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개 논문은 Anveshana'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에 게재된 논문 "IMPROVING QUALITY AND EFFICIENCY IN DIE CASTING OF COMPLEX HOUSINGS"의 연구 내용입니다.

1. 개요:
- 제목: 복잡한 하우징의 다이캐스팅 품질 및 효율성 향상 (IMPROVING QUALITY AND EFFICIENCY IN DIE CASTING OF COMPLEX HOUSINGS)
- 저자: Naveen Singhal, Dr. Sangeeth Gupta, Dr. Krishnamachary P C
- 출판 연도: 2023
- 게재 저널/학회: Anveshana'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VOLUME 8, ISSUE 7 (2023, JULY))
- 키워드: 경량화(Light weighting), 알루미늄 주조 합금(Aluminum casting alloys), 연료 소비(Fuel consumption).
2. 초록 (Abstract)
생태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연료 소비를 줄이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 중에서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과 같은 경량 합금의 사용은 자동차 응용 분야에서 큰 중요성을 얻었습니다. 경량, 재활용성, 가공성 및 내식성 측면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장점은 이러한 합금의 적용 분야를 증가 시켰습니다. 알루미늄 응용 분야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항공 우주, 우주 왕복선, 해양 및 방위 산업에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산 방법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은 일반적으로 주조, 판재, 단조 및 압출로 분류됩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은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시스템, 엔진 및 기어 부품 생산에 사용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자동차 산업에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개발의 연구 및 지금까지의 경향도 요약되어 있습니다.
3. 연구 배경:
연구 주제 배경:
- 차량의 중량 감소는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감소에 매우 중요합니다.
- 경량 소재,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자동차 응용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알루미늄 합금은 무게, 재활용성, 가공성 및 내식성에서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전 연구 현황:
- 알루미늄 합금은 오랫동안 항공 및 방위 산업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주조 알루미늄 합금은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전 세계적으로 제조되는 모든 알루미늄 제품의 최대 20-30%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에 사용됩니다.
- 이전 연구에서는 다음을 조사했습니다.
- 주조 결함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Drezet, JM, Rappaz et al (2000)).
- 합금 조성이 다공성 및 피로 한계에 미치는 영향 (H. Mayer, (2003)).
- Taguchi 방법을 사용한 주조 공정 매개변수 최적화 (Kumar Sudhir et al. (2006)).
- 이미지 인식을 사용한 자동화된 품질 평가 기술 (Dobrzanski et al. (2007)).
- 다이캐스트 부품 분리 경로 선택 기준 (Madan et al. (2009)).
연구 필요성:
- 특히 전기 자동차에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 및 효율성 개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 현대 자동차 부품의 복잡한 형상은 다이캐스팅에 어려움을 줍니다.
4.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연구 목적:
- 자동차 산업에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개발의 연구 및 경향을 요약합니다.
핵심 연구:
- 핵심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최적의 주조 매개변수를 찾는 것입니다.
5. 연구 방법
- 샘플: 200톤의 HPDC 성형 AZ91D 합금.
- 주조 매개변수: 용탕 온도(578°C), 고체 마그네슘 온도(430°C), 다이 온도(200°C), 주입 온도(630°C), 플런저 속도(0.14 - 0.83 m/s).
- 장비: 진공 펌프, 진공 탱크, Universal Electromechanical Instron 5569.
- 분석 소프트웨어: Quik Cast 프로그램.
- 미세 구조 검사: 광학 현미경(OM), 주사 전자 현미경(SEM).
- 방법론 세부 사항:
- 원래의 주조 기술은 용융된 유체를 주입 챔버로 옮기는 것이었습니다.
- 둘째, 플런저가 캐비티를 채우고 스프링클러 갭을 통과했습니다.
- 다이 캐비티 내 활성화 진공 메커니즘 압력이 주변 대기보다 낮았습니다.
- 열처리 없이 인장 시편을 평가했습니다.
6. 주요 연구 결과:
주요 연구 결과 및 제시된 데이터 분석:
- 충진 시간 분석:
- 그림 6.4는 첫 번째 실험의 충진 시간을 보여줍니다. 붉은색 영역은 평균 충진 시간이 0.1894초인 민감한 지점을 나타냅니다.
- 그림 6.5는 첫 번째 실험의 시뮬레이션을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채워진 영역을 강조합니다.
- 그래프 6.1은 각 시뮬레이션의 최대 충진 시간을 나타내며, 반복 2가 가장 긴 충진 시간을 가졌음을 보여줍니다.
- 수축 다공성 분석:
- 그림 6.8은 첫 번째 실험의 총 수축 다공성을 보여줍니다. 다공성 농도는 약 20-30%였습니다.
- 기계적 특성:
- 표 6.11은 주조 부품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며, 인장 강도, 연신율 및 다공성 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그림 이름 목록:
- Figure: 6.4 Fill time for the 1st experiment (그림 6.4: 첫 번째 실험의 충진 시간)
- Figure: 6.5 Analysis image of the 1st experiment (그림 6.5: 첫 번째 실험의 분석 이미지)
- Graph: 6.1 representation of maximum filling time for each simulation (그래프 6.1: 각 시뮬레이션의 최대 충진 시간 표현)
- Figure: 6.8 Total shrinkage porosity for the 1st experiment (그림 6.8: 첫 번째 실험의 총 수축 다공성)
7. 결론:
주요 결과 요약:
- 열화상 분석은 다이 동작 및 온도 분포를 연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연속 주조 방법은 복잡한 CFD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수학적 모델은 플럭스 거동 및 온도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 HPDC 마그네슘 부품의 인장 특성은 결정립 크기 및 다공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 다공성 효과는 커널 크기 효과보다 더 중요합니다.
8. 참고 문헌:
- 1. Fiorese, E.; Richiedei, D.; Bonollo, F. Improved metamodels for the optimization of high-pressure die casting process. Metall. Ital. 2016, 108, 21–24.
- 2. G.F.Mi, C.Y.Li and K.F.Wang. Numerical Simulation and Application of Low Pressure Die-casting Aluminum Alloy Wheel. Hot Working Technology 2013, Vol.42, No.7, pp: 60-62.
- 3. Gerrit Dumstorffa, Christoph Pille b, Rico Tiedemanna, Matthias Busseb, Walter Langa, Smart aluminum components: Printed sensors for integration into aluminum during high-pressure casting, The Society of Manufacturing Engineers. Published by Elsevier Ltd.,166–172, ( 2017).
- 4. Guharaja S., Noorul Haq A., Karuppannan K.,M., 2006, “Optimization of green sand casting process parameters by using Taguchi's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Vol.30, pp.1040–1048.
- 5. Gunasegaram, D.R.; Givord, M.; O'Donnell, R.G.; Finnin, B.R. Improvements engineered in UTS and elongation of aluminum alloy high pressure die castings through the alteration of runner geometry and plunger velocity. Mat. Sci. Eng. A 2013, 559, 276–286
- 6. H. B. R. Bhatt, "A design optimization of feeding sys- tem and solidification simulation for cast iron," in Proceeding o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Automation and Mechatronics Engineering, 2014.
- 7. H. Mayer, M. Papakyriacou, B. Zettl, S.E. Stanzl-Tschegg," Influence of porosity on the fatigue limit of die cast magnesium and aluminium alloys",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25 (2003)245–256, 2003
- 8. Hsu, Q.C.; Do, A.T. Minimum porosity formation in pressure die casting by Taguchi method. Math. Prob. Eng. 2013, 2013, 1-9.
- 9. J. Madan, P. V. M. Rao, and T. K. Kundra, "Optimal-parting direction selection for die-casting," Int. J. Manuf. Technol. Manag., vol. 18, no. 2, pp. 167–182, 2009.
- 10. Jer-Haur Kuo, Feng-Lin Hsu, Weng-Sing Hwang,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imulation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sure-time relationship during the filling of a low-pressure casting process, Science and technology of advanced materials 2 (2001) 131- 145
9. 저작권:
- 본 자료는 "Naveen Singhal, Dr. Sangeeth Gupta, Dr. Krishnamachary P C"의 "IMPROVING QUALITY AND EFFICIENCY IN DIE CASTING OF COMPLEX HOUSINGS" 논문을 기반으로 합니다.
- 논문 출처: [논문이 제공되지 않아 DOI 없음]
본 자료는 위 논문을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