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해석

본 페이지는 2016년 한국생산기술학회지에 게재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해석" 연구 논문을 요약한 것입니다. 본 연구는 환경 규제와 연비 요구 증가로 인해 차량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자동차용 경량 및 고강도 윈도우 와이퍼를 알루미늄 합금과 다이캐스팅 공법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타당성을 조사합니다.

1. 개요:

  • 제목: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해석(Strength Analysis of Aluminum Alloy Window Wiper Manufactured by Die Casting)
  • 저자: 조승현, 이정호, 김한구
  • 발행 연도: 2016년
  • 발행 학술지/학회: 한국생산기술학회지
  • 키워드: 윈도우 와이퍼, Al 합금, 강도, 다이캐스팅, FEA

2. 연구 배경:

  • 연구 주제의 사회적/학문적 맥락:
    자동차 사양 고급화 추세로 인해 1990년대 이후 자동차 무게는 연평균 15kg씩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 규제로 인해 배출가스 감소를 위한 자동차 경량화는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차량 무게를 줄이기 위한 연구는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 가벼운 복합 소재의 적용[1-3], 비철 합금의 적용[4-6], 제조 공법의 변화[7,8]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9-12]. 최근에는 자동차 섀시뿐만 아니라 부품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Al)의 적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 기존 연구의 한계: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는 강도는 우수하지만 차량 무게 증가의 원인이 됩니다.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주요 한계는 밀도와 다단계 제조 공정입니다. 전통적인 강철 윈도우 와이퍼는 일반적으로 후크 로드, 리테이너, 암헤드 등 3부분으로 구성되며, 절곡, 용접, 프레스 등 여러 공정을 거쳐 제작됩니다.
  • 연구의 필요성: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한계를 극복하고 차량 경량화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에 적용 가능한 Al-Mg 합금[13]의 적용을 탐구합니다. 본 연구는 이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를 분석하여, 강철 와이퍼와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더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차량 경량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자동차 차체 부품에 Al 합금이 단조 합금 대안으로서 적용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3.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분석은 윈도우 와이퍼 강도 평가를 위한 KS 표준에 따라 유한 요소 해석(FEA)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본 연구는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를 더 가볍고 비용 효율적인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생산된 알루미늄 합금 와이퍼로 대체하는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주요 연구 질문:
    •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설계 및 제작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가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와 동등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강도를 달성할 수 있는가?
    • 윈도우 와이퍼 제조에 강철 대신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무게 감소량은 어느 정도인가?
    • 다이캐스팅 제조 공법은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설계 및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알루미늄 합금과 다이캐스팅 공법을 사용하면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 제조에 비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 연구 가설:
    • 다이캐스팅에 특화되어 최적화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는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보다 높은 강도 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알루미늄 합금과 다이캐스팅 공법을 사용하면 강철 윈도우 와이퍼에 비해 상당한 무게 감소를 가져와 전체 차량 경량화 및 연비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다이캐스팅 공법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윈도우 와이퍼 생산의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4. 연구 방법론

  •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유한 요소 해석(FEA)을 사용한 비교 연구 설계를 채택합니다.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를 한국 산업 표준(KS)에 기반한 동일한 하중 조건에서 분석하고 비교합니다. 다이캐스팅 공정의 제약을 고려하면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설계를 강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4단계 설계 단계를 거쳐 반복적으로 수정합니다.
  •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자료는 FEA 소프트웨어인 MSC/Marc 2013 [14]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집됩니다. 논문의 표 1에 명시된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의 재료 속성이 시뮬레이션의 입력 매개변수로 사용됩니다. 하중 조건은 윈도우 와이퍼 성능 테스트를 위한 KS 표준(KS R 3012:2007 및 KS R 3015: 2007)을 기반으로 정의됩니다.
  • 분석 방법:
    주요 분석 방법은 유한 요소 해석(FEA)입니다. FEA 시뮬레이션은 KS 표준에 따른 강도의 주요 지표인 압력 하에서 윈도우 와이퍼의 변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림 2에 묘사된 압력 하의 변형 테스트 방법과 그림 3에 표시된 FEA의 경계 조건은 KS 표준을 직접 기반으로 합니다. 다양한 설계 및 재료에 대한 변위 결과를 비교하여 기존 강철 와이퍼와 비교하여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와 성능을 평가합니다.
  • 연구 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H사의 Trago 모델과 같은 대형 트럭용 윈도우 와이퍼에 초점을 맞춥니다. 고려된 재료는 강철(기존 재료)과 다이캐스팅에 적합한 새롭게 개발된 Al-Mg-Al₂Ca 합금입니다. 연구 범위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분석.
    • 직접적인 재료 대체에 기반한 초기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의 강도 분석.
    • 다이캐스팅 제조를 위해 강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반복적인 설계 수정.
    • 강철 및 최적화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간의 무게 및 강도 성능 비교.
    • 설계 최적화 과정에서 다이캐스팅 공정 제약 조건 고려.

5. 주요 연구 결과:

  • 주요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이캐스팅 공정을 고려하여 4단계 설계 반복을 통해 달성된 최종 최적화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가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에 비해 강도와 무게 감소에 있어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는 것입니다. FEA 결과에 따르면:
    • 최종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는 강철 윈도우 와이퍼보다 55%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동일한 압력에서 변위 감소로 나타납니다.
    •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무게는 강철 윈도우 와이퍼보다 약 45% 더 가벼웠습니다.
  • 통계적/정성적 분석 결과:
    • 변위 분석: 그림 5는 114.94 kPa 압력 하에서 기존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법선 방향 변위를 보여줍니다. 강철 와이퍼는 1.51 mm의 변위를 나타내고, 초기 알루미늄 합금 와이퍼는 강도가 낮음을 나타내는 4.48 mm의 훨씬 더 큰 변위를 보여줍니다.
    • 그림 6은 다양한 압력(76.63 kPa, 114.94 kPa, 143.68 kPa)에서 기존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 모델의 변위를 비교합니다. 모든 압력 수준에서 알루미늄 합금 모델은 강철 모델보다 훨씬 더 높은 변위를 나타냅니다.
    • 그림 7, 그림 8, 그림 9 및 그림 10은 각각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1차, 2차, 3차 및 4차 설계 반복에 대한 변위 결과를 보여줍니다. 각 설계 수정은 점진적으로 변위를 감소시켜 강도 향상을 나타냅니다.
    • 그림 11은 114.94 kPa 압력 하에서 최종 최적화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변위 분포를 보여주며, 현저히 감소된 0.836 mm의 변위를 나타냅니다.
    • 중량 감소: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무게는 0.219 kg으로 계산되었으며, 최종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는 약 45% 감소된 0.159 kg의 무게를 달성했습니다.
  • 데이터 해석:
    FEA 결과는 다이캐스팅 공정을 수용하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윈도우 와이퍼의 설계를 반복적으로 수정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가 상당한 무게 감소를 달성하면서 기존 강철 와이퍼의 강도를 능가하도록 개발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원래 강철 설계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직접 대체한 초기 설계는 강도가 현저히 낮았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영역에서 두께를 늘리고, 다이캐스팅을 위해 부품을 통합하고, 리브 및 필렛과 같은 보강 기능을 추가하는 데 초점을 맞춘 설계 최적화를 통해 강도가 점진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최종 설계는 강도 향상과 무게 감소를 모두 성공적으로 달성했습니다.
  • 그림 목록:
    • Fig. 1 윈도우 와이퍼 구조
    • Fig. 2 KS 표준 압력 하의 변형 시험 (KS R 3012:2007)
    • Fig. 3 FEA 경계 조건
    • Fig. 4 Al 합금의 응력-변형률 특성
    • Fig. 5 114.94 kPa 압력 하에서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법선 방향 변위
    • Fig. 6 다양한 압력 하에서 기존 윈도우 와이퍼 모델의 법선 방향 변위
    • Fig. 7 다이캐스팅 공정을 고려하여 변경된 1차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
    • Fig. 8 다이캐스팅 공정을 고려하여 변경된 2차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
    • Fig. 9 조립 공정을 고려하여 변경된 3차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
    • Fig. 10 4차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 변경
    • Fig. 11 114.94 KPa 압력 하에서 최종 최적화된 Al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법선 방향 변위
    • Fig. 12 대형 트럭용 래피드 프로토타입 제작 및 간섭 시험
    • Fig. 13 파일럿 제품 제조
    • Fig. 14 윈도우 와이퍼용 다이캐스팅 공정의 이점
Fig. 3 Boundary conditions for FEA
Fig. 3 Boundary conditions for FEA
Fig. 7 1st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die-casting process
Fig. 7 1st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die-casting process
Fig. 8 2nd.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die-casting process
Fig. 8 2nd.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die-casting process
Fig. 9 3rd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assembly process
Fig. 9 3rd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considering assembly process
Fig. 10 4th.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Fig. 10 4th. design changed for Al alloy window wiper
Fig. 13 Pilot product manufacturing
Fig. 13 Pilot product manufacturing

6. 결론 및 고찰:

  • 주요 결과 요약:
    본 연구는 알루미늄 합금과 다이캐스팅 기술을 사용하여 고강도, 경량 윈도우 와이퍼를 개발하는 타당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습니다. 반복적인 FEA 기반 설계 최적화를 통해 최종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는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에 비해 55%의 강도 향상45%의 무게 감소를 달성했습니다. 최적화된 설계는 다이캐스팅 제조에 특화되어 단순화되고 잠재적으로 더 비용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 연구의 학문적 의의:
    본 연구는 경량 자동차 부품 설계 및 제조 분야의 지식 체계에 기여합니다. 구조용 자동차 부품에 대한 기존 재료 및 제조 방법의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서 알루미늄 합금과 다이캐스팅의 잠재력을 강조합니다. 본 논문에 제시된 상세한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는 유사한 응용 분야에서 다이캐스팅 및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하려는 엔지니어에게 귀중한 사례 연구를 제공합니다. 또한 본 연구는 최적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제조 공정 제약 조건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실용적 의미:
    다이캐스팅을 통한 경량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성공적인 개발은 자동차 산업에 여러 가지 중요한 실용적 의미를 갖습니다.
    • 향상된 비용 경쟁력: 다이캐스팅은 단순화된 제조 공정과 재료 낭비 감소 가능성을 제공하여 강철 윈도우 와이퍼 생산에 관련된 다단계 공정에 비해 향상된 비용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 단순화된 제조 공정: 다이캐스팅은 여러 부품을 단일 부품으로 통합하여 조립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계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구동 모터 용량의 모듈 소형화: 알루미늄 합금 와이퍼로 달성한 상당한 무게 감소는 윈도우 와이퍼 작동에 필요한 구동 모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차량 무게 및 에너지 효율 개선에 더욱 기여합니다.
    • 차량 경량화 및 연비 향상에 대한 기여: 윈도우 와이퍼 부품의 45% 무게 감소는 점점 더 엄격해지는 연비 및 배출 규정을 충족하는 데 중요한 전체 차량 경량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 연구의 한계:
    본 연구의 주요 한계는 강도 분석이 FEA 시뮬레이션만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FEA는 구조적 성능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결과를 물리적 테스트 및 실제 성능 평가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실제 작동 조건에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장기 내구성, 피로 성능 및 내식성과 같은 요소는 본 연구에서 직접 평가되지 않았으며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7. 향후 후속 연구:

  • 후속 연구 방향:
    향후 연구는 실험적 테스트 및 실제 차량 평가를 통해 FEA 결과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물리적 프로토타입 테스트: 최적화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 설계의 물리적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강도, 내구성 및 피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실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실차 테스트: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를 차량에 통합하고 실제 시나리오에서 성능과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작동 조건에서 실차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내구성 및 내식성 평가: 자동차 환경에서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장기적인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장기 내구성 및 내식성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추가 탐구가 필요한 영역:
    추가 연구에서는 다음 사항도 탐구할 수 있습니다.
    • Al 합금 조성 최적화: 다이캐스팅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대 중량 비율과 비용 효율성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 조성을 조사합니다.
    • 다이캐스팅 공정 매개변수 최적화: 알루미늄 합금 윈도우 와이퍼의 기계적 특성 및 표면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이캐스팅 공정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여 잠재적으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합니다.
    • 비용 분석: 재료 비용, 제조 공정 비용 및 잠재적인 장기적 이점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 윈도우 와이퍼와 기존 강철 윈도우 와이퍼의 전체 제조 비용을 비교하기 위한 상세한 비용 분석을 수행합니다.

8. 참고 문헌:

  • [1] Jin, S. W., Park, D. H., Lee, G. S., Kim, C. W., 2013, Material Optimization of BIW for Minimizing Weight,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1:4 16-22.
  • [2] Park, K. S., Kong, C. D., Park, H. B., 2015, Structural Design of Light Weight Natural Fiber Composites for Next Generation Automobile Bonnet, Composites Research, 28:2 46-51.
  • [3] Kim, K. S., KBae, K. M., Oh, S. Y., Seo, M. K., Kang, C. K., Park, S. J., 2012, Trend of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for Lightweight Vehicles, Elastomers and Composites, 47:1 65-75.
  • [4] Kim, G. J., Lim, J. H., Park, J. H., Choi, B. I., Lee, J. W., Kim, Y. J., 2012, Light-weight Design of Automotive AA6061 Rear Sub-frame Based on CAE Simulation,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0:3 77-82.
  • [5] Park, S. C., Shin, K. S., 1996, Mg Alloys for Weight Reduction of Automobiles, Bulletin of the Korean Inst. of Met & Mat, 9:2 160-171.
  • [6] Sanji, K., 1995, Automobile Weigh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Al-Alloy Castings,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15:2 127-137.
  • [7] So, S. W., Whang, H. T., Lee, J. -H., Choi, H. W., 2011, Development of Automotive Lower Arm using Hybrid Manufacturing Process, KSMTE, 20:2 214-218.
  • [8] Kim, E. S., 2012, A Study of Optimal Design for Mg Armrest Frame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KSMTE, 20:5 797-804.
  • [9] Choi, B. S., Lee, D. Y., Jin, C. K., 2013, Study of Plastic Deformation of Steel Wire for Weight Reduction of Automotive Weather Strip,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1:5 82-86.
  • [10] Park, J. H., Kim, K. J., Yoon, J. G., 2013, Light-weight Design of Automotive Spring Link Based on Computer Aided Engineering,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1:5 157-161.
  • [11] Kim, Y. S., Kim., I. K., Tark, J. H., Kim, D. S., 1999, A Study of Light Weight of Tie Rod End in Auto Supplies,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3:3 70-75.
  • [12] Cho, J. G., Koo, J. S., Jun, H. S., 2013, A Weight-reduction Design Method by Underframe Material Substitution in a Box-type Bodyshell with Cut-outs,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1:2 45-54.,
  • [13] Ha, S. H., Yoon, Y. O., Kim, S. K., 2014, Effect of Al2Ca on Oxidation Resistance and Tensile Property of Al-5Mg Alloy,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34:6 194-199.
  • [14] MSC/MARC, 2013, MSC/MARC User's Manual Volume A, MSC Software Corporation.

9. 저작권:

  • 본 자료는 조승현, 이정호, 김한구 님의 논문: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윈도우 와이퍼의 강도 해석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논문 출처: http://dx.doi.org/10.7735/ksmte.2016.25.3.204

본 자료는 위 논문을 요약한 것으로, 상업적 목적의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