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DC 공정 최적화] 용탕 유동 해석을 통한 중간 플랜지의 기공 결함 해결 방안
이 기술 요약은 K Maheswari와 G Sureshkumar가 작성하여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Robotics Research] (2013)에 발표한 학술 논문 "[DIE DESIGNING AND MOLTEN METAL FLOW ANALYSIS FOR INTERMEDIATE FLANGE]"를 기반으로 합니다.

키워드
- 주요 키워드: 용탕 유동 해석
- 보조 키워드: 금형 설계, 핫 챔버 다이캐스팅, 기공 결함, 핫스팟, 중간 플랜지, MAGMASOFT, Pro/E
Executive Summary
- 도전 과제: 고압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공, 콜드 랩, 유선과 같은 결함으로 인해 부품이 기계 가공 후 불량 판정을 받는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해결 방법: Pro/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중간 플랜지 부품과 금형(코어, 캐비티, 런너, 게이트)을 3D로 설계하고, Magma 소프트웨어를 통해 용탕 유동 해석을 수행했습니다.
- 핵심 돌파구: 용탕의 충전 속도가 700~10,000 cm/s 범위일 때 기공 결함이 발생했으나, 11,000 cm/s 초과 19,000 cm/s 미만으로 속도를 높이자 결함이 없는 양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 핵심 결론: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용탕의 충전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기공 결함을 방지하고 제품 품질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도전 과제: 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가
고압 다이캐스팅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높은 생산성과 우수한 표면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공법입니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이캐스팅 부품은 기계 가공 후 종종 불량으로 판정되는데, 그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결함으로는 기공(porosity), 콜드 랩(cold laps), 유선(flow lines), 산화물 개재물 등이 있으며,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입니다. 특히, 중간 플랜지와 같은 정밀 부품에서 이러한 결함을 최소화하는 것은 엔지니어들이 직면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접근 방식: 연구 방법론 분석
본 연구는 3D 설계와 시뮬레이션 분석을 결합하여 최적의 다이캐스팅 공정 조건을 찾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방법 1: Pro/E를 이용한 3D 금형 설계 고객의 2D 도면을 기반으로 Pro/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중간 플랜지 부품의 3D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후 이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핵심 구성요소인 코어, 캐비티, 런너, 게이트 등을 포함한 전체 금형 구조를 3D로 정밀하게 설계했습니다.
방법 2: Magma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용탕 유동 해석 설계된 금형 데이터를 Magma 소프트웨어로 가져와 용탕 유동 해석을 수행했습니다. 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금형 캐비티 내에서 용탕이 어떻게 채워지고 응고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분석에 사용된 주요 공정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조 방식: 핫 챔버 압력 다이캐스팅 - 재료: AlSi9Cu3 - 금형 재료: H13 - 질소 압력: 80 bar - 냉각 시간: 9초
돌파구: 주요 발견 및 데이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용탕 충전 속도와 결함 발생 사이의 명확한 상관관계를 발견했습니다.
발견 1: 저속 충전 시 기공 결함 발생
초기 시뮬레이션 조건(Table 1)에서 플런저 직경 80mm, 고속 사출 속도 1.25 m/s로 설정했을 때, 인게이트(ingate)에서의 용탕 속도는 700~10,000 cm/s 범위였습니다. 이 조건에서는 용탕이 캐비티를 완전히 채우지 못했으며, 응고 과정에서 Figure 13과 같이 뚜렷한 기공 결함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불충분한 충전 속도가 가스 혼입이나 수축으로 인한 기공을 유발함을 보여줍니다.
발견 2: 최적 속도 범위에서 결함 없는 주조 달성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공정 변수를 수정했습니다(Table 2). 플런저 직경을 70mm로 줄이고 고속 사출 속도를 2.8 m/s로 높여 인게이트에서의 용탕 속도를 >11,000 cm/s 및 <=19,000 cm/s 범위로 설정했습니다. 이 조건 하에서 시뮬레이션을 다시 수행한 결과, Figure 17에서 볼 수 있듯이 기공이나 핫스팟과 같은 결함이 전혀 없는 완벽한 주조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본 연구 결과는 다이캐스팅 공정의 품질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인게이트에서의 용탕 속도를 특정 범위(본 사례에서는 >11,000 cm/s)로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기공 결함을 줄이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품질 관리팀: 논문의 Figure 13과 Figure 17 데이터는 특정 충전 속도 조건이 기공 결함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주므로, 새로운 품질 검사 기준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설계 엔지니어: 런너와 게이트 설계가 최종 충전 속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초기 금형 설계 단계에서 유동 해석을 통해 최적의 게이트 속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Paper Details
DIE DESIGNING AND MOLTEN METAL FLOW ANALYSIS FOR INTERMEDIATE FLANGE
1. 개요:
- 제목: DIE DESIGNING AND MOLTEN METAL FLOW ANALYSIS FOR INTERMEDIATE FLANGE
- 저자: K Maheswari, G Sureshkumar
- 발행 연도: 2013
- 발행 학술지/학회: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Robotics Research
- 키워드: Die design, Metal flow analysis, Hot chamber die pressure casting
2. 초록:
다이캐스팅 공정은 높은 생산률과 우수한 표면 조도가 요구되는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효과적인 네트 셰이프(near net shape) 제조 공정이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 영역은 다이캐스팅 부품이 기계 가공 결과로 인해 종종 불량 처리되며, 이러한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결함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불량 주조품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결함은 기공, 콜드 랩, 유선, 산화알루미늄 개재물, 윤활제 또는 금형 코팅 개재물, 기계적 균열 등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2D 도면을 사용하여 Pro/E에서 중간 플랜지의 3D 모델을 개발하고, Pro/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중간 플랜지용 금형(코어, 캐비티, 런너 및 게이트 등)을 개발하며, Magm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 금형에 대한 용탕 유동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3. 서론:
주조는 액체 재료를 원하는 모양의 중공 캐비티가 있는 금형에 붓고 응고시키는 제조 공정이다. 응고된 부품은 주물이라고도 하며, 공정을 완료하기 위해 금형에서 추출되거나 파괴된다. 주조는 다른 방법으로는 제작하기 어렵거나 비경제적인 복잡한 형상을 만드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된다. 다이캐스팅은 재사용 가능한 금형(다이)을 사용하여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금속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이다. 이 공정은 용광로, 금속, 다이캐스팅 기계 및 다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아연과 같은 비철 합금인 금속은 용광로에서 녹여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 안으로 주입된다. 다이캐스팅 기계에는 주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핫 챔버 기계(아연과 같이 녹는점이 낮은 합금에 사용)와 콜드 챔버 기계(알루미늄과 같이 녹는점이 높은 합금에 사용)이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다이캐스팅 부품은 높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기공, 콜드 랩 등 다양한 내부 결함으로 인해 기계 가공 후 불량률이 높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결함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해결하는 것이 산업 현장에서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전 연구 현황:
다이캐스팅 결함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있었으나, 특정 부품(중간 플랜지)에 대해 3D 금형 설계와 용탕 유동 해석을 연계하여 최적의 공정 변수를 도출하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는 부족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간 플랜지 부품의 3D 모델과 이를 생산하기 위한 다이캐스팅 금형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용탕 유동을 분석함으로써 결함 발생을 예측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것이다.
핵심 연구:
Pro/E를 사용하여 중간 플랜지와 금형(캐비티, 코어, 런너, 게이트 등)을 3D로 모델링했다. 이후 Magm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두 가지 다른 공정 조건 하에서 용탕 유동 해석을 수행했다. 첫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기공 결함이 발생했으며, 두 번째 시뮬레이션에서는 플런저 직경과 사출 속도를 조절하여 결함 없는 주조품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속도 범위를 도출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컴퓨터 지원 설계(CAD)와 컴퓨터 지원 공학(CAE)을 결합한 설계 및 해석 연구이다. Pro/E를 이용한 3D 모델링과 Magma를 이용한 유동 시뮬레이션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데이터는 실제 핫 챔버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설정되었다(Table 1, Table 2). 분석은 Magma 소프트웨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용탕의 온도 분포, 충전 속도, 응고 후 기공 및 핫스팟 발생 여부를 시각적으로 평가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연구 대상은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간 플랜지' 부품이다. 연구 범위는 해당 부품의 금형 설계와 AlSi9Cu3 합금을 사용한 핫 챔버 다이캐스팅 공정의 용탕 유동 해석에 국한된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초기 공정 조건(인게이트 속도 700 ~ 10,000 cm/s)에서는 용탕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아 응고 중 기공 결함이 발생했다.
- 공정 변수를 최적화하여 인게이트 속도를 >11,000 cm/s 및 <=19,000 cm/s 범위로 설정했을 때, 기공 및 핫스팟 결함이 없는 양호한 주조품을 얻을 수 있었다.
- 최종적으로 금형 충진 완료 시점의 최대 용탕 온도는 680 °C로 예측되었다.
Figure Name List:
- Figure 1: Intermediate Flange
- Figure 2: Extrude Feature
- Figure 3: Rib Feature
- Figure 4: Cavity Holder
- Figure 5: Flange Cavity
- Figure 6: Sprue Bush
- Figure 7: Side Core
- Figure 8: Ejector Pins
- Figure 9: Guide Pillers
- Figure 10: Assembly of Flange Die
- Fgure 11: Varying Metal Temparatures
- Figure 12: Pouring Rate
- Figure 13: Porosity Defect
- Figure 14: Poring Rate
- Figure 15: Hot Spot Defect
- Figure 16: Pouring Rate
- Figure 17: Defectless Die

7. 결론:
금형 충진 완료 시점의 최대 용탕 온도는 680 °C이다.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금형은 150 °C로 유지될 것이다. 기공 결함은 700 cm/s에서 10,000 cm/s 사이의 속도 범위에서 발생한다. 금형은 >11,000 cm/s와 < 19,000 cm/s 사이의 속도 범위에서 결함이 없다.
8. 참고 문헌:
- Allsop D F and Kennedy D (1983), “Pressure Die Casting, Part 2: The Technology of the Casting and the Die", Pergamon Press, Oxford.
- Colbourn Charles J and Dinitz Jeffrey H (2007), Handbook of Combinatorial Designs, 2nd Edition, Chapman & Hall/CRC, Boca Raton, ISBN 1-58488-506-8.
- Detroit M (1955), Die Design Handbook, ASMTE.
- Ghosh and Mallik (2010), Manufacturing Science, 2nd Edition, EWP Press.
- Hernandez J, Lopez J, Faura F and Trapaga G (2000), “Shot Sleeve Wave Dynamics in the Slow Phase of Die Casting Injection”, ASME, Fluid Eng., Vol. 122, pp. 349-356.
- John L Jorstad (September 2006), "Aluminum Future Technology in Die Casting", Die Casting Engineering, pp. 18-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12-2010.
- Kosec B, Kosec L and Kopaè J (2001), "Analysis of Casting Die Failures”,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Vol. 8, pp. 355-359.
- Liu Wen-Hai (2009-10-08), “The Progress and Trends of Die Casting Process and Applic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19, Retrieved 2010-10-19.
전문가 Q&A: 주요 질문에 대한 답변
Q1: 용탕 유동 해석을 위해 Magma 소프트웨어를 선택한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A1: 논문에 따르면, Magma 소프트웨어는 주조 공정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계적으로 검증된 도구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주조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강력한 능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용탕의 충전 및 응고 과정을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하여 결함 발생을 예측하고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는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도구로 선택되었습니다.
Q2: 결함이 발생한 시뮬레이션과 결함이 없는 시뮬레이션 사이의 가장 큰 공정 변수 차이는 무엇이었습니까?
A2: 가장 큰 차이는 사출 시스템의 설정 변경을 통한 인게이트(ingate) 속도의 증가였습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 직경을 80mm에서 70mm로 줄이고, 고속 사출 속도를 1.25 m/s에서 2.8 m/s로 높였습니다.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인게이트에서의 최종 용탕 속도가 10,000 cm/s 이하에서 11,000 cm/s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여 기공 결함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Q3: 이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특정 결함 유형은 무엇이었습니까?
A3: 본 연구는 주로 '기공 결함(Porosity Defect)'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Figure 13은 낮은 충전 속도 조건에서 발생한 기공 결함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연구의 핵심 목표는 이 기공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핫스팟(Hot Spot) 결함도 함께 고려되었습니다.
Q4: 주조품과 금형에 사용된 특정 재료는 무엇이었나요?
A4: 논문에 명시된 바와 같이, 주조품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인 'AlSi9Cu3'를 사용했으며, 금형 재료로는 열간 공구강인 'H13'을 사용했습니다. 이 재료들은 자동차 부품 다이캐스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합입니다.
Q5: 이 특정 부품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인게이트 속도 범위는 얼마입니까?
A5: 연구 결론에 따르면, 이 중간 플랜지 부품은 인게이트에서의 용탕 속도가 11,000 cm/s를 초과하고 19,000 cm/s 미만일 때 결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속도 범위가 기공 및 핫스팟과 같은 결함을 방지하는 최적의 공정 조건 창(process window)입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본 연구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기공 결함이 용탕의 충전 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용탕 유동 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속도 범위를 찾아냄으로써, 설계 단계에서부터 결함을 예측하고 방지할 수 있는 과학적 접근법의 유효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며, 최종적으로는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CASTMAN에서는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저희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저작권 정보
이 콘텐츠는 "[K Maheswari, G Sureshkumar]"가 작성한 논문 "[DIE DESIGNING AND MOLTEN METAL FLOW ANALYSIS FOR INTERMEDIATE FLANGE]"를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출처: Int. J. Mech. Eng. & Rob. Res. 2013, Vol. 2, No. 4, www.ijmerr.com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