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제목: 고출력 LED 헤드램프의 방열 설계(Heat Dissipation Design of High Power LED Headlamp)
- 저자: Tiecheng Gao, Suying Yao, Yanjin Ai
- 발행 연도: 2012
- 발행 학술지/학회: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s. 468-471
- Keywords: 헤드램프, 발광 다이오드, 히트파이프
2. 연구 배경:
고휘도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는 새로운 조명 분야에서 매우 유망합니다. LED 광원은 긴 수명, 빠른 응답 속도, 수은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광에 가까운 색온도(5500K~6000K)를 가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LED 광효율의 지속적인 향상으로, 실내등, 브레이크등, 조향등, 미등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LED가 점차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헤드램프는 고휘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LED 헤드램프는 아직 개념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고효율의 에너지 절약형 광원으로서 LED를 헤드램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출력 LED의 방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기존의 히트싱크를 이용한 공랭 방식은 엔진룸의 높은 온도와 무게, 안정성 문제로 자동차 헤드램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3.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연구 목적: 고출력 LED 헤드램프의 효과적인 냉각 시스템을 연구하고, 히트파이프 기반의 냉각 방식의 성능을 평가하여 실제 헤드램프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
- 핵심 연구 질문: 히트파이프 기반 냉각 시스템이 고출력 LED 헤드램프의 열 관리에 얼마나 효과적인가?
- 연구 가설: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은 기존의 히트싱크 방식보다 고출력 LED 헤드램프의 열 관리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4. 연구 방법론:
- 연구 설계: 시뮬레이션 및 실험적 연구 설계. Flother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히트싱크와 히트파이프 방식의 열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일치성을 검증.
- 데이터 수집 방법: Flotherm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작된 시제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온도 데이터 수집.
- 분석 방법: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히트파이프 기반 냉각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
- 연구 대상 및 범위: 특정 승용차의 복합형 헤드램프 구조를 기반으로 한 고출력 LED 헤드램프. LED 광원은 3개의 선형 패키지 LED (5개의 칩, 4.5~5.5mm, 700mA 작동 전류, 12W 총 전력, 1000lm 이상 광속, 최대 접합 온도 150도, 120° 람베르트 광)를 사용.
5. 주요 연구 결과:
- 핵심 발견사항: 히트싱크를 이용한 공랭 방식은 엔진룸 온도(50도)에서 LED 칩 온도가 108도로 상승하여,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차량 연비 및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동차 헤드램프에는 적합하지 않음. 강제 냉각 방식 또한 램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음. 반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LED 접합 온도를 78도까지 낮출 수 있음.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시제품 테스트 결과가 일치함.
- 통계적/정성적 분석 결과: Flotherm 시뮬레이션 및 실제 시제품 테스트 결과 비교 분석을 통해 히트파이프 기반 냉각 시스템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 히트싱크 방식의 LED 칩 온도 108도, 히트파이프 방식의 LED 칩 온도 78도로 나타나 히트파이프 방식의 우수성을 확인.
- 데이터 해석: 히트싱크의 경우 대형 방열판이 필요하여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고, 자동차 헤드램프의 공간 제약 및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히트파이프는 높은 열 전도율과 소형화, 제어 가능한 온도 등의 장점을 가지며, 열 관리에 효율적임을 보여줍니다.
- Figure List and Description:
- Figure 1: LED 모듈의 사진.
- Figure 2: 히트싱크를 사용한 LED의 Flotherm 시뮬레이션 결과. 히트싱크의 온도는 59.5~59.9도, LED 칩 온도는 108도.
- Figure 3: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열 관리 시스템의 Flotherm 시뮬레이션 모델.
- Figure 4: 히트파이프와 방열판을 결합한 LED 헤드램프의 열 관리 구조.


6.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이 고출력 LED 자동차 전조등의 방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소프트웨어 분석 및 시제품 테스트 결과는 기본적으로 일치하며, 히트파이프 기반 방열 시스템이 효과적인 열 관리에 기여함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히트파이프 방열기의 한계점도 존재하며, 더욱 지능적인 방열 방식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7. 향후 후속 연구:
히트파이프 방열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향상된 열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지능형 방열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환경 조건(온도, 습도 등)에서의 성능 평가 및 최적화 연구도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8. 참고문헌 요약:
[1] Pearson, T., Mounier, E., Eloy, J.C., Jourdan, D., “Solid-state lighting in the automobile: concept,market timing and performance,” LEDs Magazine, pp.25-27, Apr. 2005.
[2] Stratford, J and Musters, A, “Insulated metal printed circuits a user-friendly revolution in power design, "Electronics Cooling, vol. 10, pp. 30-34, Nov. 2004
[3] Flomerics Ltd., FloThermTM 6.1 Instruction Manual, 2005.
[4] Y. Lai, N. Cordero, F. Barthel, F. Tebbe, J. Kuhn, R. Apfelbeck, D. Würtenberger,Liquid cooling of bright LED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in: Proc. of the Therminic 2006, pp. 80 – 85
[5] L. Kim, J.H. Choi, S.H. Jang, et al., Thermal analysis of LED array system with heat pipe, Thermochim. Acta 455 (2007) 21–25.
저작권 및 참고 자료
본 자료는 Tiecheng Gao, Suying Yao, Yanjin Ai 저자의 논문 "고출력 LED 헤드램프의 방열 설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논문 출처: 10.4028/www.scientific.net/AMR.468-471.2038
본 자료는 위 논문을 바탕으로 요약 작성되었으며, 상업적 목적으로 무단 사용이 금지됩니다.
Copyright © 2023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