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제목: Thermal study on novel spokes fin for high power LED
- 저자: Tanmay Nandanwar, Jash Jani, A Rammohan
- 발행 연도: 2023
- 발행 학술지/학회: Engineering Research Express
- Keywords: LED lights, junction temperature, radiation, spokes fin, heatsink
2. 연구 배경:
고출력 LED(HPLED)는 산업, 주거 및 소비자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HPLED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열화로 인한 성능 저하와 고장입니다. 따라서 HPLED의 효율적인 열 관리가 LED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능동 및 수동 냉각 시스템을 제안했지만, 자연 대류를 이용한 핀을 사용하는 방법은 부품이 움직이지 않고, 가볍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핀 디자인 (직사각형, 원형 등) 의 열 성능을 조사했지만, 새로운 핀 디자인을 통해 열 방산 성능을 개선할 여지가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 냉각 조건에서 HPLED의 열 관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핀 디자인을 제안하고 평가합니다.
3.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연구 목적: 자연 냉각 조건에서 상용 히트싱크 기반으로 새로운 스포크 핀 모델을 도입하여 고출력 LED의 온도를 조사하고, 직사각형 및 원형 핀 모델과 비교 분석합니다.
- 핵심 연구 질문:
- 새로운 스포크 핀이 고출력 LED의 열 방산 성능을 어떻게 향상시키는가?
- 스포크 핀의 열 방산 성능은 직사각형 및 원형 핀과 어떻게 비교되는가?
- 핀 길이 및 HPLED 배열 구성의 변화가 열 방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연구 가설: 새로운 스포크 핀은 직사각형 및 원형 핀보다 고출력 LED의 열 방산 성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4. 연구 방법론:
- 연구 설계: 상용 FEA(유한 요소 해석) 도구를 사용하여 열 전달 효과를 조사하는 수치 해석 연구입니다.
- 데이터 수집 방법: 상용 FEA 소프트웨어(ANSYS 19.2)를 사용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합니다.
- 분석 방법: 정상상태 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온도 분포 및 열 방산 성능을 분석합니다. 메쉬 독립성 검증도 실시합니다. 방사 효과도 고려합니다.
- 연구 대상 및 범위: 크기 17.85 × 17.85 × 3 mm의 상용 히트싱크 베이스에 단일 및 6개의 HPLED 어레이를 통합하고, 60 mm, 70 mm, 80 mm의 서로 다른 핀 길이와 130 °C, 110 °C, 90 °C, 70 °C, 50 °C의 접합 온도를 고려하여 원형, 직사각형, 스포크 핀 세 가지 유형의 핀에 대한 열 방산 성능을 비교 분석합니다.
5. 주요 연구 결과:
- 새로운 스포크 핀은 핀 상단에서 약 4.72%(6 °C), 하단에서 약 5.87%(13 °C)의 열 방산 성능 향상을 보였습니다.
- 단일 및 6개의 HPLED 어레이 구성 모두에서 새로운 스포크 핀은 직사각형 핀보다 열 방산 성능이 우수했습니다.
- 단일 HPLED 작동 시 직사각형 핀은 원형 핀보다 상단 핀에서 약 2.85%, 하단 핀에서 약 3.66%의 열 방산 성능이 우수했으며, 6개의 HPLED 어레이 구성에서는 동일한 열 방산 효과를 보였습니다.
-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메쉬 독립성 검증을 실시했고, 방사 효과도 고려했습니다.
- Figure List and Description:
- Figure 1: 원형 핀의 치수와 구조를 보여줍니다.
- Figure 2: 직사각형 핀의 치수와 구조를 보여줍니다.
- Figure 3: 새로운 스포크 핀의 치수와 구조를 보여줍니다.
- Figure 4: 단일 LED 배치와 열 분포를 보여줍니다.
- Figure 5: 6개의 LED 어레이 구성과 온도 분포를 보여줍니다.
- Figure 6: 메쉬 독립성 검증의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요소 수의 증가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 Figure 7: 단일 LED 원형 및 직사각형 핀에 대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상단 및 하단 핀의 온도 분포를 다양한 접합 온도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8: 6개 LED 원형 및 직사각형 핀에 대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상단 핀의 온도 분포를 다양한 접합 온도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9: 6개 LED 원형 및 직사각형 핀에 대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하단 핀의 온도 분포를 다양한 접합 온도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10: 단일 LED 스포크 핀 및 직사각형 핀에 대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상단 핀의 온도 분포를 다양한 접합 온도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11: 6개 LED 스포크 핀 및 직사각형 핀에 대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상단 핀의 온도 분포를 다양한 접합 온도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12: 원형, 직사각형 및 새로운 스포크 핀에 대한 온도 차이를 보여줍니다. 상단과 하단 핀의 온도 차이를 다양한 구성에서 비교합니다.
- Figure 13: 방사 효과를 고려한 상단 핀의 온도를 보여줍니다. 방사 효과 유무에 따른 온도 변화를 비교합니다.
- Figure 14: 단일 LED 상단 핀에 대한 누셀트 수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접합 온도와 핀 길이에 따른 누셀트 수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Figure 15: 단일 및 6개 LED 하단 핀에 대한 누셀트 수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접합 온도와 핀 길이에 따른 누셀트 수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Figure 16: 6개 LED 상단 핀에 대한 누셀트 수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접합 온도와 핀 길이에 따른 누셀트 수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Figure 17: 공통 히트싱크에서 HPLED 어레이 열 저항 모델을 보여줍니다.
- Table 1: 경계 조건을 보여줍니다.
- Table 2: 부피 분율을 보여줍니다.
- Table 3: 메쉬 독립성을 보여줍니다.


6.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자연 대류 조건 하에서 새로운 스포크 핀이 고출력 LED의 열 방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스포크 핀은 단일 및 다중 HPLED 어레이 구성에서 직사각형 핀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습니다. 핀 길이 증가는 열 방산 성능 향상에 기여하지만, 특정 길이를 넘어서면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본 연구 결과는 고출력 LED의 효율적인 열 관리를 위한 새로운 핀 디자인 및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고출력 LED의 열 관리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입니다. 실무적 시사점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고출력 LED 냉각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습니다.
7.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수치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연구이므로, 실제 환경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단일 및 6개의 LED 어레이 구성만을 고려하였으므로, 다른 LED 배열 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8. 향후 후속 연구:
- 실제 실험을 통해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 다양한 LED 배열 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스포크 핀의 디자인을 최적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다른 냉각 방법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합니다.
-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추가 분석 연구가 필요합니다.
References
[1] De Santi C, Dal Lago M, Buffolo M,Monti D, Meneghini M,MeneghessoGand Zanoni E 2015 Failure causes and mechanisms of retrofit LEDlamps Microelectron. Reliab. 55 1765–9
[2] Yazdan MehrM, van DrielWD, Koh S and ZhangGQ2014 Reliabilityand optical properties ofLED lens plates under high temperature stress Microelectron. Reliab. 54 2440–7
[3] Zhao X-J, Cai Y-X, Wang J, Li X-H and ZhangC2015 Thermal model design and analysis ofthe high-power LED automotive headlight cooling device Appl. Therm. Eng. 75 248–58
[4] Adhikari RC, WoodDHand PahlevaniM2020 Optimizing rectangular fins for natural convection cooling usingCFD Thermal Science andEngineeringProgress 17 100484
[5] MogajiTand Owoseni F 2017 Numerical Analysis ofRadiation Effect on Heat Flowthrough Fin ofRectangular Profile American Journal ofEngineeringResearch (AJER) 6 36–46
[6] AlFalah G, Maatallah T S, AlzahraniMand Al‐Amri FG2020 Optimization and feasibility analysis ofa microscale pin‐fins heat sink of an ultrahigh concentrating photovoltaic, system Int. J. Energy Res. 44 11852–71
[7] Mishra M, ChandramohanVP and BalasubramanianK2019 Comparative study ofcooling ofautomobile LED headlights without and with fins and finding comfortable operating conditions Archive ofMechanical Engineering. 66 295–314
[8] EffendiNS and KimK J 2017 Orientation effects on natural convective performance ofhybrid fin heat sinks Appl. Therm. Eng. 123 527–36
[9] Sun L, Zhu J andWongH2016 Simulation and evaluation ofthe peak temperature in LED light bulb heatsink Microelectron. Reliab. 61 140–4
[10] Fu H-K,Wang C-P, Chiang H-C, Chen T-T, Chen C-L and ChouP-T 2013 Evaluation oftemperature distribution ofLED module Microelectron. Reliab. 53 554–9
[11] YungKC, LiemHand ChoyHS 2014 Heat transfer analysis ofa high-brightness LED arrayonPCBunder different placement configurations Int. Commun. HeatMass Transfer53 79–86
[12] MoonS-H, ParkY-Wand YangH-M2017Asingle unit cooling fins aluminum flat heat pipe for 100Wsocket typeCOBLEDlamp Appl. Therm. Eng. 126 1164–9
[13] Mueller A, Buennagel C, Monir S, Sharp A, VagapovYand AnuchinA2020 Numerical design and optimisation ofa novel heatsink using ANSYS steady- state thermal analysis. 2020 27th international workshop on electric drives MPEIDepartmentofElectric Drives 90th Anniversary(IWED).
[14] Subahan K, ReddyE S and ReddyR2019CFD analysis ofpin-fin heat sink used in electronic devices Int. J. Scientific&Technology Research 8 562–9
[15] WengangH, Lulu W,Zongmin Z, Yanhua L and Mingxin L 2017 Research o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ofthermal performance of LED array heat sink Procedia Engineering205 2084–91
[16] JeonDand ByonC2017 Thermal performance ofplate fin heat sinks with dual- height fins subject to natural convection Int. J. Heat Mass Transfer113 1086–92
[17] Manna S, Ghosh SKand Haldar SC2019 Optimumfin parameters ofradial heat sinks subjected to natural convection J. Thermal Science andEngineeringApplications 11 051006
[18] Huang G-J, WongS-C and Lin C-P 2014 Enhancement of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horizontal rectangular fin arrays with perforations in fin base Int. J. Therm. Sci. 84 164–74
[19] WuS-J, Hsu H-C, Fu S-L and Yeh J-N 2014 Numerical simulation ofhigh power LED heat-dissipating system Electron. Mater. Lett. 10 497–502
[20] RammohanAand RameshkumarC2016Areview on effect ofthermal factors on performance of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 (HPLED) J. Eng. Sci. Technol. Review 9 165–76
[21] Rammohan A, Ramesh KumarCand ChandramohanVP 2021 Experimental analysis on estimating junction temperature and service life ofhigh power LED array Microelectron. Reliab. 120 114121
[22] SubramanianRS Continuityequation DepartmentofChemicaland Biomolecular EngineeringClarkson University (Potsdam, NewYork: Researchgate publications) 33457618913699
[23] KothandaramanCP and Subramanyan S 2018 HeatandMass TransferData book (NewDelhi: NewAge International Publishers) 9th edn
[24] Incropera FP, DewittDP, BergmanTL and Lavine AS 2006 Fundamentals ofHeatandMass Transfer6th edn (Hoboken, NJ, USA: John Wileyand Sons)
[25] Bahram R, Hamid Reza S, YuwenZand Khanna S 2016 Flowand heat transfer in micro spokes fin heat sinks with nan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J. HeatTransfer138 062401
저작권 및 참고 자료:
본 자료는 Tanmay Nandanwar, Jash Jani, A Rammohan 저자의 논문 "Thermal study on novel spokes fin for high power LED"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orcid.org/0000-0002-7359-6648
본 자료는 위 논문을 바탕으로 요약 작성되었으며,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사용이 금지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