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신뢰성: 생산성과 불량률 데이터로 본 공정 최적화 비결
이 기술 요약은 Erika Jankajová와 Martin Kotus가 작성하여 ARCHIWUM INŻYNIERII PRODUKCJI (PRODUCTION ENGINEERING ARCHIVES)에 게재한 학술 논문 "[Reliability evalu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luminum castings]"을 기반으로 합니다.


키워드
- Primary Keyword: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신뢰성
- Secondary Keywords: 다이캐스팅 공정,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공정 최적화, 자동화 공정
Executive Summary
- The Challenge: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생산성과 품질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지속적인 경제적 압박 요인입니다.
- The Method: 자동화된 다이캐스팅 워크스테이션에서 3교대로 일주일간 생산된 부품 수, 생산성, 불량률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 The Key Breakthrough: 가장 높은 생산성(화요일, 97.05%)이 가장 많은 생산량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야간 근무는 지속적으로 가장 낮은 생산량과 가장 높은 불량률(5.42%)을 기록했습니다.
- The Bottom Line: 다이캐스팅 신뢰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자동화 시스템에서도 인적 및 운영 변수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전체 생산량뿐만 아니라 근무 조별 특성 요인에 집중해야 합니다.
The Challenge: Why This Research Matters for HPDC Professionals
오늘날 모든 제조 조직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제약과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더 저렴하고, 우수하며, 생산성이 높은 제조 공정을 위한 핵심 요소는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특히 다이캐스팅 공정의 경제적 효율성은 근무 조당 생산되는 주조품의 수와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부품의 수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해 폐기되는 내부 불량품은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줍니다. 주조품의 품질은 금형의 설계뿐만 아니라 영구 금형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금형의 수명은 다이캐스팅 시 온도 요인의 영향에 따라 달라지며, 고품질 주조품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금형 캐비티 표면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특정 알루미늄 주조품의 생산성과 불량률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제조 공정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he Approach: Unpacking the Methodology
본 연구는 슬로바키아 스니나에 위치한 MOPS PRESS, Ltd.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밀봉 강도 250-750kN의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 부품 생산을 전문으로 합니다.
- 분석 대상 부품: BOSCH & SIEMENS 자동 세탁기의 전자계량기 패널로 사용되는 "Lagerschild AS" (그림 1).
- 사용 장비: L20-630.05 워크스테이션은 CLH 630.05 다이캐스팅 머신, 처리 장비, 다이캐스팅 용해로, 그리고 부품 제거 및 이송을 위한 로봇으로 구성된 자동화 셀입니다. 주조 사이클은 기계 폐쇄, 용탕 주입, 가압 및 응고, 기계 개방, 로봇에 의한 부품 추출, 비전 검사, 냉각, 그리고 최종 전단 작업으로 이어지는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집니다.
- 데이터 수집: 데이터는 1주일(5일, 15개 근무 조) 동안 수집되었습니다. 각 근무 조의 생산 배치별로 할당된 디스패치 노트 카드를 통해 주조 부품 수, 생산성(%), 불량률(%)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했습니다.
The Breakthrough: Key Findings & Data
데이터 분석 결과, 생산량과 생산성(품질) 사이에 흥미로운 관계가 드러났으며, 근무 조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Finding 1: 생산성과 생산량의 역설
가장 높은 생산 효율성이 반드시 가장 많은 생산량을 의미하지는 않았습니다. 표 1에 따르면, 주간 최고 생산성을 기록한 날은 화요일(97.05%)이었지만, 이날 총생산량은 4,780개로 가장 적었습니다. 반면, 주간 총생산량이 가장 많았던 금요일(5,980개)의 생산성은 94.25%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생산 속도를 높이는 것이 경제적 효율성으로 직결되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금요일에는 가장 많은 부품을 생산했지만, 동시에 가장 높은 불량률(5.75%)을 기록했습니다.
Finding 2: 야간 근무의 도전 과제
데이터는 야간 근무 조의 성과가 지속적으로 저조하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야간 근무는 주간 평균 가장 적은 수의 부품(1,632개)을 생산했으며, 동시에 가장 높은 평균 불량률(5.42%)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오전 근무는 가장 낮은 평균 불량률(3.46%)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동화된 공정임에도 불구하고 근무 조에 따른 운영 환경이나 인적 요인이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actical Implications for R&D and Operations
본 연구 결과는 다이캐스팅 현장의 여러 담당자에게 실질적인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공정 엔지니어: 이 연구는 불량률이 기계 설정 외에 근무 조 변경과 관련된 요인(예: 예열 상태, 작업자 피로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표준화된 근무 교대 절차와 각 근무 조 시작 시 공정 안정성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 품질 관리팀: 근무 조별로 불량률이 현저한 차이(오전 3.46% vs. 야간 5.42%)를 보인다는 데이터는 QC 샘플링 빈도나 검사 중점 항목을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야간 근무 시간에는 불량률 관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 설계 엔지니어: 논문은 주조품 품질이 설계 솔루션과 영구 금형의 신뢰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합니다. 근무 조별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하고 견고한 금형 설계는 공정의 변동성을 줄이고 전반적인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Paper Details
알루미늄 주조품 생산 공정의 신뢰성 평가
1. 개요:
- 제목: Reliability evalu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luminum castings
- 저자: Erika Jankajová, Martin Kotus
- 발행 연도: 2015
- 학술지/학회: ARCHIWUM INŻYNIERII PRODUKCJI (PRODUCTION ENGINEERING ARCHIVES)
- 키워드: production process, die casting, aluminium castings
2. 초록:
이 논문은 다이캐스팅 생산 공정의 신뢰성 평가를 다룹니다. 생산 공정의 신뢰성은 생산성과 변형률을 기반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적절하게 선택된 생산 기술을 통해 알루미늄 주조품의 요구 품질과 함께 노동 생산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3. 서론:
현재 모든 제조 조직은 경쟁사 내의 제약과 위협에 저항하고 있습니다. 더 저렴하고, 우수하며, 생산성이 높은 제조를 위한 핵심 요소는 과학 및 기술 진보 분야로부터의 지식 이전입니다(TOLNAI R. 2002). 근무 조 내의 주조 부품 수와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주조 부품 수는 다이캐스팅의 경제적 효율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내부 불량품은 품질 요구사항을 준수하지 않아 쓸모없는 제조 배치 부품의 수로도 평가됩니다(PETRÍK M., KOTUS M. 2009). 주조품의 품질은 설계 솔루션뿐만 아니라 영구 금형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금형의 수명은 다이캐스팅의 온도 요인 영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품질 주조품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금형 캐비티 각 표면 부분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MATISKOVÁ D. 2012; MATISKOVÁ D., GAŠPAR Š., MURA L. 2013). 이 연구는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주조 부품 평가를 기반으로 제조 공정의 신뢰성 있는 평가를 목표로 합니다. 제조 공정 품질은 특정 주조 부품의 생산성과 불량률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평가됩니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 배경: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정의 경제적 효율성은 생산된 부품의 수와 품질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며, 공정 신뢰성 확보가 핵심 과제입니다.
이전 연구 현황:
이전 연구들은 금형의 온도 관리, 설계, 수명이 주조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해왔습니다.
연구 목적: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주조 부품의 생산성과 불량률을 분석하여 제조 공정의 신뢰성을 실증적으로 평가하고자 합니다.
핵심 연구:
특정 자동화 워크스테이션에서 일주일간 3교대로 생산되는 단일 부품("Lagerschild AS")의 생산 데이터(생산량, 생산성, 불량률)를 수집하고 요일별, 근무 조별로 비교 분석했습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실제 산업 현장(MOPS PRESS, Ltd.)의 자동화된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례 연구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5일간(월-금), 3개 근무 조(오전, 오후, 야간)에 걸쳐 총 15개 근무 조의 생산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각 배치의 디스패치 노트 카드를 통해 생산된 총 부품 수, 품질 기준을 충족한 부품 비율(생산성), 품질 기준을 미달한 부품 비율(불량률)을 기록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분석했습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연구는 "Lagerschild AS"라는 단일 알루미늄 주조 부품을 생산하는 L20-630.05 워크스테이션에 국한됩니다. 분석은 생산량, 생산성, 불량률의 세 가지 지표에 초점을 맞춥니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주간 총 27,604개의 부품이 생산되었으며, 전체 생산성은 95.58%, 전체 불량률은 4.42%를 기록했습니다.
- 생산성은 화요일에 97.05%로 가장 높았고, 금요일에 94.25%로 가장 낮았습니다.
- 불량률은 야간 근무 조에서 5.42%로 가장 높았고, 오전 근무 조에서 3.46%로 가장 낮았습니다.
- 총생산량은 금요일(5,980개)에 가장 많았고, 화요일(4,780개)에 가장 적었습니다.
- 야간 근무는 가장 적은 수의 부품을 생산하면서도 가장 높은 불량률을 기록했습니다.
Figure Name List:
- Fig. 1 Cast Lagerschild AS
- Fig. 2 Production machine for Workstation L20-630.05
- Fig. 3 Productivity of the cast parts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workstation
- Fig. 4 Nonconformities of the cast parts manufactured on the workstation


7. 결론:
자동화된 워크스테이션은 작업자 개입을 최소화하여 다이캐스팅 생산에 적합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야간 근무 조에서 가장 적은 수의 부품이 생산되고 가장 높은 불량률이 기록되었습니다. 가장 낮은 불량률은 오전 근무 조에서 달성되었는데, 이는 객관적인 원인뿐만 아니라 직원, 품질 관리자 또는 고용주의 주관적인 원인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다이캐스팅의 생산성은 제조 방법을 준수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습니다.
8. 참고 문헌:
- KOTUS M., KOVÁČ I., PETRÍK M., KOVÁČ J. Production of aluminium casts through casting under pressure. (Výroba hliníkových odliatkov pomocou tlakového liatia). In Quality and Reliability of Technical Systems. Nitra : SUA, 2009. p.176-180. ISBN 978-80-552-0222-8.
- MATISKOVÁ D., GAŠPAR Š., MURA L. Thermal Factors of Die Casting and Their Impact on the Service Life of Moulds and the Quality of Castings. In Acta Polytechnica Hungarica, Vol.10, No.3, 2013. p.65-78. ISSN 1785-8860.
- MATISKOVÁ D. The Methodology of Economics Costs Influential on Automation of Component Production. In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No. 7, 2012. p.164-170. ISSN 2166-496X.
- PETRÍK M., KOTUS M. Automation of casting under pressure in the production process. (Automatizácia tlakového liatia vo výrobnom procese). In Safety – Quality – Reliability. Košice : TU, 2009. p.173-177. ISBN 978-80-553-0137-2.
- TOLNAI R. Engineering Technology. (Strojárska technológia). Nitra : SUA, 2007. p.319. ISBN 978-80-8069-842-3.
Expert Q&A: Your Top Questions Answered
Q1: 이 연구에서 단일 부품("Lagerschild AS")만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단일 부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부품별 변수를 통제하고, 공정 자체의 신뢰성을 순수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근무 조와 요일 간의 차이가 부품 설계가 아닌 공정 운영상의 요인에서 비롯되었음을 명확히 하여 일관된 비교 기준을 제공합니다.
Q2: 논문에서 오전 근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원인"을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할 수 있나요?
A2: 논문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산업 현장에서 "주관적 원인"은 일반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 집중력, 절차 준수 여부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주간 근무 시간에 더 활발하게 활동하는 품질 관리자나 현장 관리자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감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Q3: 금요일에 생산성은 낮았지만 총생산량이 가장 많았다는 점이 문제의 신호일 수 있나요?
A3: 그럴 수 있습니다. 표 1에 따르면 금요일은 가장 많은 부품(5,980개)을 생산했지만, 동시에 주간 최고 불량률(5.75%)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주말을 앞둔 생산 압박으로 인해 품질보다는 수량에 집중하는 "양보다 질" 시나리오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암시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적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Q4: 화요일에 생산성은 가장 높았지만 총생산량은 가장 낮았던 역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핵심 교훈은 무엇인가요?
A4: 이는 단순히 기계를 더 빨리, 더 오래 가동하는 것이 효율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화요일의 낮은 생산량은 기계 정지 시간이나 다른 문제 때문일 수 있지만, 생산된 부품만큼은 가장 높은 품질(가장 낮은 불량률 2.95%)을 보였습니다. 이는 무조건적인 속도 경쟁보다는 안정적이고 통제된 생산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고품질 확보에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Q5: 자동화된 공정에서 어떻게 불량률에 그렇게 큰 편차가 발생할 수 있나요?
A5: 논문에 기술된 공정은 로봇이 부품을 취급하지만, 최종 전단 작업은 작업자가 수행합니다. 이처럼 자동화 셀 내에서도 금형 이형제 도포, 초기 설정, 사소한 문제에 대한 대응, 최종 마무리 작업 등에는 여전히 인적 요소가 개입됩니다. 또한, 근무 조에 따라 주변 온도나 기계 예열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한 환경 변화가 공정에 영향을 미쳐 불량률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Conclusion: Paving the Way for Higher Quality and Productivity
이 연구는 자동화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신뢰성이 기계의 성능뿐만 아니라 근무 조와 같은 운영 상황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확인시켜 줍니다. 최고의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생산량과 불량률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보이지 않는 비효율 요인을 찾아내고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야간 근무와 같이 취약점이 드러나는 구간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는 전체 공정의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열쇠가 될 것입니다.
"CASTMAN은 최신 산업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고객이 더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논의된 과제가 귀사의 운영 목표와 일치한다면, CASTMAN의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이러한 원칙을 귀사의 부품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십시오."
Copyright Information
- 이 콘텐츠는 "[Erika Jankajová, Martin Kotus]"가 작성한 논문 "[Reliability evalu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luminum castings]"을 기반으로 한 요약 및 분석 자료입니다.
- 출처: [http://www.qpij.pl]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