der RWTH Aachen; 2013 [PhD thesis].
- [13] Wu M, Yang J, Huang F, Hua L, Xiong S. Bonding of cast iron-aluminum in bimetallic castings by high-pressure die casting process. Int J Adv Manuf Technol 2022;120(1-2):537-49. https://doi.org/10.1007/s00170-022-08816
- [14] Blala H, Pengzhi C, Shenglun Z, Gang C, Shangwen R, Zhang M. Innovative hybrid high-pressure die-casting process for load-bearing body-in-white structural components. Int J Metalcast 2024. https://doi.org/10.1007/s40962-024-01280-1.
- [15] Rübner M, Günzl M, Körner C, Singer RF. Aluminium-aluminium compound fabrication by high pressure die casting. J Mater Sci Eng A 2011;528(22-23):7024-9. https://doi.org/10.1016/j.msea.2011.05.076.
- [16] Koerner C, Schwankl M, Himmler D. Aluminum-aluminum compound castings by electroless deposited zinc layers. J Mater Process Technol 2014;214(5):1094-101. https://doi.org/10.1016/j.jmatprotec.2013.12.014.
- [17] Schwankl M, Wedler J, Körner C. Wrought Al - cast Al compound casting based on zincate treatment for aluminum wrought alloy inserts. J Mater Process Technol 2016;238:160-8. https://doi.org/10.1016/j.jmatprotec.2016.07.001.
- [18] Bakke AO, Nordmark A, Arnberg L, Li Y. Sn-aided joining of cast aluminum and steel through a compound casting process. Metall Mater Trans B 2022;53(1):60-70. https://doi.org/10.1007/s11663-021-02329-w.
- [19] Aguado E, Baquedano A, Uribe U, Fernandez-Calvo AI, Niklas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interfaces of steel inserts in aluminium castings. Mater Sci Forum 2013;765:711-5.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MSF.765.711.
- [20] Jiang W, Li G, Wu Y, Liu X, Fan Z. Effect of heat treatment on bonding strength of aluminum/steel bimetal produced by a compound casting. J Mater Process Technol 2018;258:239-50. https://doi.org/10.1016/j.jmatprotec.2018.04.006.
- [21] Bruckmeier L, Ringel A, Vroomen U, Bailly D, Bührig-Polaczek A. Influence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rocess parameters on the compound strength of hybrid components with undercut sheet metal. Metals 2023;13(10):1717. https://doi.org/10.3390/met13101717.
- [22] Bruckmeier L, Ringel A, Erck M, Bailly D, Bobzin K, Heinemann H, et al. Investigation of the compound strength of hybrid casting components with different variations of coated and undercut sheet metal. Int J Metalcast 2024. https://doi.org/10.1007/s40962-024-01359-9.
- [23] Ringel A, Shayan S, Bailly D. Double-sided surface structures with undercuts on cold-rolled steel sheets for interlocking in hybrid components. Machines 2024;12(8):562. https://doi.org/10.3390/machines12080562.
- [24] Springer H, Kostka A, Payton EJ, Raabe D, Kaysser-Pyzalla A, Eggeler G. On the formation and growth of intermetallic phases during interdiffusion between low-carbon steel and aluminum alloys. Acta Mater 2011;59(4):1586-600. https://doi.org/10.1016/j.actamat.2010.11.023.
- [25] Fang XF. Evaluation of coating systems for steel aluminum hybrid casting. J Mater Sci Eng A 2017;7(3–4):51-67. https://doi.org/10.17265/2161-6213/2017.3-4.001.
- [26] Fang XF, Gundlach J, Schipperges J-J, Jiang X. On the steel-aluminum hybrid casting by sand casting. J Mater Eng Perform 2018;27(12):6415-25. https://doi.org/10.1007/s11665-018-3717-8.
- [27] Springer H, Kostka A, dos Santos JF, Raabe D. Influence of intermetallic phases and Kirkendall-porosit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joints between steel and aluminium alloys. J Mater Sci Eng A 2011;528(13-14):4630-42. https://doi.org/10.1016/j.msea.2011.02.057.
- [28] Agudo Jácome L, Weber S, Leitner A, Arenholz E, Bruckner J, Hackl H, et al. Influence of filler composi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aluminum joints produced by metal arc joining. Adv Eng Mater 2009;11(5):350-8. https://doi.org/10.1002/adem.200800319.
- [29] Martin S, Sulik D, Fang XF, Becker H, Leineweber A. Steel-aluminum hybrid die casting: microstructures related to the applied Al-Si bond coating. Intermetallics 2022;151:107712. https://doi.org/10.1016/j.intermet.2022.107712.
- [30] Mielke F, Anand SC, Fang XF. Local reinforcement of a fuel cell end plate for package improvements using steel-aluminium hybrid-casting technology. Int J Automot Technol 2024. https://doi.org/10.1007/s12239-024-00129-0.
- [31] Rheinfelden Alloys. Handbook primary aluminium - alloys for pressure die casting. https://rheinfelden-alloys.eu/wp-content/uploads/2017/01/Handbook-Die-Casting-Aluminium-Alloys_RHEINFELDEN-ALLOYS_2016_EN.pdf. [Accessed 16 October 2024].
- [32] Joop D. Präzisionsbestimmende Faktoren bei der Herstellung blechverstärkter Hybridstrukturen im Druckguss - Grenzflächenanalyse und Verzugsoptimierung. Aachen: Gießerei-Institut der RWTH Aachen; 2018 [PhD thesis].
전문가 Q&A: 자주 묻는 질문
Q1: 왜 일반적인 아연(Zn) 코팅 대신 새로운 AlSi(Fe) PVD 코팅을 사용했나요?
A1: 이전 연구에서 아연 코팅은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지만, 취성 파괴 거동을 나타내어 자동차 부품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 연구에 사용된 AlSi(Fe) 코팅은 강재와 알루미늄 사이에 연성이 우수한 금속간화합물(IMP) 층을 형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강도와 동시에 안정적인 연성 파괴를 유도하여, 동적 하중을 받는 자동차 부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2: 결합 강도에 가장 결정적인 공정 변수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금형 온도입니다. 높은 금형 온도(280°C)는 주입되는 고온의 알루미늄 용탕과 상대적으로 차가운 강재 인서트 간의 온도 차이를 줄여줍니다. 이는 강재 인서트에 가해지는 열충격을 완화하고, 주조품의 냉각 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느려진 냉각 속도는 코팅층과 용탕 사이에서 야금학적 결합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확산 시간을 확보해주어 궁극적으로 더 강하고 균일한 결합을 만듭니다.
Q3: 게이트 속도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A3: 40m/s의 게이트 속도가 최적의 결과를 보였습니다. 20m/s의 낮은 속도에서는 용탕의 충진이 불완전하여 기공이 발생하고 결합 강도가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반면, 60m/s의 높은 속도는 40m/s와 비교하여 결합 강도에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품질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할 때 40m/s가 가장 적합한 게이트 속도로 권장됩니다.
Q4: 논문에서 언급된 세 가지 파단 유형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나요? A4: 세 가지 파단 유형은 결합부의 파괴 메커니즘을 나타내며, 결합 품질을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유형 I (Type I): 주조재 내에서의 혼합 파괴로, 코팅과 주조재 간의 결합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유형 II (Type II): 코팅층 내에서의 혼합 파괴로, 결합이 주로 코팅 내부에서 일어났음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낮은 결합 강도를 보입니다. - 유형 III (Type III): 심한 변형을 동반한 접착 파괴로, 코팅이 강재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에서 주조재와의 계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입니다. 이는 가장 강력하고 연성적인 결합 상태를 의미합니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 유형 I과 III이 주로 관찰되었습니다.
Q5: 짧은 HPDC 공정 시간 동안 코팅의 금속간화합물(IMP) 층에 변화가 있었나요?
A5: 아니요, 변화가 없었습니다. 모든 실험 조건에 걸쳐 단면을 SEM으로 분석한 결과, 코팅의 초기 IMP 층 두께(2-3µm)는 하이브리드 주조 공정 후에도 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HPDC 공정 중 400-500°C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 IMP 층이 추가적으로 성장하거나 변형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알루미늄-강 하이브리드 주조는 자동차 경량화의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이지만, 그 성공은 공정 변수의 정밀한 제어에 달려 있습니다. 본 연구는 신규 AlSi(Fe) 코팅을 사용하여 금형 온도, 예열 온도, 게이트 속도를 최적화함으로써,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25MPa의 강력하고 연성적인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R&D 및 생산 현장의 엔지니어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여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저희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알아보십시오."
저작권 정보
이 콘텐츠는 "Influence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arameters on bonding characteristics of aluminium-steel hybrid-castings for automotive lightweight structures" (저자: Florian Mielke, Damian Sulik, Xiangfan Fang) 논문을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출처: https://doi.org/10.1016/j.jmapro.2025.04.032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