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Si9Mg 합금의 잠재력 극대화: 리튬 첨가 및 유지 시간이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 기술 요약은 O. Özaydın, Y. Kaya, D. Dışpınar가 작성하여 La Metallurgia Italiana (2021)에 게재한 학술 논문 "[Effect of Li additions and holding tim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SiM9mg alloys]"를 기반으로 합니다.



키워드
- 주요 키워드: AlSi9Mg 합금
- 보조 키워드: 리튬 첨가, 유지 시간, 기계적 특성,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 연신율, 유동성
핵심 요약
- 도전 과제: 항공 분야에서 경량화를 위해 사용되는 리튬(Li)을 AlSi9Mg 합금에 첨가하여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했으나, 높은 리튬 비율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문제와 유동성 저하가 주요 난관이었습니다.
- 연구 방법: AlSi9Mg 합금에 0.1 wt% 및 0.2 wt%의 리튬을 첨가하고, 용융 상태에서 0시간 및 1시간의 유지 시간을 적용하여 주조한 후 화학 성분, 기계적 특성(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및 유동성을 평가했습니다.
- 핵심 발견: 용탕을 1시간 유지했을 때 합금 내 리튬 함량이 약 70%까지 극적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인장강도(UTS)와 항복강도(YS)의 감소 및 연신율(%)의 소폭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 최종 결론: AlSi9Mg 합금에 대한 리튬 첨가는 기대했던 연신율의 획기적인 개선을 이루지 못했으며, 오히려 리튬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을 저해하고 슬래그 발생을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도전 과제: 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가
자동차 산업은 연비 규제 강화와 배출가스 감축 요구에 따라 경량화 소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합금은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나 휠, 실린더 헤드, 엔진 블록 등 다양한 부품에 사용됩니다. 특히 AlSi9Mg 합금은 우수한 주조성과 강도를 바탕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더 높은 기계적 특성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항공우주 분야에서 경량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리튬(Li)을 AlSi9Mg 합금에 첨가하여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하지만 리튬은 반응성이 높아 고온의 알루미늄 용탕 내에서 슬래그를 형성하거나 쉽게 소실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리튬 첨가와 실제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탕 유지 시간이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과 주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현장의 엔지니어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접근 방식: 연구 방법론 분석
본 연구는 리튬 첨가량과 용탕 유지 시간이라는 두 가지 핵심 변수가 AlSi9Mg 합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연구진의 신뢰도 높은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법 1: 합금 준비 및 주조 - 기본 소재: AlSi9Mg 합금을 기본 소재로 사용했습니다. - 리튬 첨가: 10kg 용량의 SiC(그래파이트) 도가니를 사용하여 720°C에서 용해를 진행했으며, 목표 리튬 함량이 각각 0.1 wt%와 0.2 wt%가 되도록 AlLi5 마스터 합금을 투입했습니다. - 변수 설정: 리튬 첨가량(0.1%, 0.2%)과 용융 온도에서의 유지 시간(t=0시간, t=1시간)을 변수로 설정하여 총 4가지 조건의 시편을 제작했습니다. 이는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 시간을 모사한 것입니다.
방법 2: 특성 평가 - 화학 성분 분석: 각 조건의 시편에 대해 화학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리튬 함량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 기계적 특성 시험: 인장 시험을 통해 극한 인장 강도(UTS), 항복 강도(YS, Rp0.2), 단위 연신율(%E)을 측정하여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평가했습니다. - 유동성 시험: 유동성 시험 장치(Fluidity Test Apparatus)를 사용하여 리튬 첨가량에 따른 용탕의 유동성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핵심 발견: 주요 결과 및 데이터
본 연구를 통해 리튬 첨가와 유지 시간이 AlSi9Mg 합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가 확보되었습니다.
결과 1: 유지 시간에 따른 리튬 함량의 급격한 감소와 기계적 특성 변화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는 용탕 유지 시간이 리튬 함량에 미치는 극적인 영향이었습니다. Table 1 & 2에 따르면, 0.1% Li를 첨가한 샘플의 경우 초기 리튬 함량은 0.086%였으나 1시간 유지 후 0.025%로 약 71% 감소했습니다. 마찬가지로 0.2% Li를 첨가한 샘플도 초기 0.230%에서 1시간 후 0.029%로 약 87%나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리튬 소실은 기계적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Table 6에서 볼 수 있듯이, 1시간 유지 후 모든 샘플에서 인장강도(UTS)와 항복강도(YS)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연신율(%E)은 소폭 증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0.2% Li 첨가 샘플의 경우, 유지 시간이 0시간일 때 UTS는 144.85 N/mm²였으나 1시간 후 159.29 N/mm²로 증가했고(이례적 결과), 연신율은 3.36%에서 6.95%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리튬이 소실되면서 합금의 연성이 다소 개선되었음을 시사합니다.
결과 2: 리튬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동성 저하
리튬 첨가는 주조성에 중요한 지표인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논문의 결론에 따르면, 리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합금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금형 충진 불량, 탕경계(cold shut)와 같은 결함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또한, 논문의 초록에서는 높은 리튬 비율에서 다량의 슬래그가 형성되었다고 언급하고 있어, 이는 유동성 저하의 한 원인이자 실제 생산 공정에서 품질 저하 및 설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R&D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
이 연구 결과는 다이캐스팅 현장의 여러 담당자에게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용탕 유지 시간이 리튬과 같은 반응성 원소의 함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리튬 첨가 합금을 사용할 경우, 용해 후 주조까지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일관되게 관리하는 것이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데 결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 품질 관리팀: Table 6의 데이터는 유지 시간에 따라 UTS, YS, 연신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줍니다. 이는 생산 로트(lot) 간 용탕 대기 시간이 달랐을 경우, 왜 기계적 물성의 편차가 발생하는지를 설명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품질 검사 기준을 수립할 때 용탕 관리 이력을 중요한 변수로 고려해야 합니다.
- 설계 엔지니어: 본 연구 결과는 AlSi9Mg 합금에 리튬을 첨가하는 것이 경량화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유동성 저하와 슬래그 문제라는 명백한 단점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을 가진 부품이나 얇은 벽 구조의 제품을 설계할 때는 리튬 첨가 합금의 적용을 신중하게 재검토해야 합니다.
논문 상세 정보
Effect of Li additions and holding tim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SiM9mg alloys
1. 개요:
- 제목: Effect of Li additions and holding tim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SiM9mg alloys
- 저자: O. Özaydın, Y. Kaya, D. Dışpınar
- 발행 연도: 2021
- 발행 학술지/학회: La Metallurgia Ital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talian Association for Metallurgy
- 키워드: ALSI9MG, ALUMINUM ALLOYS, HOLDING TIME, ALLI5 ADDITIONS, MECHANICAL PROPERTIES
2. 초록:
알루미늄 합금은 가벼움과 가공 용이성으로 인해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동시에, 다양한 개발 연구를 통해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정립 미세화, 개량 처리, 열처리가 이러한 개발 연구의 예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분야에서 경량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튬(Li)을 AlSi9Mg 합금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에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했다. 특히 높은 리튬 비율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리튬 첨가 비율에 대한 연구가 개발되었다. 동시에, 고온 및 유지 시간에 대한 리튬 첨가의 영향도 연구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리튬 첨가 수준에서 다량의 슬래그가 형성되었고 기계적 특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리튬 수준의 증가는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유지 시간이 알루미늄 합금 구조 내 리튬 값을 극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감소는 극한 인장 강도(UTS)와 항복 강도(YS)에서 발생했고, 단위 연신율(%)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서론: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사용은 최근 몇 년간 많은 응용 분야와 산업에서 증가해왔다. 알루미늄 합금은 항공, 해양, 방위 산업에서 사용되지만, 자동차 산업이 주물의 가장 큰 시장이다. 알루미늄은 지난 수십 년간 증가하는 연비 요구와 배출 규제로 인해 자동차 산업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요구되고 있다. 낮은 밀도 외에도, 우수한 주조성, 높은 비강도, 쉬운 가공성으로 다른 대안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알루미늄 합금은 휠, 실린더 헤드, 엔진 블록, 브래킷, 피스톤 등 많은 자동차 부품에 선호된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의 배경:
자동차 산업에서 연비 향상 및 배출가스 규제 대응을 위한 경량 소재로서 알루미늄 합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AlSi9Mg 합금은 우수한 주조성과 기계적 특성으로 널리 사용되나, 추가적인 성능 개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전 연구 현황:
Lei 등은 아공정 Al-7Si 합금에서 Li가 공정 Si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AlLiSi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함을 보고했다. Ashtari 등은 Al-Si-Cu-Fe 합금에서 Li가 β-Al5FeSi 상을 미세화한다고 밝혔다. Karamouz 등은 A380 합금에서 Li 첨가가 Si 상을 미세화하고 기계적 특성을 개선함을 확인했다. Din 등은 Al-Mg-Si 합금에서 Li 첨가가 밀도를 낮추고 강도를 높이며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이처럼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에서 Li 첨가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항공 분야에서 경량화를 위해 사용되는 리튬(Li)을 AlSi9Mg 합금에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0.1 wt%, 0.2 wt%)로 첨가했을 때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주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탕 유지 시간(holding time)이 리튬 함량 변화와 최종 제품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핵심 연구:
AlSi9Mg 합금에 0.1 wt%와 0.2 wt%의 리튬을 첨가하고, 용융 상태에서 즉시 주조(t=0h)하거나 1시간 동안 유지(t=1h)한 후 주조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각 조건에서 제작된 시편의 화학 성분, 매크로/마이크로 구조, 기계적 특성(UTS, YS, 연신율), 그리고 유동성을 평가하여 리튬 첨가와 유지 시간의 상호작용 및 그 효과를 분석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2x2 요인 설계(factorial design)를 기반으로 한다. 두 가지 수준의 리튬 첨가량(0.1 wt%, 0.2 wt%)과 두 가지 수준의 유지 시간(0시간, 1시간)을 변수로 설정하여 총 4개의 실험 그룹을 구성하고, 각 그룹의 기계적 및 야금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재료 준비: 10kg SiC 도가니를 사용하여 720°C에서 AlSi9Mg 베이스 합금을 용해하고, AlLi5 마스터 합금을 첨가하여 목표 조성을 맞추었다.
- 화학 분석: 주조된 시편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여 실제 원소 함량, 특히 리튬의 변화를 측정했다.
- 조직 관찰: 시편을 절단, 연마, 에칭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매크로 및 마이크로 구조를 관찰했다.
- 기계적 시험: 표준 인장 시험을 수행하여 극한 인장 강도(UTS), 항복 강도(YS), 연신율(%E)을 측정했다.
- 유동성 시험: 별도의 유동성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각 합금의 유동성을 평가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본 연구는 다이캐스팅용 AlSi9Mg 합금을 대상으로 하며, 리튬 첨가(최대 0.2 wt%)와 고온에서의 유지 시간(최대 1시간)이 기계적 특성(인장 특성) 및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높은 비율의 리튬 첨가 시 발생하는 슬래그 문제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첨가 범위로 한정했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용탕을 1시간 동안 유지했을 때, 합금 내 리튬 함량은 초기 첨가량 대비 약 70% 이상 현저하게 감소했다. (0.1% Li 첨가 시 0.086% → 0.025%, 0.2% Li 첨가 시 0.230% → 0.029%)
- 리튬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합금의 유동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 높은 리튬 첨가 수준(0.2%)에서는 많은 양의 슬래그가 형성되었고, 기계적 특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유지 시간의 증가는 극한 인장 강도(UTS)와 항복 강도(YS)의 감소를 유발했으나, 단위 연신율(%)은 소폭 증가시켰다.
- 결론적으로, AlSi9Mg 합금에 대한 리튬 첨가는 목표했던 연신율의 의미 있는 개선을 달성하지 못했다.
Figure Name List:
- Fig.1 - Macrostructures.
- Tab.1 -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Si9 with Li (%0.1) and Holding Time t=0 h.
- Tab.2 -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Si9 with Li (%0.1) and Holding Time t=1 h.
- Tab.3 -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Si9 with Li (%0.2) and Holding Time t=0 h.
- Tab.4 -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Si9 with Li (%0.2) and Holding Time t=1 h.
- Tab.5 - Microstructures.
- Tab.6 - Mechanical properties of First Trial Casting.
7. 결론:
리튬 첨가는 AlSi9Mg 합금에서 원하는 연신율 개선을 달성할 수 없었고, 리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리튬 비율이 약 70% 감소했다고 결론지었다.
8. 참고 문헌:
- [1] Dispinar, D.: "Determination of Metal Quality of Aluminium and Its Alloys (PhD Thesis)" (pp.1-4). School of Metallurgy and Materials -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January 2005.
- [2] Davis J R (editor), ASM Specialty Handbook: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1993, ASM International.
- [3] Lei, W., Liu, X., Wang, W., Sun, Q., Xu, Y., Cui, J.: "On the influences of Li on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hypoeutectic Al-7Si alloy" (pp.703-706)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30 December 2017. DOI: 10.1016/j.jallcom.2017.04.295
- [4] Ashtari, P., Tezuka, H., Sato, T.: "Influence of Li addition on intermetallic compound morphologies in Al-Si-Cu-Fe cast alloys" (pp.43-46) Scripta Materialia. 17 April 2004. DOI: 10.1016/j.scriptamat.2004.03.022
- [5] Karamouz, M., Azarbarmas, M., Emamy, M.: "On the conjoint influence of heat treatment and lithium content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380 aluminum alloy” (pp.377-382) Materials and Design. 20 February 2014. DOI: 10.1016/j.matdes.2014.02.033
- [6] Din, ud S., Kamran, J., Tariq, N.H., Hasan, B.A., Petrov, R.H., Bliznuk, V., Zuha, uz S.: "The synergistic effect of Li addition on microstructure, tex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xtruded Al-Mg-Si alloys" (pp.11-22)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28 February 2016. DOI: 10.1016/j.matchemphys.2016.02.029
- [7] Karamouz, M., Azarbarmas, M., Emamy, M., Alipour, M.: "Microstructure, hardness and tensile properties of A380 Aluminum alloy with and without Li additions” (pp.409-414) Materials and Engineering A. 29 June 2013. DOI: 10.1016/j.msea.2013.05.088
- [8] Mørtsell, A.E., Marioara, C.D., Andersen, S.J., Ringdalen, I.G., Friis, J., Wenner, S., Røyset, J., Reiso, O., Holmestad, R.: "The effects and behaviour of Li and Cu alloying agents in lean Al-Mg-Si alloys" (pp.235-242)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23 December 2016. DOI: 10.1016/j.jallcom.2016.12.273
- [9] Koshino, Y., Kozuka, M., Hirosewa, S., Aruga, Y.: "Comparative and complementary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e microstructures in Al-Mg-Si(-Li) alloy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atom probe tomography" (pp.765-770) Journal of Alloys and Compunds. 7 November 2014. DOI: 10.1016/j.jallcom.2014.10.199
- [10] Özaydın, O., Arman, E., Kaya, A, Dokumacı, E., (2019) The Effect of Artificial Ageing Conditions on A356 Aluminum Cast Alloys. ECHT 2019 European Conference on Heat Treatment, Bologna / Italy.
- [11] Nikolay A. Belov, Dmitry G. Eskin, Andrey A. Aksenov. (2005) Multicomponent Phase Diagrams: Applications for Commercial Aluminum Alloys (pp.257-286) Elsevier Science eBook ISBN: 9780080456966 DOI:10.1016/B978-0-08-044537-3.X5000-8
- [12] Chaoqun Yang, Baidong Sun, Mawu Li, Lizhong Yan, Chihui Li, Yongin Zhang, Hongwei Liu, Hongwei Yan and Kai Wen (2019) Mater. Res. Express 6 IOP Publishing Ltd https://doi.org/10.1088/2053-1591/ab440e
전문가 Q&A: 주요 질문에 대한 답변
Q1: 왜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리튬(Li) 첨가를 선택했습니까?
A1: 논문의 초록에 따르면, "특히 높은 리튬 비율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문제(slag problems especially at high Li ratios)"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리튬 첨가 비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높은 반응성을 가진 리튬이 고온의 알루미늄 용탕에서 과도한 산화물이나 슬래그를 형성하여 용탕 청정도를 저해하고 최종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한 것입니다.
Q2: 용탕 유지 시간(holding time)이 리튬 함량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
A2: 용탕 유지 시간은 리튬 함량을 극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논문의 Table 1-4에 따르면, 0.1% Li 첨가를 목표로 한 합금은 1시간 유지 후 리튬 함량이 0.086%에서 0.025%로 감소했습니다. 0.2% Li 첨가 합금의 경우, 0.230%에서 0.029%로 훨씬 더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1시간의 유지 시간 동안 초기 리튬의 약 70% 이상이 소실(burn-off)되었음을 의미하며, 리튬의 높은 반응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Q3: 리튬 첨가가 AlSi9Mg 합금의 유동성(fluidity)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며, 이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집니까?
A3: 논문의 결론에 따르면, 리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유동성은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유동성이 낮아지면 얇은 벽이나 복잡한 형상의 금형을 완전히 채우기 어려워져 충진 불량, 탕경계와 같은 주조 결함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리튬 첨가는 제품 설계의 유연성을 저해하고 생산 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Q4: 1시간의 유지 시간 후 기계적 특성(UTS, YS, 연신율)은 어떻게 변했습니까?
A4: Table 6의 데이터를 보면, 리튬 함량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기계적 특성도 변했습니다. 0.1% Li 첨가 샘플의 경우, 1시간 유지 후 UTS는 154.14에서 149.15 N/mm²로, YS는 82.78에서 75.16 N/mm²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연신율은 4.15%에서 5.86%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이는 리튬이 소실되면서 합금의 강도는 다소 약해지지만 연성은 약간 개선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Q5: 본 연구의 결론에 따르면, AlSi9Mg 합금에 리튬을 첨가하는 것이 연신율 개선에 효과적인 전략이었습니까?
A5: 아니요,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 논문의 결론은 "리튬 첨가가 AlSi9Mg 합금에서 원하는 연신율 개선을 달성할 수 없었다(Li addition could not reach the desired improvement in the elongation values in AlSi9 alloy)"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비록 유지 시간 후에 연신율이 소폭 증가하기는 했지만, 이는 리튬의 효과라기보다는 리튬이 소실된 결과로 보이며, 그 증가 폭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결론: 더 높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한 길
이 연구는 AlSi9Mg 합금에 리튬을 첨가하여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유동성 저하, 슬래그 형성, 그리고 용탕 유지 시간에 따른 급격한 성분 변화라는 중요한 현실적 장벽에 부딪힌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용탕 유지 시간이 리튬 함량을 70% 이상 감소시킨다는 발견은 실제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미량 원소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줍니다. 이 연구는 새로운 합금 개발 시 실험실 수준의 이상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실제 생산 환경의 변수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귀중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CASTMAN의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저작권 정보
이 콘텐츠는 "[O. Özaydın, Y. Kaya, D. Dışpınar]"가 저술한 논문 "[Effect of Li additions and holding tim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SiM9mg alloys]"를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출처: La Metallurgia Italiana - November/December 2021, pagina 19-24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