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Integrity Diecas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구조용 고압 다이캐스팅의 혁신: 전체론적 접근법으로 무결성 및 성능 극대화

이 기술 요약은 Martin Hartlieb(VIAMI INTERNATIONAL INC.)이 2013년 iMdc 회의(WPI, Worcester, MA)에서 발표한 "[High Integrity Diecas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프레젠테이션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pplications for structural high integrity aluminum die castings
Applications for structural high integrity aluminum die castings

키워드

  • 주요 키워드: 구조용 고압 다이캐스팅
  • 보조 키워드: 고진공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다이캐스팅 품질, 자동차 경량화, 다이캐스팅 합금

Executive Summary

  • 도전 과제: 기존의 고압 다이캐스팅 공정은 높은 기공률과 결함으로 인해 높은 기계적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구조용 부품에 적용하기 어려웠습니다.
  • 해결 방법: 용탕 처리부터 금형 설계, 진공 시스템, 공정 제어 및 후처리에 이르기까지 다이캐스팅 공정 전반에 걸친 '전체론적(Holistic)' 접근법을 적용했습니다.
  • 핵심 돌파구: 저철(Low Fe) 신소재 합금과 고진공 시스템, 정밀한 샷 제어 기술을 결합하여 열처리가 가능하고 용접성과 충돌 내구성이 뛰어난 고무결성 주조품 생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핵심 결론: 전체론적 공정 제어를 통해 고압 다이캐스팅의 본질적인 장점(빠른 응고 속도, 박벽 구현, 높은 정밀도)을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고품질 구조용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도전 과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 이유

자동차 산업은 연비 규제 강화와 성능 향상 요구에 따라 경량화에 대한 압박을 계속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사용량은 1975년부터 2025년까지 차량당 약 6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슬라이드 3). 특히 차체(Body-in-White)와 섀시 같은 구조용 부품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을 적용하면 강철 스탬핑 부품이나 여러 부품의 조립품을 대체하여 무게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슬라이드 4).

하지만 기존의 고압 다이캐스팅(HPDC) 공정은 구조용 부품에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주조 결함입니다. 공정 중 발생하는 가스 기공, 수축 기공, 산화물 개재물 등은 부품의 기계적 강도와 피로 수명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슬라이드 14, 16). 또한, 금형과의 용착(soldering)을 방지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철(Fe) 함량이 높은 합금을 사용했는데, 이 철 성분은 연성과 파괴 인성을 저해하는 바늘 모양의 금속간 화합물(Al5FeSi)을 형성하여 부품을 취약하게 만듭니다(슬라이드 17, 22). 이러한 결함과 불순물은 열처리 시 블리스터(blister)를 유발하여 고강도 부품 생산을 불가능하게 했습니다. 따라서 구조용 부품이 요구하는 높은 연신율(≥10%), 용접성, 충돌 내구성 등의 엄격한 요구조건(슬라이드 18)을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절실히 필요했습니다.

접근 방식: 방법론 분석

이 발표는 단일 실험이 아닌, 고품질 구조용 다이캐스팅을 달성하기 위한 '전체론적(Holistic)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이는 주조 공정의 어느 한 단계가 아닌, 관련된 모든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슬라이드 25). 이 접근법의 핵심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재 및 용탕 관리: 철(Fe) 함량을 0.25% 미만으로 엄격히 제어하고, 망간(Mn)과 스트론튬(Sr)을 첨가하여 용착을 방지하고 기계적 특성을 개선한 고무결성 전용 합금을 사용합니다(슬라이드 48). 또한, 용탕 이송 중 난류 발생을 최소화하고, 탈가스, 필터링, 정련 처리를 통해 산화물과 수소 가스를 제거하여 깨끗한 용탕을 확보합니다(슬라이드 27-30).
  • 설계 및 시뮬레이션: 부품 설계 초기 단계부터 주조 엔지니어와 협력하고, 유동 및 응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게이트, 러너, 오버플로우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탕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고 공기 혼입을 방지합니다(슬라이드 31-32).
  • 첨단 공정 기술 적용:
    • 고진공 다이캐스팅: 캐비티와 샷 슬리브 내부의 공기를 50mbar 이하로 배출하여 가스 기공을 근본적으로 줄입니다. 이는 열처리가 가능한 고밀도 주조품 생산의 핵심 기술입니다(슬라이드 38).
    • 실시간 샷 모니터링 및 제어: Visi-Trak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플런저의 속도와 압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 용탕이 샷 슬리브를 채울 때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슬라이드 36-37), 매 샷의 반복성을 보장합니다.
    • 금형 열 관리: 금형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안정적인 응고 환경을 조성하고, 열화상 카메라 등을 이용해 사이클마다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품질 편차를 최소화합니다(슬라이드 33).
  • 품질 보증 및 추적성: 공정 흐름도에 따라 각 단계별로 품질 게이트(Q-Gate)를 설정하여 조성, 밀도, X-ray 검사 등을 수행합니다(슬라이드 26). 또한, 각 부품에 고유 ID를 부여하고 모든 공정 데이터를 연계하여 완벽한 추적성을 확보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정을 개선합니다(슬라이드 46-47).

핵심 돌파구: 주요 결과 및 데이터

전체론적 접근법을 통해 달성한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과 1: 결함 제어를 통한 기계적 특성의 획기적 향상

고진공 시스템의 적용은 주조품의 기공률을 극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슬라이드 15의 그래프는 표준 다이캐스팅의 기공률이 2.5%에 달하는 반면, 고진공 고무결성 다이캐스팅은 0.16% 미만으로 관리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내부 결함이 제거된 주조품은 후속 열처리가 가능해져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BMW X5 쇼크 타워의 경우, 이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5개의 강철 스탬핑 부품(18 lbs)을 단일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7.2 lbs)으로 대체하며 40%의 무게 절감과 동등한 가격 경쟁력을 달성했습니다(슬라이드 20).

결과 2: 합금 제어를 통한 충돌 및 피로 성능 최적화

합금 성분, 특히 철(Fe) 함량 제어는 부품의 동적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슬라이드 22의 그래프는 철 함량이 0.30-0.40%일 때보다 0.15%일 때 파괴 인성(Fracture Toughness)이 모든 덴드라이트 간격에서 월등히 높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또한, 슬라이드 50의 피로 수명 곡선은 1%의 철을 포함한 합금에 비해 저철 합금(XK360)이 100배 더 긴 피로 수명을 가짐을 입증합니다. 이는 Mercalloy® 367 합금의 충돌 테스트 결과에서도 확인됩니다(슬라이드 21). 고철 합금(XK 360)은 충격 시 100ms 이내에 급격한 파괴를 보인 반면, 저철 합금(Mercalloy® 367)은 깨지지 않고 찌그러지는 연성 파괴 거동을 보여 탁월한 에너지 흡수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결과 3: 열처리 최적화를 통한 맞춤형 성능 구현

저결함 주조품은 다양한 열처리를 통해 요구 성능에 맞는 기계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LYPSO 61D 합금의 경우, F(As-cast) 상태에서는 충돌 시 부서지는 취성 파괴를 보이지만, T7 열처리를 거치면 파단 없이 구부러지는 연성 거동을 보입니다(슬라이드 57-58). T7 처리 시 항복강도(YS)는 155~165 MPa로 증가하고 연신율은 14~18%에 달해, F 상태(YS 120~140 MPa, 연신율 10~12%) 대비 월등한 충돌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이 중요한 구조용 부품에 요구되는 특성을 다이캐스팅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용탕의 청정도가 최종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용탕 이송 시스템에서 난류를 최소화하고(슬라이드 28), 샷 프로파일, 특히 저속 구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슬라이드 36) 공기 혼입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진공 시스템의 효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슬라이드 39) 매 사이클마다 일관된 진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품질 관리팀: 슬라이드 26에 제시된 공정 단계별 품질 게이트(Q-Gate)는 새로운 품질 관리 기준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시간 샷 모니터링 데이터(슬라이드 35)와 부품별 공정 데이터를 연계하는 추적 시스템(슬라이드 46)을 도입하면, 결함 발생의 근본 원인을 추적하고 통계적 공정 관리(SPC)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설계 엔지니어: 시뮬레이션 결과(슬라이드 32)는 게이트 설계가 부품 내부의 유동 패턴과 공기 혼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줍니다. 이는 설계 초기 단계부터 주조 공정을 고려한 설계(Design for Manufacturing)가 필수적임을 시사합니다. 또한, Aural, Silafont, Mercalloy 등 다양한 고성능 합금의 특성 데이터(슬라이드 53-56)를 이해하고 부품의 요구 성능에 가장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논문 상세 정보


[High Integrity Diecas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1. 개요:

  • 제목: High Integrity Diecas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 A holistic approach to improved die casting quality
  • 저자: Martin Hartlieb (VIAMI INTERNATIONAL INC.)
  • 발표 연도: 2013
  • 발표 학회/기관: iMdc meeting, WPI, Worcester, MA
  • 키워드: High Integrity Diecasting, Structural Applications, Aluminum, Automotive, Holistic Approach, Vacuum Diecasting

2. 초록:

(프레젠테이션 자료로 별도의 초록은 제공되지 않음)

3. 서론:

(프레젠테이션 자료로 별도의 서론은 제공되지 않음. 슬라이드 3-10에서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설명함.)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의 구조용 적용이 확대되고 있음. 기존의 다이캐스팅 공정은 기공, 산화물 등의 결함과 부적절한 합금 사용으로 인해 구조용 부품에 필요한 높은 기계적 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음.

이전 연구 현황:

전통적인 다이캐스팅은 생산성과 비용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다이 솔더링 방지를 위해 고철(high Fe)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이는 기계적 특성, 특히 연신율과 피로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음.

연구 목적:

기존 다이캐스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용 부품에 요구되는 고강도, 고연성, 용접성, 충돌 내구성 등을 만족시키는 고무결성 다이캐스팅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전체론적(Holistic)' 공정 기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핵심 연구:

합금 성분, 용탕 처리, 금형 설계, 다이캐스팅 공정 제어(진공, 샷 컨트롤), 열처리 등 주조 공정 전반에 걸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다룸.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자료는 특정 실험에 대한 결과 보고서가 아닌, 고무결성 다이캐스팅 생산을 위한 모범 사례와 핵심 기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기술 발표 자료임. 다양한 산업 사례, 데이터 그래프, 기술 다이어그램을 통해 전체론적 접근법의 타당성과 효과를 설명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Ducker Worldwide, Daimler AG, John Campbell, Mercury Marine 등 외부 기관의 연구 데이터와 Visi-Trak, Magna BDW 등 기술 공급업체의 장비 데이터를 인용하여 각 기술 요소의 중요성을 뒷받침함.

연구 주제 및 범위:

  • 구조용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의 적용 분야 및 요구 특성
  • 다이캐스팅의 장단점 및 주요 결함 유형 분석
  • 고무결성 다이캐스팅을 위한 전체론적 접근법
  • 용탕 처리, 금형 설계, 진공 시스템, 샷 모니터링, 공정 제어 등 핵심 기술 요소
  • 고무결성 다이캐스팅용 신소재 합금의 종류와 특성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고압 다이캐스팅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합금, 용탕 품질, 공정 변수, 금형, 진공 시스템 등 매우 다양하며, 이들 모두를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함.
  • 저철(Low Fe) 합금과 고진공 시스템의 결합은 열처리가 가능한 저기공성 주조품 생산의 핵심임.
  • 철(Fe) 함량은 파괴 인성 및 피로 수명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며, 망간(Mn)은 이를 보완할 수 있음.
  • 실시간 샷 모니터링 및 제어, 금형 열 관리, 공정 데이터 추적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은 고품질 제품의 안정적인 양산을 위해 필수적임.
  • 합금 종류와 열처리 조건에 따라 충돌 파괴 거동을 연성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안전 부품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함.

그림 이름 목록:

  • Slide 3: Aluminum content in automotive
  • Slide 4: Structural aluminum die castings
  • Slide 5: Applications for structural high integrity aluminum die castings
  • Slide 6: BIW structures – example of Mercedes SL
  • Slide 7: BIW structure Mercedes SL
  • Slide 8: Suspension parts
  • Slide 9: Yamaha motorbike main and seat frame
  • Slide 10: BRP part produced by AMT
  • Slide 12: The effect of freezing rates
  • Slide 15: Porosity in High Pressure Die Casting
  • Slide 16: Typical Diecasting Defects
  • Slide 17: Al5FeSi NEEDLE-LIKE PHASE
  • Slide 19: Example: Part integration and weight reduction (B pillar)
  • Slide 20: Example: Part integration and weight reduction (BMW X5 shock tower)
  • Slide 21: Crash performance: Static loading of 25 lb. drive shaft housings
  • Slide 22: Fracture Toughness depends on Fe content & dendrite arm spacing
  • Slide 25: A „holistic“ approach is needed! Complete Die Casting Process Technology
  • Slide 26: Typical process chain for structural high integrity die castings
  • Slide 27: Melting, melt treatment & transfer
  • Slide 28: Any metal "waterfall" in the metal transfer will generate oxide inclusions!
  • Slide 29: Examples: StrikoWestofen dosing furnace, Støtek DosoTherm
  • Slide 30: Melt transfer into the shot sleeve: Swivel Launder
  • Slide 31: Product Development
  • Slide 32: Numerical simulation
  • Slide 33: Die design, thermal balance and process control
  • Slide 34: Die design and sealing
  • Slide 35: Shot monitoring and control
  • Slide 36: Example: The slow shot
  • Slide 37: Example: The slow shot (with control graph)
  • Slide 38: High vacuum die casting
  • Slide 39: High vacuum die casting (advanced monitoring)
  • Slide 40: High vacuum die casting – valve types (Mechanical Valves)
  • Slide 41: High vacuum die casting – valve types (Hydraulic/ Pneumatic vacuum valves)
  • Slide 42: New chill vent/valve approach CASTvac
  • Slide 43: Efficiency comparison with bench test (vacuum valves)
  • Slide 44: Vacuum and moisture are not compatible!
  • Slide 45: Complete process control and visualization (Total-Trak HMI)
  • Slide 46: Part traceability
  • Slide 47: Part traceability (data analysis)
  • Slide 50: Effect of Iron on Fatigue Curve for XK360
  • Slide 51: The influence of Mn (replacing Fe) mechanical properties (example of Silafont® 36)
  • Slide 52: The influence of Si and Mg on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F temper
  • Slide 53: AA 365 - Silafont 36 (Rheinfelden)
  • Slide 54: AA A365 – Aural-2 & 3 (Magna-Cosma)
  • Slide 55: Mercalloy 367
  • Slide 56: Mercalloy 368 & 362
  • Slide 57: Example: CALYPSO 61D : Difference between crash behaviours in T7 and F
  • Slide 58: Difference between crash behaviours in T7 and F (images)
  • Slide 59: Heat treatment of high integrity die castings
  • Slide 60: Where could I do R&D in this field?

7. 결론:

전통적인 다이캐스팅 공정은 높은 기공률과 고철 합금 사용으로 인해 구조용 부품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공정 제어, 고진공, 적절한 금형 설계 등 새로운 다이캐스팅 공정과 신소재 합금의 개발로 열처리, 용접, 충돌 내구성, 높은 피로 수명을 갖춘 고품질/고기능성 다이캐스팅 제품 생산이 가능해졌다. 이제 다이캐스팅의 고유한 장점(빠른 응고 속도, 박벽, 고정밀도 등)을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고품질 구조용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슬라이드 61).

8. 참고 문헌:

  • Slide 3: Source: Ducker Worldwide 2011
  • Slide 6: Source: Daimler AG, Dr. Lutz Storsberg, Mercedes-Benz Cars, Structural Symposium Bühler AG, Hamilton, Canada, October 1, 2013
  • Slide 14: *) See also Modern Casting Article “Predicting the Fatigue Life of Aluminum Castings (May 2013) based on research paper 13-1342 from P. Jones & Q. Wang (GM) presented at the 2013 AFS Metalcasting Congress
  • Slide 22: Source: John Campbell: CASTING [1991 edition], page 266, figure 8.3.
  • Slide 48: See May 2013 edition of Diecasting Engineer http://www.diecasting.org/dce/issues/0513/51340.pdf

전문가 Q&A: 주요 질문과 답변

Q1: 왜 '전체론적(Holistic)' 접근법이 일반 다이캐스팅보다 구조용 부품에 더 중요한가요?

A1: 일반 다이캐스팅 부품에서는 허용될 수 있는 미세한 기공이나 개재물도, 높은 응력을 받는 구조용 부품에서는 균열의 시작점이 되어 피로 파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슬라이드 14). 구조용 부품은 충돌 시 에너지를 흡수하고 탑승자를 보호해야 하므로, 예측 불가능한 파괴를 유발하는 결함은 절대적으로 배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용탕부터 최종 검사까지 모든 단계에서 결함 발생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체론적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Q2: 발표에서는 저철(low Fe) 합금을 강조했는데, 철은 전통적으로 금형 용착을 막기 위해 첨가되었습니다. 새로운 공정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A2: 슬라이드 49에 따르면, 새로운 합금들은 철 대신 망간(Mn) 함량을 높여 용착을 최소화하고 철의 유해한 상(phase)을 개선합니다. 또한, 스트론튬(Sr) 역시 용착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이와 더불어, 슬라이드 33에서 보듯이 정밀한 금형 온도 제어, 효율적인 이형제 분사 등 개선된 공정 기술을 병행하여 철 함량을 높이지 않고도 안정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Q3: 슬라이드 36은 너무 느리거나 빠른 저속 샷의 문제점을 보여줍니다. 슬라이드 37과 같은 최신 샷 제어 기술은 어떻게 최적의 프로파일을 구현하나요?

A3: 최신 샷 제어 시스템은 실시간 모니터링과 폐쇄 루프 제어(closed loop control) 기능을 제공합니다(슬라이드 23). 이를 통해 슬라이드 37의 그래프처럼 '일정한 가속'과 같은 다단계 샷 프로파일을 정밀하게 프로그래밍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용탕이 샷 슬리브를 부드럽게 채우도록 제어함으로써, 파면(wave) 형성이나 공기 혼입 없이 러너까지 용탕을 안정적으로 밀어낼 수 있어 내부 결함을 최소화합니다.

Q4: 슬라이드 57-58에 나온 CALYPSO 61D 합금의 T7과 F 상태의 충돌 거동 차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4: 이 결과는 열처리를 통해 다이캐스팅 부품의 파괴 모드를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입니다. F(주조 상태)에서는 충격 시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는 취성 파괴를 보이지만, T7 열처리를 거치면 부서지지 않고 크게 휘어지며 에너지를 흡수하는 연성 파괴 거동을 보입니다. 이는 다이캐스팅 부품이 자동차의 크럼플 존(crumple zone)과 같은 안전 핵심 부품에 요구되는 높은 에너지 흡수 능력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Q5: 고진공 시스템의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열처리를 가능하게 하나요?

A5: 고진공 시스템의 가장 큰 이점은 주조품 내부에 갇히는 가스의 양을 극적으로 줄여 기공률을 낮추는 것입니다(슬라이드 38). 이것이 열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만약 주조품 내부에 미세한 가스 기공이 많이 남아있다면, 열처리 공정의 고온에서 이 가스들이 팽창하여 부품 표면에 블리스터(수포)를 형성하게 됩니다(슬라이드 18). 고진공을 통해 내부 가스를 제거하면 블리스터 발생 없이 안정적인 열처리가 가능해져 부품의 강도와 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요약하자면, 전통적인 고압 다이캐스팅은 높은 기공률과 고철 합금의 한계로 인해 고성능 구조용 부품 시장에 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이 발표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합금, 용탕 관리, 공정 제어, 첨단 기술을 아우르는 구조용 고압 다이캐스팅의 전체론적 접근법은 이러한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제 고압 다이캐스팅의 본질적인 장점을 활용하여, 더 가볍고, 더 강하며, 더 안전한 부품을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CASTMAN의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저작권 정보

  • 이 콘텐츠는 Martin Hartlieb의 발표 자료 "High Integrity Diecasting for Structural Applications"을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 출처: [제공된 DOI URL 또는 논문 링크 없음]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