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술 요약 자료는 Brian Mason, Keith Lawes (RCV Engines Limited) 및 Koichi Hirakawa (KAAZ Corporation)가 SETC2022 New Product Technology Session (2022)에 발표한 학술 논문 "[Rotary Valve 4-Stroke Engines for General Purpose Power Equipment and Unmanned Systems]"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자료는 고압 다이캐스팅(HPDC) 전문가를 위해 CASTMAN의 전문가들이 Gemini, ChatGPT, Grok과 같은 LLM AI의 도움을 받아 분석하고 요약했습니다.
![Figure 1. Small powered two-wheeler technology trends in Taiwan 2002 to 2022 [3].](https://castman.co.kr/wp-content/uploads/image-2745.webp)

Figure 3. Section through the RCV SP “Rotating Cylinder Valve" model aircraft engine.
키워드
- 주요 키워드: 로터리 밸브 4행정 엔진
- 보조 키워드: 고압 다이캐스팅(HPDC), 소형 엔진 기술, UAV(무인기) 엔진, 멀티 연료 엔진, 넷제로 탄소 연료, 출력 대 중량비, ADC12 다이캐스팅
핵심 요약
- 과제: 전문가용 동력 공구부터 장거리 UAV에 이르기까지, 소형 엔진 응용 분야에서는 배터리 동력을 대체할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기술은 강화되는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고, 높은 출력 대 중량비를 제공하며, 미래의 넷제로(Net-zero) 탄소 연료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방법: 연구팀은 첨단 로터리 밸브(RCV) 4행정 엔진 시스템을 개발하고 테스트했습니다. 여기에는 UAV용 멀티 연료 "DF" 엔진 제품군과 ADC12 합금의 고압 다이캐스팅(HPDC)으로 실린더를 생산하는 고출력 양산형 "CK1" 엔진이 포함됩니다.
- 핵심 성과: RCV 엔진 설계는 탁월한 출력 대 중량비(25cc CK1 엔진은 일반적인 4행정 경쟁 모델보다 60% 더 높은 출력 제공), JP8 및 합성 연료를 포함한 진정한 멀티 연료 호환성, 그리고 낮은 배기가스 배출량을 확장 및 양산 가능한 프레임워크 내에서 모두 달성했습니다.
- 결론: 로터리 밸브 기술은 성능, 주행거리, 연료 유연성이 타협 불가능한 전문가 및 무인 시스템 응용 분야에서 내연 기관의 미래를 위한 검증되고 실현 가능한 경로임을 입증했습니다.
과제: 이 연구가 HPDC 전문가에게 중요한 이유
수십 년 동안 소형 엔진 시장은 2행정 엔진의 '출력'과 4행정 엔진의 '배기가스' 사이의 절충안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오늘날 이 구도는 배터리-전기(BE)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2050년까지 넷제로 탄소 배출이라는 전 세계적인 목표로 인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BE 시스템은 많은 소비자 제품에 적합하지만, 출력, 무게, 주행거리, 신속한 재충전이 중요한 까다로운 전문가용 응용 분야에서는 부족합니다. 장시간 비행이 필요한 무인항공기(UAV)나 원격지에서 사용되는 전문가용 휴대 공구는 충전소에 얽매일 수 없습니다.
이는 새로운 세대의 내연 기관(ICE)을 개발해야 한다는 중대한 엔지니어링 과제를 제기합니다. 이 엔진은 강력하고 가벼워야 할 뿐만 아니라, 낮은 배기가스 배출, 높은 연비, 그리고 미래의 지속 가능한 합성 연료를 포함한 다양한 연료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까다로운 기준을 충족하는 강력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접근 방식: 연구 방법론 분석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혁신적인 "로터리 밸브" 4행정 엔진 설계에 집중했습니다. 포펫 밸브, 캠, 스프링이 있는 기존 엔진과 달리, RCV 콘셉트는 단일 회전 밸브를 사용하여 흡기 및 배기 흐름을 모두 제어합니다(그림 4 참조). 이 핵심 기술은 두 가지 독특한 제품 라인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DF 엔진 제품군: 고성능 UAV 응용 분야에 맞춰진 이 엔진(35cc ~ 140cc)은 멀티 연료, 특히 JP8과 같은 중유(heavy fuel)에 대한 호환성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를 특징으로 합니다.
- CK1 엔진: 브러시커터와 같은 대량 생산 범용 응용 분야를 위해 개발된 25cc 엔진입니다. 제조 산업에 특히 중요한 점은 CK1이 대량 생산을 위해 설계되었다는 것입니다. 실린더는 ADC12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되고, 실린더 및 밸브 보어에는 니켈-실리콘 카바이드 코팅이 적용되어(그림 19), 실용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시장 출시 경로를 보여줍니다.
개발 과정은 물리적 테스트와 첨단 시뮬레이션을 결합했습니다. 밸브 시스템의 열 관리를 위한 열 유한 요소 해석(FEA)(그림 6)과 냉각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전산 유체 역학(CFD)(그림 18)이 활용되었습니다.
핵심 성과: 주요 연구 결과 및 데이터
이 연구는 RCV 기술이 출력, 연료 유연성, 제조 가능성에서 명확한 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 성과 1: 전례 없는 출력 대 중량비: 25cc CK1 엔진은 경쟁 제품을 압도합니다. 시장에 출시된 일반적인 25cc 4행정 엔진보다 60% 더 많은 출력인 1.2kW 이상을 생산합니다. 그림 21에서 볼 수 있듯이, 넓은 속도 범위(8000-11500 rpm)에서 높은 출력을 유지합니다. 이는 0.35 kW/kg라는 출력 대 중량비로 이어지며, 다른 4행정 엔진보다 훨씬 뛰어납니다(표 3).
- 성과 2: 진정한 멀티 연료 및 넷제로 호환성: DF 엔진 제품군은 다양한 연료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가솔린뿐만 아니라 JP8과 같은 저옥탄가 등유 기반 "중유"에서도 노킹 현상 없이 작동합니다. 결정적으로, DF35 엔진은 영국 왕립 공군(RAF)이 넷제로 탄소 합성 항공 연료로 구동한 최초의 드론 비행에 사용되어(그림 13, 참고문헌 [21]),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행 가능성을 증명했습니다.
- 성과 3: 대량 HPDC 제조를 위한 설계: 이 연구는 이 첨단 엔진 아키텍처가 단지 이론적인 개념이 아님을 증명합니다. CK1 엔진의 실린더는 HPDC 산업의 주력 합금인 ADC12로 다이캐스팅되도록 명시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피스톤과 로터리 밸브를 모두 수용하는 이 복잡한 부품을 주조하고, 내구성 있는 니켈-실리콘 카바이드 코팅을 적용하는 능력(그림 19)은 이 기술이 비용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생산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 성과 4: 복잡한 후처리 장치 없는 낮은 배기가스: CK1 엔진은 엄격한 EU Stage V 및 미국 EPA Phase 3 배기가스 규제를 준수합니다. 테스트 결과, CO 배출량은 118.0 g/kW.h, HC+NOx 배출량은 20.8 g/kW.h로, 촉매 변환기 없이도 법적 한도를 훨씬 밑도는 수치를 기록했습니다(표 4).
HPDC 제품에 대한 실질적 시사점
이 연구는 학문적 실습을 넘어, 고품질 정밀 다이캐스팅을 위한 중요한 새로운 시장 기회를 시사합니다. 이 연구 결과는 제조업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공정 엔지니어를 위해: 본 논문은 ADC12 다이캐스팅 후 특수 표면 코팅을 적용하여 복잡한 고성능 엔진 부품을 제조하는 경로를 검증합니다(그림 19). 이 성공적인 적용은 복잡한 내부 형상, 높은 열 안정성 및 내마모성 표면을 요구하는 부품 생산에 HPDC의 문을 열어주며, 전통적인 부품 설계를 넘어섭니다.
- 품질 관리를 위해: RCV 엔진의 신뢰성은 로터리 밸브와 다이캐스팅된 실린더 보어 사이의 정밀한 슬라이딩 간극 유지에 달려 있습니다. 이 요구 사항은 ADC12 주물의 치수 정확도, 안정성 및 무결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합니다. 이는 이러한 첨단 고성능 응용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HPDC에서 견고한 공정 제어와 엄격한 품질 보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금형 설계를 위해: 통합된 CK1 실린더 및 밸브 보어 유닛(그림 19)의 성공적인 주조는 고도로 통합된 다기능 부품을 만들기 위해 HPDC를 사용하는 강력한 사례 연구 역할을 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을 간소화하며, 전체 시스템 비용을 절감하여 미래 지향적인 제품 설계자와 다이캐스팅 업체에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 정보
범용 동력 장비 및 무인 시스템을 위한 로터리 밸브 4행정 엔진
1. 개요:
- 제목: Rotary Valve 4-Stroke Engines for General Purpose Power Equipment and Unmanned Systems
- 저자: Brian Mason and Keith Lawes (RCV Engines Limited), Koichi Hirakawa (KAAZ Corporation)
- 발표 연도: 2022
- 발표 학회/저널: SETC2022 New Product Technology Session
- 키워드: Rotary valve, 4-stroke, UAV, heavy fuel, general purpose engine, emissions, power to weight
2. 초록:
로터리 밸브 4행정 연소 시스템이 무인항공기(UAV) 및 범용 동력 장비용 엔진에 적용되었습니다. RCV 로터리 밸브 시스템은 다양한 연료로 작동 가능하며, 일반적인 4행정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량 및 연비 수준을 유지하면서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UAV 및 무인 하이브리드용 DF35 및 DF70 엔진은 35cc 실린더를 기반으로 단일 또는 박서 트윈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공랭식 또는 수랭식으로 냉각됩니다. 연료 분사식 DF 엔진은 가솔린 또는 JP8과 같은 등유 기반 연료에서 63kW/L의 출력을 달성합니다. 25cc 다중 자세 작동 범용 CK1 엔진은 브러시커터 패키지로 구성됩니다. CK1은 양산을 위한 개발을 완료했으며, 48kW/L의 출력을 달성합니다. 최근 소형 엔진 개발은 특정 용도에 맞춰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F 엔진의 멀티 연료 기능과 CK1 엔진의 양산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RCV 로터리 밸브 연소 시스템은 미래 소형 엔진 응용 분야를 위한 실행 가능한 기술을 제공합니다.
3. 서론:
소형 내연 기관(ICE)은 경량 이륜차, 휴대용 잔디 및 정원 장비, 무인 항공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응용 분야는 전통적으로 비용 및 출력 대 중량비 때문에 2행정 엔진을 선호해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30년간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유해 배기가스 규제 법안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오늘날 시장은 저공해 2행정 및 4행정 엔진이 혼재하며, 배터리-전기(BE) 시스템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50년까지 넷제로 탄소 배출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에 따라, BE 시스템이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에서 소형 엔진이 갖추어야 할 속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륜차 및 소형 오프로드 엔진(SORE) 시장에서 배기가스 규제 도입은 엔진 기술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미래의 과제는 미연소 오일 및 연료로 인한 입자상 물질 제어가 될 것입니다.
4. 연구 요약:
연구 주제 배경:
장거리 UAV 및 전문가용 휴대 장비와 같이 배터리-전기 시스템이 실용적이지 않은 응용 분야에서는 고성능, 저공해 및 연료 유연성을 갖춘 소형 내연 기관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넷제로 탄소 연료 작동을 포함한 미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과제를 다룹니다.
이전 연구 현황:
소형 엔진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2행정에서 4행정 엔진으로 전환하고, 최근에는 배터리-전기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UAV와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는 소형 엔진을 중유(HF)로 작동시키기 위한 개조 노력이 있었으나, 종종 성능 저하를 동반했습니다. 이 논문은 RCV Engines의 20년 이상 축적된 로터리 밸브 기술 경험을 기반으로 합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RCV(로터리 밸브) 4행정 연소 시스템이 미래 소형 엔진 응용 분야를 위한 실행 가능하고 우수한 기술임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무인 시스템용 멀티 연료 DF 제품군과 범용 장비용 고출력 양산형 CK1 엔진이라는 두 가지 독특한 엔진 라인을 통해 시스템의 이점을 보여줍니다.
핵심 연구:
연구의 핵심은 RCV 엔진 기술의 설계, 개발, 테스트 및 특성 분석입니다. 이는 엔진 구조, 재료(다이캐스팅된 ADC12 포함), 제조 공정을 상세히 다룹니다. 출력, 연비(BSFC), 배기가스 배출량, 멀티 연료 호환성과 같은 성능 지표를 측정하고, 기존 엔진 및 법규 기준과 비교합니다.
5. 연구 방법론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동일한 핵심 RCV 기술을 기반으로 두 가지 엔진 플랫폼의 병렬 개발을 포함했습니다: UAV용 전문 DF 제품군과 범용 CK1. 이 이중 접근 방식을 통해 고급 멀티 연료 기능과 비용 효율적인 대량 생산 적합성을 모두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데이터는 다양한 엔진 속도와 연료 유형(가솔린, JP8)에 걸쳐 출력, 토크, BSFC를 측정하기 위한 광범위한 동력계 테스트를 통해 수집되었습니다. 배기가스는 EU 인증을 위해 독립 기관에서 측정했습니다. 내구성은 400시간 테스트 주기를 통해 평가되었고, 실제 성능은 현장 테스트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열 및 냉각 시스템 설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FEA 및 CFD와 같은 엔지니어링 분석 도구가 사용되었습니다.
연구 주제 및 범위:
본 연구는 엔진의 기계 설계, 연소 시스템, 중유 작동, 제조 방법(CK1 실린더의 HPDC 포함), 성능 특성, 배기가스 규제 준수, 그리고 UAV/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휴대용 동력 공구에서의 응용을 다룹니다.
6. 주요 결과:
주요 결과:
- RCV DF 엔진은 높은 출력 밀도(63 kW/L)를 달성하고 가솔린 및 JP8과 같은 중유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합니다.
- RCV 연소 시스템은 낮은 폭발 민감도를 보여, 성능 저하 없이 저옥탄가 연료에서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 25cc CK1 엔진은 1.25kW의 출력을 내며, 이는 동급 25cc 4행정 엔진보다 60% 더 높은 수치이며, 0.35 kW/Kg의 우수한 출력 대 중량비를 가집니다.
- 다이캐스팅된 ADC12 실린더를 사용하는 CK1 엔진은 대량 생산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엄격한 EU Stage V 및 EPA Phase 3 배기가스 배출 한도를 충족합니다.
- 이 기술은 UAV 응용 분야에서 넷제로 탄소 합성 항공 연료로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피규어 목록:




- Figure 1. Small powered two-wheeler technology trends in Taiwan 2002 to 2022 [3].
- Figure 2. Future small engine application scenarios towards 2050.
- Figure 3. Section through the RCV SP “Rotating Cylinder Valve" model aircraft engine.
- Figure 4. RCV rotary valve timing drive.
- Figure 5. RCV DF engine – section through the rotary valve, ports, and sparkplug.
- Figure 6. Valve thermal analysis example showing temperature distribution.
- Figure 7. Rotary valve — effective exhaust valve area compared to a mini-4-stroke.
- Figure 8. Section through the DF35 throttle body.
- Figure 9. RCV DF70 combustion system response to AFR on JP8 fuel tested with a 12 x 8 propeller.
- Figure 10. RCV DF Engine Range.
- Table 1. DF35 and DF70 general Specification
- Figure 11. DF35 full load power and BSFC on JP8 fuel.
- Figure 12. RCV EFI Engine Control Unit.
- Figure 13. DF35 flight test on net-zero carbon synthetic aviation fuel.
- Figure 14. DF70 2 kW hybrid module installed an electric motorcycle.
- Figure 15. CK1 engine – external views.
- Table 2. CK1 engine specifications.
- Figure 16. Section through the ports of the CK1 engine.
- Figure 17. Section through the CK1 airbox.
- Figure 18. CFD example from CK1 engine cooling system development.
- Figure 19. Section through the CK1 cylinder with plated surfaces shown in green.
- Table 3. Comparison of general-purpose engine dimensions and power to weight.
- Figure 20. CK1 engine - main dimensions.
- Figure 21. CK1 power and BSFC with catalogue power levels for 25cc and 35cc 4-strokes.
- Table 4. CK1 exhaust emissions compared to current EU and EPA limits
- Figure 22. CK 4-stroke compared to manufacturers catalogue power data for 2-stroke and 4-stroke brushcutter engines.
- Figure 23. CK1 field testing in South Korea.
7. 결론:
RCV 로터리 밸브 연소 시스템은 UAV 및 소형 범용 엔진을 위한 ICE 제품 응용 분야를 통해 그 이점을 입증합니다. 멀티 연료 DF 엔진 제품군은 하이브리드 응용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하는 UAV 및 무인 시스템을 위한 ICE 옵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CK1 엔진은 높은 엔진 속도에서 지속되는 강력한 출력과 4행정 수준의 배기가스 및 연비를 보여줍니다. DF 멀티 연료 연소 시스템과 CK1 엔진의 양산 기술의 결합은 RCV 로터리 밸브 기술이 미래 소형 엔진을 위한 실행 가능한 후보임을 보여줍니다.
8. 참고문헌:
-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을 번역하거나 생략하지 않고 그대로 기재합니다.]
- Kamakaté, F., and Gordon, D., “Managing Motorcycles: Opportunities to Reduce Pollution and Fuel Use from Two- and Three-Wheeled Vehicles”, www.ict.org, 2009.
- Ricardo UK, “Challenges for Future Motorcycle Emissions Control”, https://cdn.ricardo.com/motorcycle/media/events/rmc%207.0/motorcycle-emission.pdf, 2022.
- Taiwan Transportation Vehicle Manufacturers Association, https://www.ttvma.org.tw/en/statistics#2, June 2022.
- Favrere, C., May, J., Bosteels, D., Tromayer, J., and Neumann, G., “A Demonstration of Emissions’ Behaviour of Various Handheld Engines Including Investigations on Particulate Matter”, SAE Technical Paper 2013-32-9130, 2013.
-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ARB approves updated regulations requiring most new small off-road engines to be zero emission by 2024”, https://ww2.arb.ca.gov/news/carb-approves-updated-regulations-requiring-most-new-small-road-engines-be-zero-emission-2024, December 2021.
- Ausserer, J., Polanka, M., Baranski, J., and Litke, P., “Mapping of Fuel Anti-Knock Requirements for a Small Remotely Pilot Aircraft Engine”, SAE Technical Paper 2016-32-0045, 2016.
- Cathcart, G., Dickson, G., and Ahern, S., “The Application of Air-Assist Direct Injection for Spark-ignited Heavy Fuel 2-Stroke and 4-Stroke Engines”, SAE Technical Paper 2005-32-0065, 2005.
… [논문의 전체 참고문헌 목록] … - "RAF’s First Synthetic Fuel Drone Flight", https://www.gov.uk/government/news/rafs-first-synthetic-fuel-drone-flight, March 2022.
전문가 Q&A: 가장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Q1: 이 로터리 밸브 기술이 소형 엔진에 있어 중요한 진전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이 기술은 기존 포펫 밸브 엔진과 배터리 시스템의 핵심 한계를 모두 해결합니다. 훨씬 높은 출력 대 중량비를 제공하고(그림 21 참조), 미래 지향적인 넷제로 탄소 연료로 작동하며, 낮은 배기가스 배출량을 유지합니다. 이는 성능, 주행거리, 운영 유연성이 중요한 전문가용 응용 분야에 이상적입니다. [출처: "Summary" 및 "Conclusions" 섹션].
Q2: 이 기술이 정말로 JP8과 같은 중유를 큰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할 수 있나요?
A2: 네. 논문은 "RCV 로터리 밸브 연소 시스템은 중유(HF)에서 노킹 제한이 없으며 가솔린 작동과 유사한 출력 및 BSFC를 생산한다"고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는 콤팩트한 중앙 연소실과 균일한 표면 온도 덕분이며, 이러한 특징이 폭발(detonation)을 방지합니다. [출처: 5페이지, "In terms of abnormal combustion, detonation or knock…"].
Q3: 이 기술은 군용 UAV와 같은 고급 전문 분야에만 국한되나요?
A3: 아닙니다. DF 엔진 제품군은 전문 UAV에 맞춰져 있지만, CK1 엔진은 대량 생산되는 범용 응용 분야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습니다. 논문은 CK1이 "대량 생산을 통한 저비용"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핵심 실린더 부품이 ADC12 합금 다이캐스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비용 효율적인 대중 시장 제품에 적합함을 보여줍니다. [출처: 7페이지 "CK1 General Purpose Engine" 섹션 및 10페이지 "Low cost through volume production"].
Q4: 제조 관점에서 CK1 엔진 실린더의 핵심 혁신은 무엇인가요?
A4: 핵심 혁신은 주 실린더 보어와 별도의 밸브 보어를 통합적으로 포함하는 복잡한 ADC12 다이캐스팅 실린더의 성공적인 양산 설계입니다. 이 다이캐스팅 부품은 내구성 있는 니켈-실리콘 카바이드 코팅으로 마감됩니다(그림 19). 이는 고압 다이캐스팅이 이 첨단 엔진 기술의 핵심 부품을 대규모로 생산하기 위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법임을 증명합니다. [출처: 8페이지, "From a manufacturing perspective…"].
Q5: RCV 엔진의 연소실이 저옥탄가 연료에 대해 폭발에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논문은 이 특성을 로터리 밸브 설계에 내재된 "콤팩트한 중앙 연소실"과 "균일한 연소실 표면 온도" 덕분으로 설명합니다. 이러한 낮은 폭발 민감도는 n-헵탄 연료 평가에서 확인되었으며, 최적 토크(MBT)를 20도 초과하여 점화 시기를 진각시켜도 노킹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출처: 5페이지, "In terms of abnormal combustion, detonation or knock…"].
결론 및 다음 단계
이 연구는 내연 기관의 미래를 위한 귀중한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기존 설계를 넘어서, RCV 로터리 밸브 기술은 더 강력하고, 더 효율적이며, 연료 유연성을 갖추고, 고압 다이캐스팅과 같은 확립된 공정을 사용하여 대규모로 제조 가능한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명확하고 데이터 기반의 경로를 제시합니다.
CASTMAN은 고객의 가장 어려운 다이캐스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산업 연구를 적용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 고성능 응용 분야에서 ADC12 다이캐스팅 실린더의 성공적인 사용은 HPDC의 잠재력을 입증하는 증거입니다. 복잡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정밀한 부품 제조의 과제가 귀사의 목표와 부합한다면, CASTMAN의 엔지니어링 팀에 연락하여 첨단 설계를 현실로 만드는 방법을 논의하십시오.
저작권
- 이 자료는 "Brian Mason, Keith Lawes, and Koichi Hirakawa"의 논문을 기반으로 합니다. 논문 제목: "Rotary Valve 4-Stroke Engines for General Purpose Power Equipment and Unmanned Systems".
- 논문 출처: SETC2022 New Product Technology Session, Paper NPT2022-028.
이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무단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25 CASTMAN. All rights reserved.