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개 논문은 "[J. JFS (Journal of the Japan Foundry Engineering Society)]"에 게재된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논문을 기반으로 합니다.

1. 개요:
- 제목: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된 알칼리 할라이드 솔트 코어의 강도 (원제: ホウ酸アルミニウムウィスカで強化したアルカリハライド中子の強度)
- 저자: Jun Yaokawa, Tomoki Sawada, Koichi Anzai, Youji Yamada, Hiroshi Yoshii and Hiroyuki Fukui
- 발행 연도: 2006
- 게재 학술지/학회: J. JFS, Vol. 78, No. 2 (2006) pp. 59~64
- 키워드: 솔트 코어, 알칼리 할라이드,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 다이캐스팅, 소모성 코어
2. 초록:
고압 다이캐스팅용 솔트 코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세 가지 알칼리 할라이드, 즉 염화나트륨 NaCl (98%), 브롬화칼륨 KBr (99.7%), 브롬화나트륨 NaBr (99.7%)가 솔트 재료로 준비되었다. 염화칼륨 KCl 강화에 가장 좋은 보강재인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가 솔트 코어 보강재로 선택되었다. 이 솔트 재료들은 전기 저항로에서 용해되어 30K의 과열도로 영구 주형에 주입되었다.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4점 굽힘 시험이 수행되었다. KBr과 NaBr의 최대 휘스커 첨가율은 약 10 vol%였으며, 휘스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약 25 MPa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이들 염과는 대조적으로 NaCl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될 수 없었다. SEM-EDX 국소 분석 결과, NaCl의 응집된 휘스커 근처에서만 마그네슘 불순물이 발견되어 NaCl의 마그네슘 불순물이 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순도 NaCl (99.5%)은 실제로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될 수 있었으며, 최대 휘스커 첨가율은 약 7.6 vol%였고 최대 강도는 휘스커 첨가에 따라 약 20 MPa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3. 서론:
소모성 코어를 활용한 다이캐스팅 공정은 복잡한 언더컷 형상을 가진 제품 제조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이캐스팅은 생산성과 비용 효율성이 가장 뛰어나지만, 언더컷 제품에 필요한 소모성 코어 적용은 어려웠다. 그러나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제품 경량화, 기계적 강도 향상, 부품 수 감소를 통한 비용 절감 등의 요구로 인해 언더컷 제품의 다이캐스팅화가 최근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 공정에서는 용탕의 고속 사출 시 코어에 큰 충격력이 가해지므로 소모성 코어에는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동시에 주조 후 열처리 없이 단시간에 코어를 제거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즉, 코어는 강도와 제거성을 겸비해야 하며, 이러한 소모성 코어로서 모래 코어 [Ref. 1, 2], 금속 인서트 코어 [Ref. 3, 4], 플라스틱 코어, 솔트 코어 [Ref. 5-7] 등이 제안되어 왔다. 솔트 코어는 콘크리트 수준의 고강도를 가지면서 솔트 자체가 수용성이어서 제거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보고된 바 있다. 솔트 코어의 성형 방법에는 소결법과 용융 성형법이 있지만, 형상 자유도 면에서 용융 성형법이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다지 연구되지 않았다. 저자들의 이전 연구 [Ref. 7]에서는 염화칼륨(KCl)을 세라믹 휘스커·입자로 강화하여 용융 성형한 솔트 코어의 강도를 검토하여,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를 강화재로 사용하면 특이적으로 고강도를 얻을 수 있어 다이캐스팅에 적합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화칼륨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성질을 가진 알칼리 할라이드류인 염화나트륨(NaCl), 브롬화나트륨(NaBr), 브롬화칼륨(KBr)에 대해서도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에 의한 강화가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본 연구는 특히 자동차 부품용 고압 다이캐스팅에서 복잡한 언더컷 형상을 생산하기 위한 고강도이면서 쉽게 제거 가능한 소모성 코어의 필요성을 다룬다. 솔트 코어가 유망하지만, 최적의 성능을 위한 강화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전 연구 현황:
이전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하고 용융 성형한 KCl 기반 솔트 코어가 높은 강도를 보였다 [Ref. 7]. 그러나 이 강화 방법이 다른 알칼리 할라이드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소결법과 용융 성형법이 솔트 코어 생산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융 성형법이 형상 자유도가 더 좋지만 연구는 덜 되어 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가 다양한 알칼리 할라이드 염(NaCl, KBr, NaBr)에 미치는 강화 효과를 용융 성형 시 조사하고, 이들의 성능을 이전에 연구된 KCl 기반 코어와 비교하며, 특히 NaCl 강화에 대한 불순물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규명하는 것이었다.
핵심 연구:
연구의 핵심은 다양한 양의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된 세 가지 알칼리 할라이드(공업용 NaCl, KBr, NaBr 및 고순도 NaCl)로부터 솔트 코어를 제조하는 것이었다. 이 재료들을 용해하여 영구 주형에 주입하였다. 생성된 솔트 코어의 기계적 강도는 4점 굽힘 시험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SEM 및 EDX를 포함한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휘스커 분포, 파괴 거동 및 특히 NaCl 내 불순물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가 다양한 알칼리 할라이드 염(NaCl, KBr, NaBr)에 미치는 강화 효과를 비교하고, 염의 순도(공업용 대 고순도 NaCl)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도록 설계되었다. 염-휘스커 혼합물을 용해, 교반한 후 영구 주형에 주입하였다. 주요 측정 결과는 굽힘 강도였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시험편은 솔트 재료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를 전기 저항로에서 용해한 후 30K의 과열도로 영구 주형에 주입하여 제조하였다. 강도는 4점 굽힘 시험(상부 스팬 10mm, 하부 스팬 50mm, 시험 속도 1.6×10⁻² mm s⁻¹)을 사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강도는 σ = 3LP/BH²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휘스커 분산, 응집 및 파단면을 관찰하는 미세구조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X)을 사용하여 불순물과 그 분포를 식별하기 위한 국소 화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주제 및 범위:
본 연구는 다음에 중점을 두었다:
- NaCl, KBr, NaBr 솔트 코어에서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의 강화 가능성 조사.
- 이들 염에 대한 최대 휘스커 첨가율 및 해당 굽힘 강도 결정.
- 이러한 결과를 KCl에 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
- 불순물(특히 NaCl 내 마그네슘)이 강화 메커니즘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공업용 NaCl (97.93% 및 98%)과 고순도 NaCl (99.5%) 비교.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KBr과 NaBr의 경우, 굽힘 강도는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 첨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KC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KBr의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11.3 vol% (강도 ~27 MPa)였고, NaBr의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10.8 vol% (강도 ~21 MPa)였다. [Fig. 3]
- 공업용 NaCl (97.93% 또는 98% 순도)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효과적으로 강화되지 못했다.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4 vol%에 불과했고, 강도(약 3 MPa)는 강화되지 않은 NaCl과 유사했다. [Fig. 3]
- 공업용 NaCl의 SEM-EDX 분석 결과, 마그네슘 불순물이 응집된 휘스커 근처에서 발견되어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 고순도 NaCl (99.5%)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될 수 있었다.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7.6 vol%로 증가했고, 최대 강도는 휘스커 첨가에 따라 약 20 MPa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Fig. 7]
- 고순도 NaCl의 EDX 분석에서는 휘스커 근처에서 마그네슘 편석이 관찰되지 않았다. [Fig. 9]
- 이러한 솔트 코어의 강화 메커니즘은 휘스커에 의한 브리징(bridging)으로 제안되며, 휘스커와 솔트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 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Fig. 5, Fig. 8(b)]
- 공업용 NaCl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불순물은 일반적인 휘스커 열화보다는 반응이나 계면 특성 변경을 통해 이 계면 강도를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제목 목록:




- Table 1: Material properties and purity of alkali halides used in this research 8,9).
- Fig. 1: SEM image of aluminum borate whisker.
- Fig. 2: Casting design of bending test specimens.
- Fig. 3: Bending strength of industrial grade alkali halides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
- Fig. 4: Macrostructures of alkali halides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 Whisker additions are (a) 4.1 vol%, (b) 4.7 vol%, (c) 5.5 vol%, (d) 3.8 vol%.
- Fig. 5: Microstructures of industrial grade alkali halides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 Whisker additions are (a) 4.1 vol%, (b) 4.7 vol% and (c) 3.8 vol%.
- Fig. 6: Microstructures and EDX results of industrial grade NaCl (97.93%) reinforced by 3.8vol% aluminum borate whisker. (a) is SEM image with low magnification. (b) and (c) are enlarged area in fig.6 (a). (d) and (e) are EDX results analyzed at fig. 6 (b) and (c), respectively.
- Fig. 7: Bending strength of industrial grade NaCl (97.93%) and purified NaCl (99.5%)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s.
- Fig. 8: (a) Macrostructure of purified NaCl (99.5%)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 Whisker addition is 3.8 vol%. (b) Microstructure of the same specimen.
- Fig. 9: Microstructures and EDX results of purified NaCl (99.5%) reinforced by aluminum borate whisker. Whisker addition is 3.8vol%. (a) is SEM image with low magnification. (b) and (c) are enlarged area in fig. 6 (a). (d) and (e) are EDX results analyzed at fig.6 (b) and (c), respectively.
7. 결론:
(1) 알칼리 할라이드를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했을 때, 주조 가능한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KCl (13 vol%)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KBr (11.3 vol%), NaBr (10.8 vol%) 순이었다. KCl에서 얻은 최대 굽힘 강도는 약 30 MPa였으며, KBr도 약 29 MPa로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KBr은 융점이 1007 K (KCl의 1043 K보다 36 K 낮음)으로 용융 성형 공정에도 적합하다.
(2) 공업용 NaCl에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를 첨가했을 때 강화 효과가 미미했다. 휘스커의 최대 첨가량은 약 4 vol%로 비정상적으로 적었고, 휘스커 첨가에 의한 강화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고순도 NaCl에서는 강화 효과가 개선되어, 휘스커의 최대 첨가량이 7.6 vol%로 공업용 NaCl의 경우보다 약 2배 가까이 증가했고, 최대 강도도 약 20 MPa의 고강도를 나타냈다.
(3) 공업용 NaCl에 포함된 마그네슘 불순물이 휘스커 응집부에 편석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불순물이 최대 첨가량이나 강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에 의한 솔트 코어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불순물 혼입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8. 참고문헌:
- M. Yamazaki, A. Takai, O. Murakami, M. Kawabata, O. Ito and M. Kawabata: SAE Technical Paper 2004-01-1447
- T. Manabe, M. Nitta and M. Yaguchi: SOKEIZAI, 44 (2003) no. 12, pp. 26-30
- Y. Mizukusa, U. S. Patent No. 5, 690, 159 (Nov. 25, 1997)
- R. Izawa, T. Takayama, Y. Mizukusa and T. Komazaki: Report of Japan Die Casting Association, JD02 (2002) 223
- A. D. Ackerman and H. A. Aula, U.S. Patent No. 4, 446, 906 (May 8, 1984)
- Y. Kaneko and A. Morita; Report of Japan Die Casting Association, K71 (1971)45
- J. Yaokawa, K. Anzai, Y. Yamada, H. Yoshii and H. Fukui: J. JFS, 76 (2004)823
- Janz G. J: Molten Salts Handbook, New York, London: Academic press, (1967)
- Japan Society of Thermophysical Properties: Thermophysical Property Handbook, Yokendo, (1990) 106
- Y. Kagawa and H. Hatta: "Ceramic Matrix Composites-Tailoring Ceramic Composites", Agune Shohusha, (1990)
- J. Pan, S. P. Lee, M. Yoshida, G. Sasaki, N. Fuyama, T. Fujii and H. Fukunaga: Adv. Composite Mater., 10 (2001) 299
- X. G. Ning, J. Pan, K. Y. Hu and H. Q. Ye: Mater. Letters, 13 (1992) 377
- W. Y. Zheng, K. Wu, M. Liang, S. Kamado and Y. Kojima: Mater. Sci. Eng. A372 (2004) 66
9. 저작권:
- 이 자료는 "Jun Yaokawa, Tomoki Sawada, Koichi Anzai, Youji Yamada, Hiroshi Yoshii and Hiroyuki Fukui"의 논문입니다.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를 기반으로 합니다.
- 논문 출처: 제공된 문서에는 DOI가 없습니다. J. JFS, Vol. 78, No. 2 (2006) pp. 59~64.
이 자료는 위 논문을 바탕으로 요약되었으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
논문 요약:
연구에 대한 주요 질문과 답변:
본 논문은 고압 다이캐스팅용 다양한 알칼리 할라이드 솔트 코어(NaCl, KBr, NaBr)에 대한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의 강화 효과를 조사하고, KCl에 대한 이전 결과와 비교했습니다. 연구 결과, KBr과 NaBr은 KCl과 유사하게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었지만, 공업용 NaCl은 마그네슘 불순물이 휘스커-매트릭스 계면에 영향을 미쳐 강화 효과가 미미했습니다. 그러나 고순도 NaCl은 강화될 수 있었으며, 이는 고강도 솔트 코어 개발에 있어 불순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Q1. 다이캐스팅용 솔트 코어에 관한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무엇이었습니까?
A1. 주요 목표는 KCl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알칼리 할라이드(NaCl, NaBr, KBr)가 고압 다이캐스팅용 솔트 코어로 사용하기 위해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1. はじめに]
Q2.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 강화는 KBr 및 NaBr 염에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
A2. KBr과 NaBr의 경우, 굽힘 강도는 휘스커 첨가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약 25 MPa에 도달했으며, 이는 KCl에 대한 이전 연구 결과와 유사했습니다.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KBr의 경우 약 11.3 vol%, NaBr의 경우 약 10.8 vol%였습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3.1, Fig. 3]
Q3. 공업용 NaCl을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했을 때 어떤 현상이 관찰되었습니까?
A3. 공업용 NaCl은 효과적으로 강화되지 않았습니다.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4 vol%에 불과했고, 강도(약 3 MPa)는 강화되지 않은 NaCl과 비교하여 크게 향상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3.1, Fig. 3]
Q4. 공업용 NaCl의 강화 효과가 미미했던 주요 요인은 무엇으로 확인되었습니까?
A4. SEM-EDX 분석 결과, 공업용 NaCl 내 마그네슘 불순물이 응집된 휘스커 근처에 편석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이 불순물이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합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3.2, Fig. 6]
Q5. 고순도 NaCl은 더 나은 강화 특성을 보였습니까?
A5. 네, 고순도 NaCl (99.5%)은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로 강화될 수 있었습니다. 최대 휘스커 첨가량은 약 7.6 vol%로 증가했고, 강도는 휘스커 첨가에 따라 약 20 MPa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3.3, Fig. 7]
Q6. 알칼리 할라이드 솔트 코어 강화에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불순물에 관한 주요 결론은 무엇입니까?
A6. 공업용 NaCl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불순물은 휘스커 응집부에 편석되어 최대 휘스커 첨가량 및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보레이트 휘스커를 사용하여 솔트 코어를 성공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불순물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Strength of Aluminum Borate Whisker Reinforced Alkali Halides Salt Core", Section 4. 結 論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